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09년_5-14_안정성 향상을 위한 PSCI거더교 전단철근 배근방법 개선
2024.02.28 17:48
5-14 PSCI거더교 전단철근 배근방법 개선
기술심사처-2639
(2008. 11. 28)
Ⅰ |
검토배경 |
◦ PSCI거더교(PSC빔교)시공시 거더상단 전구간에 조밀하게 돌출되어 있는 전단연결재 때문에 거더 거치 후 후속작업 시 작업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 중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으며, 전단연결재가 폐합형상(⊓)으로 배근되어 있어 바닥슬래브 배력철근 조립이 어려움.
◦ 또한, 구조계산값 보다 과다하게 배근되고 있는 전단철근(전단연결재 포함)에 대한 상세 검토를 통해 합리적인 배근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1) 전단철근 - 휨응력과 전단응력의 합성에 의해 부재축에 경사지게 발생하는 인장응력(斜引張應力)에 대하여 거더 단면에 수직으로 배근하는 철근으로 사인장철근 또는 복부철근이라고도 하며 스터럽과 굽힘철근이 있다. (2) 전단연결재 - 거더와 바닥슬래브 접촉면에 발생하는 수평전단력에 저항하도록 배근하는 철근으로 현재 시공되고 있는 PSCI거더교에는 전단철근(스터럽)을 슬래브 내로 연장하여 전단연결재를 대신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현 표준도상의 전단철근은 전단철근+전단연결재를 말한다. |
Ⅱ |
현 설계기준 및 문제점 |
□ 현행 설계기준
◦ 철근배근 : PSCI거더 표준도(한국도로공사, 2005)
◦ 설계기준 : 도로교설계기준(국토해양부, 2005)
◦ 전단철근 간격: C.T.C 200mm ~ 400mm
◦ 전단연결재 : 전단철근(스터럽)을 바닥슬래브까지 연장하여 사용
□ PSCI거더 전단연결재 개정 이력
◦ 2000년(건이이13105-57, 2000.06) - 철 근 량 : D16@4ea ➡ D16@2ea (철근량을 1/2로 감소) - 노출길이 : 14cm ➡ 19cm (슬래브두께(25cm) 감안 길이 연장) ◦ 2005년(설계처-542, 2005.03) - 노출길이 : 19cm ➡ 18cm (슬래브두께(24cm) 조정에 따라 길이 변경) |
□ 문제점
◦ PSCI거더 거치 후 후속공정(거푸집설치, 가로보설치, 철근조립 등)을 위하여 거더 상면으로 작업자의 통행이 불가피하며, 거더 상면 전구간에 걸쳐 조밀하게 노출되어 있는 전단연결재 때문에 거더 상면의 공간이 협소하고 작업자의 통행안전성 및 작업성이 불량하여 안전사고 발생이 우려됨.
- 간 격 : C.T.C 200mm~400mm
- 노출길이 : h=18cm
☞ 현장 작업자 대상 구두설문 조사 시 개선 요구 |
◦ 전단연결재가 교축직각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바닥슬래브 종방향철근 배근 시 폐합된 전단연결재 사이로 삽입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불량함.
◦ 돌출된 전단연결재 때문에 거더 상면 면마무리 어려움.
◦ 전단철근이 구조계산상 산출된 소요철근량 보다 과다하게 배근됨.
Ⅲ |
개선안 검토 |
1. 대상교량
◦ 최근 설계된 경간장 35m 이하의 PSCI거더 교량의 구조계산서 검토
◦ 5m의 방음벽을 가정한 35m의 PSCI거더 교량을 대상으로 구조계산 실시
경간장 |
차로수 |
거더간격 |
방음벽 |
설계하중 |
비 고 |
35m |
3차로 |
2.70m |
5m |
DB24 |
첨부 4. |
2. 검토내용
가. 전단연결재의 형상 및 배치
◦ 거더 상면의 작업공간 확보방안
◦ 갈고리형태의 전단연결재 배근방법
나. 전단철근 및 전단연결재 간격
◦ 최근 설계된 PSCI거더 교량 구조계산서의 소요 전단철근량 검토
◦ 거더 전구간 등간격 배근방안 검토
구 분 |
기존방법 |
개선(안) |
배근간격 |
단 부: C.T.C 200mm 중앙부: C.T.C 300mm~400mm |
전구간: C.T.C 400mm |
※ 검토근거 : 도로교설계기준, 2005
□ 전단철근 설계기준
□ 전단연결재 설계기준
□ 전단연결재 배근방법 개선안
3. 설계자문
가. 시행일시 : 2008. 09. 24
나. 자문위원
성 명 |
소 속 |
직 위 |
비 고 |
유동호 |
(주)엔비코컨설탄트 |
대표이사 |
설계 |
나정우 |
(주)넥스엔지니어링 |
사장 |
설계 |
박선규 |
성균관대학교 |
교수 |
구조 |
조병완 |
한양대학교 |
교수 |
구조 |
박현진 |
동부엔지니어링 |
상임고문 |
시공 |
김남포 |
삼성물산(주) |
부장 |
시공 |
박영하 |
도로교통연구원 |
수석연구원 |
구조 |
다. 자문결과
자문내용 |
자문결과 |
조치계획 |
전단철근 배근 간격 |
▷ C.T.C 400mm로 배근하는 것은 적절함 [나정우,박선규,조병완,김남포,박영하] ▷ 전단철근의 직경을 16mm로 제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함 [유동호] ▷
|
- - ▷ 하중조건이 특이한 경우 구조계산을 통해 철근직경 선택 가능 - - |
전단연결재 배근 간격 |
▷ C.T.C 400mm로 배근하는 것은 적절함 [유동호,나정우,박선규,조병완,박영하] ▷ 접촉면 처리에 주의하여야 함 [김남포] |
- - ▷ 접촉면 처리에 관한 사항은 도면에 명기함 |
전단연결재 형상 및 배근 방법 |
▷ 문제 없음 [유동호,박선규,박영하] ▷ 기존방법과 개선안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 [나정우] ▷ 연결강성이 중요하므로 전단연결재사용 보다 기존방법 유지 [조병완] ▷ 실험 또는 이론적 검증 필요 [박현진] ▷ 시공성이 떨어질 수 있음 [김남포] |
- - - ▷ 전단연결재의 매입길이가 충분하여 역학적으로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됨 ▷ 전단연결재 설치에 따른 시공성 저하가 다소 있을 수 있으나 전체적으로 안전성과 작업성의 향상 효과가 더 큼 |
4. 시험시공
가. 목 적 : 개선된 전단연결재 및 전단철근의 작업성 및 안전성 검증
나. 일 시 : 2008년 10월 15일 ~ 10월 18일
다. 위 치 : 전주~남원 고속도로 제2공구
라. 수 량 : 35m PSCI거더 5본
마. 시험시공 결과
1) 전반적으로 철근조립에 문제는 없음.
