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포장공

365

6-4 아스팔트 공용성 등급 적용 기준 검토 도로시험팀-826(2011. 5. 11)

I 현 황

1. 목 적

○ 최근 침입도 규격의 변경과 원유 정제기술의 고도화, 다양한 개질 아스

팔트의 출현 등의 다양한 외적 품질 변동요인이 발생되고 있음.

○ 따라서 외적 요인에 의한 아스팔트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아스

팔트의 관리를 개선하고자 함.

2. 추진경위

가. KS F에 공용성 등급(Performance Grade : PG)의 도입 (2005)

나. 개질아스팔트 설계 적용 방안 통보 (도로관리처-3226, 2008. 9)

다. 공용성 등급 결정요령 작성 필요 (감사실-2121, 2008. 12)

라. 개질아스팔트 공용성 등급 결정 및 설계적용방안 통보

(도로처-106, 2009. 1)

II 문제점

1. 침입도 규격의 문제점

◦ 아스팔트는 고온에서는 연성을, 저온에서는 강성을 나타냄.

◦ 아스팔트는 종류에 따라 온도의 민감성이 다르게 나타남.

◦ 침입도는 25℃의 온도에서만 물성을 측정하므로 그림 1과 같이 고온

및 저온 물성을 평가할 수 없음.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포장공

366

온 도 (℃)

그림 1. 아스팔트의 온도 민감도

2. 침입도 기준의 완화

- KS기준(KS M 2201) 개정으로 국내에서 대부분 적용되고 있는

아스팔트(일명 AP-5)의 침입도가 높아져 아스팔트가 연화됨.

․ 침입도 60-70 → 60-80

 

구 분

당 초

개 정

비 고

침입도

60-70

70-85

85-100

60-80

-

80-100

AP-5

삭제

AP-3

 

 

표 1. 침입도 규격의 개정 내용

3. 국내 아스팔트의 관리 실태

o 국내의 각 정유사에서 생산되는 7종의 아스팔트(침입도 60-80)에 대한

공용성 등급 시험 결과, 그림 2에서 25%가 PG 64-22를 만족하지 못하

는 것으로 나타났음.

PG 58-22

25%

PG 64-22

75%

그림 2. 공용성 등급 시험결과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포장공

367

4. 아스팔트 개질재의 다양화

o 최근 다양한 종류의 아스팔트 출현으로 관리가 어려워짐.

o 개질 아스팔트를 보다 과학적인 규격으로 관리될 필요가 있음.

III 개선방안

1. 아스팔트의 규격 관리 개선

o 침입도 규격은 아스팔트의 고온 및 저온에서의 물성 평가가 불가능하

므로 공용성 등급으로의 규격 전환이 필요

o 아스팔트의 규격 관리를 침입도 규격(KS M 2201)에서 공용성 등급

(KS F 2389)으로 개선

2. 공용성 등급의 적용

o 공용성 등급은 과거 20년 이상의 기간 동안 7일간 평균 최고포장 온

도와 최저 포장온도를 토대로 결정하며, 국내의 지역별 공용성 등급 분

포는 그림 3과 같음.

예) PG 64-22에서 64는 고온등급을 의미하며, -22는 저온등급을 의미함.

(a) 고온 등급 (b) 저온 등급

그림 3. 국내 지역별 공용성 등급 분포

o 그림 3에서 고온 등급은 58이 가장 많고, 저온 등급은 -16이 가장 많

은 것으로 나타나서 국내의 대표적인 공용성 등급은 PG 58-16으로 정

의할 수 있음.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포장공

368

o 국내에서 생산되는 아스팔트의 공용성 등급을 분석한 결과, 표 2와 같

으며, 국내 기후조건의 대표적인 고온등급인 58과 저온등급인 -16을

모두 만족함.

표 2. 국내 아스팔트의 침입도 규격과 공용성 등급

 

침입도 규격

공용성 등급

침입도 60-80

PG 64-22

침입도 80-100

PG 58-22

 

 

o 기후조건을 고려하여 결정된 공용성 등급은 교통하중 및 평균 통행속

도에 따라 공용성 등급을 조정하도록 되어 있음.

- 교통하중이 3×107 ESAL 이상일 경우 1등급 상향

- 평균 통행속도가 20~70km/hr인 경우 1등급 상향

- 평균 통행속도가 20km/hr 미만인 경우 2등급 상향

표 3. 차량의 통행속도와 교통량을 고려한 바인더 등급 조정

 

설계 ESAL1)

(100)

교통하중비율에 의한 바인더 PG등급 조정5)

Stand2)

Slow3)

Standard4)

0.3미만

*

 

 

0.3이상 3미만

2

1

 

3이상 10미만

2

1

 

10이상 30미만

2

1

*6)

30이상

2

1

1

 

 

[주] 1) 설계 ESAL은 20년동안 예상되는 교통량이다.

