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5-5_교량 슬림화 및 최적화를 위한 교각 설계 개선방안 검토
2024.05.24 10:24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량공
280
5-5 교량 슬림화 및 최적화를 위한 교각 설계 개선방안 검토 설 계 처-1459
(2011. 6. 22)
I 추진배경
◦ 그간 고속도로 설계 시 시공능력, 품질관리, 재료의 불균일성 등
의 이유로 단면을 과다 설계하는 관행이 있었으나, 현재 우리
나라는 국가 경제 규모가 세계 15위로서 선진국 대열에 들어서면서
발주자, 설계자, 시공자 간의 신뢰 가능한 사회로 성숙되었고,
◦ 경제성을 우선 시하는 설계에서 저탄소 녹색성장 중심의 시대적
요구 변화에 따라,
◦ 고속도로 교량 교각의 기둥 단면 슬림화 및 최적화를 통해 경제성
외에 미관, CO2 저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친환경 고속도로
건설을 추진코자 함.
II 구조물 단면 축소관련 추진 경위
일 자 |
주요 내용 |
비 고 |
2000. 5. 22 |
․원형 교각 단면 적정성 검토 *단면력 효율이 80%(75~85%)가 되도록 설계 *2단철근 필요시 경제적인 단면 적용 |
설계이 13201-205 |
2005. 6. 30 |
․압축부재 축방향 철근량 설계기준 개선 *최소철근비 : 1%, 감소된 유효단면적은 총단면적의 1/2이상 |
기술심사실 -1043 |
2006. 12. 12 |
․중소지간 PSC I형 거더교량의 면진받침 적정성검토 *교고 20m이상시 면진받침 적용시 전체공사비 절감(약 11%) *교각(약 20m이상) 교량받침 설계시 면진받침과 탄성 받침의 경제성 및 안정성 등 비교·검토하여 적용 |
설계처 -3241 |
2008. 7. 23 |
․교량구조용 압연강재(HSB) 적용 검토 *HSB 500, HSB 600 설계적용 |
설계처 -1988 |
2009. 9. 8 |
․교각 단면효율 조정 *(당초)80%수준 (변경)단면효율을 최대한 활용 |
설계처 -4632 |
2009. 11. 30 |
․고강도 콘크리트(40MPa) 교각 설계적용 검토 *(당초) 27Mpa (변경) 40MPa |
설계처 -5922 |
2010. 4. 14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 2020년까지 배출전망치 대비 30%감축) |
환경부 |
2010. 7. 30 |
․압축부재의 최소 축방향 철근량 적용(안) *Kl/r 검토하는 경우 전체단면적에 대해 검토 감소된 유효단면적을 사용하여 최소철근량과 설계강도 결정 |
기술심사처 -1531 |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량공
281
III 적용실태
□ 기둥설계 관행
◦ φMn/Mu ≥ 1.1 이상으로 과다설계 다수
◦ 탄성설계 내에서 단면 결정하는 경향 다수
* 소성설계에 비해 단면 규격이 커짐
◦ 적용실태 분석(대상 : 부산외곽선 대상교각 107개소)
87%
13%
69%
31%
탄·소성 구분 탄성설계 구간 φMn/Mu 비율
*기둥 직경이 단주·다주에 따라 다양(단주:2.5~2.9m, 다주:1.8~2.5m)
◦ 콘크리트 단면 슬림화 한계
- 콘크리트 강도 상향에 따른 단면 감소효과 미미
구 분 |
당 초 |
변 경 |
비고 |
콘크리트 강도 |
27MPa |
40MPa |
|
단면 규격 |
2.7m |
2.5m |
△0.2m |
◦ 단면축소를 위해 콘크리트 강도 상향시 수화열에 의한 온도
균열 제어로 인하여 콘크리트 강도 상향 제약
☞ 합리적인 기둥설계 방안 마련 필요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량공
282
□ 고장력 철근 적용 실태
◦ 현재 고속도로 교량은 SD400 철근까지 적용 중
- 거의 대부분 토목구조물에 SD400 적용
◦ 건축구조물에서는 SD500 이상 철근을 보편적으로 사용 중임
◦ 국내 적용 현황
구 분 |
주 요 내 용 |
비 고 |
건축분야 |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1999년) 제정 이후 500MPa 보편적으로 사용 * 잠실 갤러리아팰리스, 마포오벨리스크 등 다수 |
|
토목분야 |
