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1년_8-17_설해 취약구간 해소방안
2024.03.29 10:55
445
8-17 설해 취약구간 해소방안
도 로 처-2111
(2010. 5. 27)
Ⅰ 추진 배경
지구 기후변화에 따른 한파와 폭설에 대비한 설해 취약구간의
제설대응능력 향상으로 이용객 안전을 확보
☑ 기상변화 여건 분석
○ 엘니뇨 및 북극한기의 변동에 의해
기록적인 한파와 많은 눈이 내림
- 국내 : 대관령 137cm(10일), 서울 28cm
- 국외 : 미국 183cm(5일), 유럽 60cm
○기온은 평년(0.4℃)과 비슷하나,
변동폭은 심하였음
☑ 과거 폭설현황
구 분 |
’04. 3월 충청폭설 |
’05. 12월 호남폭설 |
’09. 1월 설 폭설 |
’10. 1월 신년 폭설 |
적설량 (cm) |
대전 49 (시간당최대 9.5) |
정읍 47 (시간당최대 8.4) |
당진 62 (시간당 최대 8.0) |
서울 25.8 (시간당최대 6.5) |
기상극값 |
100년만의 폭설 |
67년만의 폭설 |
40년만의 폭설 |
103년만의 폭설 |
※ 상기 폭설은 지역별 기상관측 이후 최대 폭설임
폭설시 제설능력 초과, 교통정체시 대비책 필요
446
Ⅱ 그간의 추진 경위
□ 2004. 5. 6 : 긴급용 개구부 설치 방안 검토(설계설10202-129)
○ 긴급 및 제설 작업용 간이 진출․입 시설 기준 수립
□ 2006. 10. 18 : 설해취약구간 관리방안 수립(도로처-3527호)
○ 도로기하구조 개선, 선진제설기법 도입, 취약구간 제설방법 수립 등
□ 2008. 2. 18 : 폭설 대응 개선방안 수립(도로관리처-570호)
○ 인원․장비․자재 확보기준 강화, 전국적 폭설시 대응방안 개선 등
□ 2009. 2. 3 : 고속도로 제설 선진화 추진(도로처-481호)
○ 대응초기단계 신설, 지원 장비확충, 휴게소 제설 등 13개 과제
Ⅲ 현실태 및 문제점
□ 설해 취약구간 인접지역에 비상연결로 설치 미흡
○ 기존 비상연결로는 취약구간 접근성 및 제설차량 동선 미고려
□ 취약구간 염수분사장치의 부족으로 지속적 제설작업 곤란
○ 폭설시 제설작업 직후에 노면 적설 발생
□ 상습 정체구간에 폭설시 신속한 교통통제 미흡
□ 폭설시 리무빙 및 잔설제거 전용 장비 부족
447
Ⅳ 개선 방안
설해 취약지점 근원적 해소를 위해서는 종단선형이 개량되어야 하나,
사업타당성을 감안하여 시설 운영 측면의 관리방안 모색
□ 시설개선
○ 정량적인 평가를 통하여 제설취약구간 재선정
- 검토대상 : 종단구배 3%이상, 연장 1,000이상 구간
- 선정방법
․3개년 평균 10cm 및 10일이하 강설구간, 50km로 감속시에도 LOS “A” 제외
․과거 폭설로 차량 정체 등 문제가 발생되었던 구간 포함
당 초 (개소) |
변 경(개소) |
증(△)감 (개소) |
||
계 |
기 존 |
신 규 |
||
42 |
53 |
32 |
21 |
11 |
※ 설해취약구간 조사 및 평가 현황 : 붙임 #1
○ 취약구간의 제설차량 접근성 및 작업동선을 고려한 비상연결로 설치
- 비상연결로 설치지점 선정기준
․인접도로(국도, 시가지도로등)와 접속이 용이하고 활용도 높은 구간
․교통정체시 역주행 등 장비 진입이 가능한 구간
․중앙분리대 및 터널 개구부 위치를 고려하여 활용성이 높은 구간
448
구 분 비상 간이진출입로 설치 도면 비 고
당 초 설계설10202
-129(04.5.6)
개 선
- 비상연결로 현황
구 분 |
계 |
기설치구간 |
미 설치구간(23개소) |
|||
확장 구간 |
설치 가능 |
설치 불가능 |
||||
구조물,절토부 등 |
연결도로 없음 |
|||||
개 소 |
53 |
26 |
6 |
7 |
9 |
5 |
※ 비상연결로 설치불가구간은 취약구간 최정점부에 중분대 개구부 설치 검토
- 년차별 설치 계획
․강설일수, 교통량, 종단구배 등을 고려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설치
구 분 |
계 |
2010년 |
2011년 |
비 고 |
취약구간(개소) |
7 |
3 |
4 |
|
소요예산(백만원) |
1,416 |
650 |
766 |
|
※ 취약구간 비상연결로 설치기준 및 평가현황 : 붙임 #2
○ 운전자 안전확보를 위한 진출입로 시설 개선
- 제설차량의 안전을 위해 여유공간 확보 : 길어깨외 5m
- 가드레일 위치 변경 : 본선 갓길부에서 법면부로 변경
- 신속한 개방이 가능하도록 철재 차단기 설치 : (교통처-3107, 2007. 8. 6)
※ 비상 간이진출입로 표준도면 : 붙임 #3
449
○ 강설초기 노면결빙 우려가 있는 취약구간 염수분사장치 설치
- 염수분사장치 설치 현황
전 체 |
기설치구간 |
미 설치구간 |
||
계 획(2010) |
제외구간 (확장등) |
필요구간 |
||
53개소 |
15개소 |
5개소 |
17개소 |
16개소 |
․상습응달지역, 교량 및 터널 인접구간, 계곡부 등 기상여건 불리 구간에 설치