2) Stand 교통은 평균교통속도 20km/h 이하

3) Slow 교통은 평균교통속도 20~70km/h의 범위

4) Standard 교통은 평균교통속도 70km/h 이상

5) 지시되는 숫자만큼 상향의 등급(1등급은 6℃임)인 높은 온도등급으로 증가시켜야

함, 여기서 저온으로의 조정은 안됨

6) 높은 온도등급으로 상향 조정하는 것을 고려하여야 함.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포장공

369

o 평균 통행속도 측정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서비스 수준에 해당하는 일

교통량을 표 4와 같이 판단함.

표 4. 서비스 수준에서의 양방향 교통량(대/일)

 

서비스 수준

4차로

6차로

8차로

B

38,300 미만

57,500 미만

76,700 미만

C

38,300~52,000미만

57,500~78,000미만

76,700~104,000미만

D

52,000~68,200미만

78,000~102,300미만

104,000~136,500미만

E

68,200~85,300미만

102,300~127,900미만

136,500~170,600미만

F

85,300 이상

127,900 이상

170,600 이상

 

 

※ 서비스 수준은 공용 개시 후의 교통특성을 의미한다.

o 표 4에서 통행속도 개념의 서비스 수준을 구하고 중차량 특성의 교통

하중을 고려하여 표 5와 같이 교통하중 등급을 정함.

 

서비스 수준

일방향

차로당 교통하중

교통 하중 등급

A, B, C, D 수준

E 수준

F 수준

3×107 ESAL 이상

(4,100 ESAL 이상)

3×107 ESAL 미만

(4,100 ESAL 미만)

 

 

표 5. 교통하중 등급

* 교통하중은 20년 공용기간 동안의 8.2톤 누적 등가단축 환산 하중으로써 ( )안은 일 환산

하중이며, 유지관리 공사에 적용한다.

o 표 5에서 교통하중 등급이 정해지면 교통하중 등급에 맞는 아스팔트

의 공용성 등급을 표 6에서 결정함.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포장공

370

 

 

 

교통하중 등급

공용성 등급

PG 76-22 이상

PG 70-22 이상

PG 64-22 이상

PG 58-22 이상

표 6. 공용성 등급 적용기준

※ 계산 예 (기흥-수원)

① 양방향 교통량 : 171,262대/일 → F 수준 (표 4)

② 일방향 환산 등가단축하중(ESAL)

③ 차로당 ESAL로 환산 :  ×   

☞ 차로배분계수 : 4차로 80~100%, 6차로 60~80%, 8차로 50~75%

 

표 7. 일 ESAL 계산 사례

 

차 종

일방향 교통량

(/)

축하중계수

ESAL

승용차

1

65,420

0.0001

7

버스

2

5,143

1.301

5,302

소형 화물차

3

8,835

0.013

115

4

7,895

0.752

5,937

중형 화물차

5

1,724

1.434

2,472

6

658

944

7

468

671

대형 화물차

8

258

1.957

505

9

36

70

10

614

1202

11

33

65

12

58

114

-

91,142

-

17,403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포장공

371

④ 표 7에서 일 ESAL은 17,403ESAL로 나타났고, 차로당 교통하중으로 환산하면

8,701ESAL로써 4,100ESAL을 넘으며, 서비스 수준은 F수준이므로 표 5에서

교통하중 등급은 Ⅰ등급에 해당되어 아스팔트의 공용성 등급은 PG 76-22를

적용함.

o 현재 공용중인 노선의 교통하중 등급을 계산하면 표 8과 같음.

 

노 선

구 간

차로

서비스

수준

양방향

일교통량

(/)

일방향

차로당

ESAL

 

교통하중

등급

경부선

기흥- 수원

8

F

171,262

8,701

구서-양산JCT

6

C

59,917

3,957

영동-금강

4

C

48,922

10,620

비룡JCT-대전

6

D

81,943

7,470

청원-남이JCT

8

D

123,691

9,103

남해선

서마산-동마산JCT

4

D

61,713

3,922

진례-냉정JCT

8

D

111,928

8,079

서해안선

서산-당진 JCT

4

C

43,212

4,113

안산JCT-조남JCT

6

F

176,067

6,974

호남선

동광주-용봉

4

D

66,527

3,577

중부선

판암-비룡JCT

4

C

41,776

5,052

광주-산곡JCT

4

D

66,766

6,263

중부내륙선

감곡-여주JCT

4

C

40,100

7,601

영동선

서창JCT-월곳

6

F

156,866

12,960

동수원-신갈JCT

8

D

134,401

8,813

용인-양지

4

E

81,001

10,488

서울외곽선

송내-장수

8

F

244,048

6,729

경인선

가좌-서인천

6

F

175,353

6,960

부천-신월

8

D

136,150

3,415

 

 

표 8. 공용중인 구간의 교통하중 등급 계산 사례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포장공

372

o 표 8에서 공용중인 노선의 교통하중 등급의 분포는 그림 4와 같음.