․부산~거제간 연결도로 * 거가대교 주탑, 슬라브, 침매터널 등 500MPa 철근 적용 |
|
※ 현재 고속도로 교량에서는 SD500급 고장력철근 미 적용
☞ 고장력철근 적용방안 검토 필요
□ 기둥 철근비
◦ 우리공사 설계기준『원형교각 단면 적정성 검토, 설계이 13201-205
(2000.05.22)』상 Con'c 단면 조정만으로 최적단면 도출
◦ 현 설계 관행은 경제성 고려하여 0.5 ~ 1.5% 내외 최소철근비 배근
☞ 부재 슬림화의 저해 요인 ⇒ 철근비 조정 필요
□ 기둥 형식
◦ 단주식 교각 선호
◦ 단주식 91개소(85%), 다주식 16개소(15%)
* 대상 : 부산외곽선 대상교각 107개소
☞ 부재 슬림화 저해 및 공사비 증가 요인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량공
283
IV 개선방안 검토
가. 기둥단면 결정 최적화
□ 기둥의 소성설계 유도
◦ 상시 고려 최적단면 유도 : φMn/Mu ≤ 1.1
◦ 최적단면으로 지진 고려 시
구 분 |
내 용 |
탄성영역 이내 |
상시 최적단면으로 결정 |
탄성영역 초과 |
상시 최적단면 + 소성설계(연성도 내진설계) |
□ 기둥 슬림화 및 최적설계 흐름도
단면결정 기준 교각 그 외 교각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량공
284
나. 고장력 철근 적용
□ 관련 시방기준 및 연구 결과
* 도로교설계기준 4.2.3.2 강재의 설계강도 및 탄성계수(2010)
철근의 항복강도 fy는 500MPa 보다 더 큰값으로 설계할 수 없다.
* 다만, 전단철근 fy는 400MPa 보다 더 큰값으로 설계할 수 없다.
*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 3.3.4 철근의 설계강도
철근의 기준 항복강도 fy는 5,500 kgf/cm2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 한국콘크리트학회(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고장력철근 적용성연구)
철근콘크리트보의 주철근에 SD600 철근을 사용하여도 큰 문제가 없음
□ 해외 설계기준
구 분 |
주요 내용 |
비고 |
유럽(Eurocode2) |
․철근 항복강도 fyk = 400 ~ 600MPa |
|
미국(ACI-318) |
․철근 항복강도 fy = 60,000 psi(420MPa) 초과할 수 없다. |
|
□ 적용사례 및 국내 생산업체 현황 검토
◦ 고장력철근(fy=500MPa) 국내 적용사례 다수
* 적용사례 : 잠실캘러리 아팰리스 등 다수(건축), 부산~거제간 연결도로
거가대교 주탑, 슬라브, 침매터널 등(토목) 500MPa 적용
◦ 고장력철근 및 커플러 국내 생산 가능
☞ 현행 설계기준 내에서 고장력철근(SD500) 사용가능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량공
285
□ 현장 적용성 검토
◦ 철근 가공조립 검토
- 기둥 및 기초 주철근은 내면반지름 128mm이상으로 가공하여 적용가능
* 기둥 및 기초철근은 대부분 D19 ~ D32 적용 다수
* 도로교설계기준 4.3.4.2 철근 구부리기(표 4.3.2)
180° 갈고리와 90° 갈고리의 구부리는 내면반지름은
철근의 지름 |
최소 내면반지름 |
D10 ~ D25 |
3db |
D29 ~ D35 |
4db |
D38이상 |
5db |
※ D32의 경우 최소 내면반지름 4db = 128mm
기둥 주철근 기초 주철근
□ 적용부위 검토
구 분 |
적 용 |
세 부 내 용 |
기 둥 |
500 MPa |
· 기초·기둥에서는 휨 또는 휨·압축에 지배되므로 주철근을 500MPa를 적용하고, 전단철근(띠철근)은 400MPa까지 적용 · 코핑에서는 대부분 전단에 지배되므로 일률적으로 400MPa 적용 * 전단철근에 고장력 철근 적용시 문제점 : 철근 배근간격 넓어져, 취성파괴 및 사인장 균열폭 확대 우려 ※ 고장력 전단철근의 전단내력 확보여부 검증 필요 |
기 초 |
500 MPa |
|
코 핑 |
400 MPa |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량공
286
다. 기둥 철근비 조정
□ 도로교 설계기준
<압축부재의 철근>
- 축방향철근 단면적은 기둥전체 단면적의 1 ~ 6%