※ 염수분사장치 운영방안 : 도로처-3590호(2009. 8.14)
- 년차별 설치 계획
․강설일수, 교통량, 종단구배 등을 고려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설치
구 분 |
계 |
2011년 |
2012년 |
2013년이후 |
비 고 |
개 소 |
16 |
4 |
6 |
6 |
|
소요예산(백만원) |
2,972 |
1,052 |
760 |
1,160 |
|
* 염수분사장치 설치 계획 : 별첨 #4
□ 운영개선
○ 취약구간별 제설 대책 수립 시행
- 폭설에 대비한 취약구간 제설대책 시나리오 작성 비치 (별첨 #5)
․제설차량 진입로, 본선 교통통제, 인력동원 등 전반적 제설대책
․취약구간에 제설 및 구난 전담 장비 사전 배치 등
․능동적 교통제한 방안 수립(투입장비, 작업구간, 시행방법 등)
- 제설능력을 초과하는 폭설시 제설방법 변경(모래살포 등) 검토
․종단구배가 급하고 연장이 긴 경우
○ 군․경․관 등 협조체계 강화
- 지사 및 군부대간 1:1 지원체계 구축(협약체결 : 2009.7)
- 고순대, 지방경찰청과 교통통제(버스전용차로해제, 진입제한 등) 시나리오 사전 협의
- 나들목 인근 접속도로 제설관리기관과 공조체계 사전협의
450
□ 장비개선
○ 폭설대비 지원장비 확충으로 대응능력 향상
- 지역별 긴급지원 전담팀 확충
․국지적 폭설시 리무빙 위주의 작업, 전차로 동시 제설작업에 집중투입
구 분 |
현 행 |
개 선 |
비 고 |
계 |
17개팀 |
23개팀 |
증) 6개팀 |
경기 |
7개팀 |
9개팀 |
|
호남 |
6개팀 |
8개팀 |
|
경북 |
4개팀 |
6개팀 |
|
- 도심구간 노견부 잔설 제거시 상차에 활용하기 위한 블로워 확보
구 분 |
현 행 |
개 선 |
비 고 |
블로워 장비 |
34대 |
45대 |
증) 11대 |
※제설작업 장비 및 인력 운영실적 : 교통처-1799(2010. 4.23)
- 블로워 작업 사진 (블로윙 및 상차 겸용)
○ 폭설로 인해 교통정체된 차량사이 제설을 위한 고압분사장치 개발
- 이동식 살포 장치(차량형, 소형 인력 운반용)
451
Ⅴ 향후계획
□ 취약구간 비상연결로 설치
○ 설계 중 및 설계 완료 후 미발주 노선 : 본 기준 적용
○ 공사중 노선 : 공사주관 부서에서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적용
○ 공용중인 노선 : 2010년~2011년
□ 염수분사장치 확대 설치 : 2010년~2013년
□ 취약구간 제설방법 변경 실용화 연구과제 추진 : 2010년
□ 취약구간 제설작업 시나리오 비치 : 2010년 동계까지
□ 폭설시 대비 제설장비 확충
○ 긴급지원팀 및 블로워 : 교통처 검토 시행
○ 이동식 고압염수분사장치 효과분석 후 확대여부 결정
- 2010년 개발 및 시범 적용
붙임 #1 설해 취약구간 조사 및 평가현황
붙임 #2 비상연결로 설치 기준 및 계획
붙임 #3 비상 간이진출입로 표준도
붙임 #4 염수분사 장치 설치 계획
붙임 #5 취약구간 제설작업 시나리오
452
붙임 #2
비상연결로 설치기준 및 계획
□ 비상연결로 설치 계획
- 강설일수, 교통량, 종단구배 등을 고려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설치
구 분 |
계 |
2010년 |
2011년 |
취약구간(개소) |
7 |
3 |
4 |
소요예산(백만원) |
1,416 |
650 |
766 |
ㅇ 세부 설치 계획
구 분 |
평가 결과 |
조치 계획 |
소요예산(백만원) |
비 고 |
||
2010 |
2011 |
|||||
계 |
7 |
|
650 |
766 |
|
|
본선 (5) |
A급 |
3 |
2010년 |
650 |
700 |
75점 이상 |
B급 |
4 |
2011년 |
- |
66 |
74점 이하 |
* 평가 기준
배 점 구 분 |
5점 |
4점 |
3점 |
2점 |
1점 |
강설량 (3개년 평균) |
100cm 이상 |
70cm 이상 |
40cm 이상 |
10cm 이상 |
10cm미만 |
강설일수 (3개년 평균) |
20 이상 |
20~15 이상 |
15~10 이상 |
10~5 이상 |
5일미만 |
교 통 량 (ADT) |
8만대이상 |
~6만대 |
~4만대 |
~2만대 |
2만대미만 |
LOS |
E |
D |
C |
B |
A |
종단구배(%) |
5이상 |
4~5 |
3~4 |
2~3 |
2이하 |
- 산정점수 가중치 부여
가중치 |
15% |
15% |
15% |
15% |
20% |
20%(20점) |
강설량 (3개년 평균) |
강설일수 (3개년 평균) |
교 통 량 (ADT) |
LOS |
종단구배 (%) |
과거차단 여부 |
※ 취약구간 선정 제외대상(단, 과거차단구간은 포함)
① 50km LOS A등급, ② 강설일수 10일 이하, ③ 강설량이 10cm 이하
붙임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