2) 전단연결재 형상 및 제원 변경
➡ 철근가공 편의를 위해 갈고리 곡선부를 직선 절곡
➡ 거더 상면과 갈고리 끝단의 간격 6cm는 적정함.
3) 거더 거치 후 상부공 작업안전성 향상
5. 검토결과
1) 전단연결재의 형상 및 배치
◦ 거더 상면의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단철근(스터럽) 대신 별도의 전단연결재를 교축방향으로 배근
◦ 도로교설계기준에는 전단철근을 바닥슬래브까지 연장하여 전단철근의 일부가 전단연결재의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으나, PSCI거더교 설계시 유효높이(d)에 바닥슬래브의 두께는 고려하지 않으므로 본 검토에서 제안한 방법과 같이 별도의 전단연결재를 사용하여도 구조적으로 문제가 없음.
2) 전단철근 간격
◦ 구조계산서 검토 결과 전단철근의 간격이 400mm 이상 가능한 것으로 나타남.
◦ 전단철근 배근간격은 현행 200mm를 400mm로 배근 가능.
3) 전단연결재 간격
◦ 구조계산서 검토 결과 전단연결재의 간격은 400mm 이상 가능하나 최소철근 규정에 의해 배근 간격은 400mm를 넘지 않도록 함.
◦ 거더 상단의 바닥슬래브와의 접촉면은 마찰저항력 증대를 위하여 거친면마무리(대략 6mm 깊이로 일부러 거칠게 함)를 하고 전단연결재의 배근간격은 C.T.C 400mm로 함. (도로설계편람 제5편 교량(국토해양부, 2008) 508.2 PSC 합성거더교 설계편 참조)
◦ 다만, 전단연결재를 400mm 간격으로 배근하고 아래 도로교설계기준 ②항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접촉면에 거친면마무리는 생략할 수 있음.
※ 하중조건이 특수한 경우 전단철근과 전단연결재는 구조계산 결과에 따라 거더 단부구간에
C.T.C 400mm 이하로 배근할 수 있다.
Ⅳ |
개선방안 |
적용대상 구분 |
경간장 35M 이하 |
경간장 35M 초과 |
전단철근 |
- 스터럽(D16)을 전구간 C.T.C400㎜로 배근 |
구조계산 결과에 따라 철근량 산정 |
전단연결재 |
- 갈고리철근(D16)을 교축방향으로전단 철근 배근간격에 따라 동일하게 C.T.C 400㎜로 배근 |
|
전단연결재 노출길이 |
- 노출길이는 바닥슬래브 주철근 배근 시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16cm로 함 - 갈고리철근 끝단과 거더 상면과의 간격 은 6cm로 함 |
|
접촉면 처리 |
- 거더 상단의 바닥슬래브와의 접촉면은 거친면마무리 처리 (대략 6㎜ 깊이로 일부러 거칠게 함) |
Ⅴ |
기대효과 |
□ 전단연결재가 거더 상면의 양 외측에 배치되므로 거더 상면의 중앙부에 이동공간 확보
➡ 작업자의 안전성 향상
□ 전단철근 배근 시 일정 간격으로 배근하므로 철근 배근 작업성 향상 및 검측 용이
□ 전단연결재가 갈고리형상이므로 바닥슬래브 철근 배근작업 용이
□ 작업공간이 확보되어 상면의 표면처리작업 용이
➡ 바닥슬래브와의 접합력 증대
□ 품질향상 및 공사비 절감
➡ 공사비 절감 : 660,000원/본(총공사비), L=35m 기준
(예: 동해-삼척, 충주-제천 고속도로 PSC Beam 수 : 531본,
660,000원/본 × 531본 = 350,460,000원)
Ⅵ |
적용방안 |
□ 설계중인 노선 : 본 방침 적용
□ 공사중 또는 미발주 노선 : 공사(설계)주관부서에서 적용여부 판단
첨 부 : 1. PSC Beam 일반도 및 구조도
2. 공사비 산출 근거
3. 시험시공 사진첩
4. 전단철근 구조계산서. 끝.
첨부 #2
공사비 산출 근거 (PSC BEAM 35.0M)
첨부 #3
PSCI거더 전단철근 개선 시험시공
사 진 첩
사 진 대 지
사 진 대 지
사 진 대 지
사 진 대 지
첨부 #4 전단설계 구조계산서
※ D16 철근을 사용하는 경우 : 전단력이 작은 중앙부에도 최소 수평전단철근 규정에 의해
C.T.C. 400mm로 배근함
최소철근량(Ami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