- 유효단면적(최소 전체단면적의 1/2 이상) 1% 이상
<내진설계> 6.8.3.3
- 축방향철근 단면적은 기둥전체 단면적의 1 ~ 6%
□ 그 외 국내·외 설계기준
구 분 |
주요 내용 |
비고 |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2007) |
․전체단면적의 1% 이상 8%이하 |
유효단면적 적용 |
유럽(Eurocode 2) |
․최소철근량은 다음 중 큰 값이상 - As,min = (0.10 NEd / fyd) 또는 0.002 AC * NEd : 설계축력, fyd : 철근의 설계항복강도 |
|
미국(ACI 2002) |
․전체단면적의 1% 이상 8%이하 |
유효단면적 적용 |
AASHTO LRFD |
․(AS·fy/Ag·f'c+Aps·fpu/Ag·f'c) ≥ 0.135 * 최대 8%이하 |
|
□ 기둥 철근비 개선방안 검토
◦ 철근비 조정에 따른 단면 비교(붙임 1 참조)
구 분 |
1안 (현설계) |
2안 (철근비조정) |
3안 (고강철근+철근비조정) |
4안 (고강철근+철근비조정) |
철 근 비 |
1.22% |
2.58% |
3.00% |
2.62% |
단 면 규 격 |
2.2m |
1.7m |
1.6m |
1.5m |
◦ 단면결정 기준 기둥 : 전체단면적의 2~3% 적용
◦ 그 외 기둥
구 분 |
적 용 |
비고 |
탄성설계 기둥 |
유효단면적의 1%이상 |
탄성영역 내에 내진 저항 |
소성설계 기둥 |
전체단면적의 1%이상 |
탄성영역 외(소성영역)에서 내진 저항 |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량공
287
라. 단주식 및 다주식 기둥 비교
□ 단주식을 다주식으로 변경시
◦ 교각 1기당 단면규격 0.5m, 콘크리트 약 16㎥, 철근 약 8ton
절감 및 교각 슬림화 가능
구 분 |
단주식 |
2주식 |
비고 |
||
일체형 기초 |
분리형 기초 |
||||
콘크리트 강도 |
기둥 |
40MPa |
40MPa |
40MPa |
|
기초 |
27MPa |
27MPa |
27MPa |
|
|
철근 항복강도 |
500MPa |
500MPa |
500MPa |
|
|
철 근 비 |
2.62% |
2.93% |
2.95% |
|
|
단 면 규 격 |
1.5m |
1.0m |
1.0m |
△0.5m |
|
콘크리트량(㎥) |
138.151 |
157.268 |
122.492 |
△15.659 |
|
철 근 량(ton) |
22.419 |
16.862 |
14.881 |
△7.538 |
|
직접공사비(천원) |
129,662 |
126,512 |
120,703 |
△8,959 |
|
CO2(ton) |
100.26 |
93.87 |
77.20 |
△23.06 |
V 검토결론
□ 기둥단면 소성설계 유도를 통한 최적화
□ 고장력철근 적용
◦ 기둥·기초부 : 항복강도 fy = 500MPa 적용
◦ 코 핑 부 : 항복강도 fy = 400MPa 적용
※ 기둥․기초 전단철근(띠철근) : 항복강도 fy = 400MPa 이하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량공
288
□ 철근비 조정
◦ 단면결정 기준 기둥 : 철근비 전체단면적의 2~3% 적용
◦ 그 외 기둥
구 분 |
적 용 |
비고 |
탄성설계 기둥 |
유효단면적의 1%이상 |
탄성영역 내에서 내진 저항 |
소성설계 기둥 |
전체단면적의 1%이상 |
탄성영역 밖에서 내진 저항 |
□ 교각형식 다양화
◦ 설계 시 미관, 경제성, 하부공간 활용 등 종합적 검토 후 단주식
또는 다주식 결정
VI 기대효과
□ 상기 방침 적용시 단면규격, 경제성 등 검토
◦ 교각(H=9.8m) 적용시
구 분 |
현 설계 |
개 선 |
비고 |
|
단주식 |
다주식 |
|||
단면규격 |
2.2m |
1.5m |
1.0m |
|
공사비(천원) |
130,050 |
129,662 |
120,703 |
|
CO2(ton) |
104.15 |
100.26 |
77.20 |
|
· 단주식(개선) : 교각 1기당 단면축소(0.7m), CO2 3.89ton 저감 및 공사비 약0.4백만원 절감
· 다주식(개선) : 교각 1기당 단면축소(1.2m), CO2 26.95ton 저감 및 공사비 약9백만원 절감
◦ 교각(H=20.0m) 적용시
구 분 |
현 설계 |
개 선 |
비고 |
|
단주식 |
다주식 |