Ⅰ등급

26%

Ⅱ등급

11%

Ⅲ등급

42%

Ⅳ등급

21%

그림 4. 교통하중 등급 분포

IV 적용기준

1. 고속도로 신설 및 유지관리 시 아스팔트의 적용

o 아스팔트의 관리 규격은 공용성 등급(KS F 2389)을 적용

o 표층에 적용되는 아스팔트는 표 6을 적용

o 중간층 및 기층에 적용되는 아스팔트는 PG 64-22를 적용

2.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 개정

o 13-2 역청재의 “2.4 도로포장용 아스팔트 ” 일부 개정

- 개정 내용 : 아스팔트 선정 시 공용성 등급을 적용

 

당 초

개 정

13-2 역청재

2. 재료

2.4 도로포장용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아스팔트 분류방법에는 침입도에 의한 방법과 점도에 의한 방법이 있으나 우리나라는 침입도 분류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13-2 역청재

2. 재료

2.4 도로포장용 아스팔트

......도로포장용 아스팔트 분류방법에는 침입도에 의한 방법과 점도에 의한 방법, 공용성 등급에 의한 방법이 있으며, 아스팔트 선정 시에는 공용성 등급을 적용한다.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포장공

373

3. 아스팔트 선정 및 생산

o 아스팔트는 공급원 선정 시 공용성 등급 시험(KS F 2389)을 실시하여 PG

규격 확인

o 개질아스팔트 생산 시 균일한 품질확보를 위하여 프리 믹스 방식을

원칙으로 하며, 플랜트 믹스 방식일 경우 개질재의 정확한 투입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

※ 프리 믹스 방식 : 개질재가 첨가된 아스팔트

플랜트 믹스 방식 : 개질재를 플랜트 믹서에서 아스팔트와 혼합

4. 용어 표기

o PSMA, PMA 등은 고유 제품으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아스팔트 혼합물

(PG XX-YY)"로 표기

"예" PMA → WC-3 (PG 76-22)

PSMA 13mm → SMA 13mm (PG 76-2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261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41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606
123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3-2_보강토옹벽 근접구간 말뚝공법 설계적용 방안 file 효선 2024.06.05 1076
123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3-3_토질조사 관리강화 방안 file 효선 2024.06.05 893
123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3-4_깎기비탈면 보강용 재긴장 영구앵커 설계적용 검토 file 효선 2024.06.05 896
123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4-1_집수거 및 나들목 중분대 집수정 집수효율 개선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6.05 2697
123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5-1_교량 기초부 철근배근 시공성 개선 검토 file 효선 2024.06.05 961
123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5-2_교량 접속슬래브 균열발생에 따른 교대 날개벽 두께조정 검토 file 효선 2024.06.05 871
122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5-3_배수효율 향상을 위한 교면배수 시스템 개선(점→선배수) file 효선 2024.06.05 1115
122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5-4_코핑부 철근 설계 개선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6.05 1268
122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5-5_교량 슬림화 및 최적화를 위한 교각 설계 개선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5.24 1231
122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5-6_현장타설말뚝 주철근 단면변화 적용성 검토 file 효선 2024.05.23 1206
122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5-7_교량기초 휨철근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4.05.23 1098
122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5-8_기둥 철근배근 시공성 개선을 위한 연성도 내진설계법 적용방안 file 효선 2024.05.23 1034
122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6-1_휴게소 주차장 포장접속부 보강재 개선 file 효선 2024.05.23 1015
122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6-2_공용중인 콘크리트 포장의 노면요철포장 개선 file 효선 2024.05.23 1007
122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6-3_휴게소 소형차구역 포장공법 개선 검토 file 효선 2024.05.23 808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6-4_아스팔트 공용성 등급 적용 기준 검토 file 효선 2024.05.14 913
121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6-5_터널 갱구 입출구부 50m 구간 포장단면 설계 최적화 방안 file 효선 2024.05.13 1091
121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6-6_터널내 시멘트 안정처리필터층 두께 검토 file 효선 2024.05.13 1010
121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7-1_강풍지역 방풍시설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4.05.13 1571
121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7-2_운전자 혼란방지 및 교통안전 향상을 위한 노면표시 설치기준 개선 file 효선 2024.05.13 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