|||
단면규격 |
2.5m |
1.8m |
1.3m |
|
공사비(천원) |
173,682 |
162,247 |
157,580 |
|
CO2(ton) |
156.75 |
130.45 |
114.03 |
|
· 단주식(개선) : 교각 1기당 단면축소(0.7m), CO2 26.3ton 저감 및 공사비 약11백만원 절감
· 다주식(개선) : 교각 1기당 단면축소(1.2m), CO2 42.72ton 저감 및 공사비 약16백만원 절감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량공
289
□ 현재 실시설계중인 노선(함양∼울산 및 당진∼천안) 적용시(H=20.0m)
◦ 단주식(개선) 적용시
: CO2 29,193ton 저감 및 공사비 약 122억원 절감
◦ 다주식 기둥 적용시
: CO2 47,419ton 저감 및 공사비 약 178억원 절감
* 함양~울산(교각개수) : 974EA, 당진~천안(교각개수) : 136EA
VII 적용방안
◦ 설계중 노선 : 현재 설계중인 노선부터 적용
◦ 공사중인 노선 : 신규·변경 설계 교량에 적용·검토
붙 임 1. 교각 설계 비교·검토(H=9.8m)
2. 단주식 및 다주식 비교·검토(H=9.8m)
3. 고교각(H=20.0m) 기둥 비교·검토
290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량공
붙 임 #1
교각 설계 비교·검토
□ 단주식 기둥(고장력철근 및 철근비 조정) 비교 검토
구 분 |
1안 (현설계) |
2안 (철근비조정) |
3안 (고강철근+철근비조정) |
4안 (고강철근+철근비조정) |
|
콘 크 리 트 강 도 |
기둥 |
40MPa |
40MPa |
40MPa |
40MPa |
기초 |
27MPa |
27MPa |
27MPa |
27MPa |
|
철 근 항 복 강 도 |
기둥 |
400MPa |
400MPa |
500MPa |
500MPa |
기초 |
400MPa |
400MPa |
400MPa |
500MPa |
|
철 근 비 |
1.22% |
2.58% |
3.00% |
2.62% |
|
단 면 규 격 |
2.2m |
1.7m |
1.6m |
1.5m |
|
콘크리트량(㎥) |
148.729 |
140.764 |
139.416 |
138.151 |
|
철 근 량(ton) |
22.518 |
23.847 |
24.812 |
22.419 |
|
직접공사비(천원) |
130,050 |
131,382 |
131,638 |
129,662 |
|
CO2(ton) |
104.15 |
104.50 |
106.30 |
100.26 |
※ 함양~울산(974기) , 당진~천안(136기) 실시설계 적용 시 CO2
4,318ton 저감 및 공사비 약 6억원 절감
* 교각 1기당 적용 시 CO2 3.89ton 저감 및 388천원 절감
□ 단주식 및 다주식 기둥 비교
구 분 |
단주식 |
2주식 |
비고 |
||
일체형 기초 |
분리형 기초 |
||||
콘크리트 강도 |
기둥 |
40MPa |
40MPa |
40MPa |
|
기초 |
27MPa |
27MPa |
27MPa |
|
|
철근 항복강도 |
500MPa |
500MPa |
500MPa |
|
|
철 근 비 |
2.62% |
2.93% |
2.95% |
|
|
단 면 규 격 |
1.5m |
1.0m |
1.0m |
|
|
콘크리트량(㎥) |
138.151 |
157.268 |
122.492 |
|
|
철 근 량(ton) |
22.419 |
16.862 |
14.881 |
|
|
직접공사비(천원) |
129,662 |
126,512 |
120,703 |
|
|
CO2(ton) |
100.26 |
93.87 |
77.20 |
|
※ 함양~울산(974기) , 당진~천안(136기) 실시설계 적용 시 CO2
25,597ton 저감 및 공사비 약 139억원 절감
* 교각 1기당 적용 시 CO2 23.06ton 저감 및 8,959천원 절감
291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량공
292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량공
293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교량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