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628 ❙ 기 타

910

기 타

콘크리트용 화학혼화제 품질기준 개선 적용 알림 환경품질처-4727

(2014.12.19)

1 개 요

 추진배경

ㅇ 콘크리트 화학혼화제 잠정품질 기준 시행결과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 수립 필요

⇒ 품질시험항목 신설 및 관리기준 개선

※ 「콘크리트 화학혼화제 품질 잠정기준」(연구개발실-1359, 2010.04.28)

콘크리트 화학혼화제 [admixture]

콘크리트의 경화(硬化) 전후의 성질을 개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멘트 ·

물 ·골재 이외에 콘크리트에 계획적으로 첨가하는 혼화재료 중 그 사용

량이 콘크리트의 용적계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로 사용되는 것

 추진경위

ㅇ 2010. 5 : 콘크리트용 화학혼화제 품질 잠정기준(도교원)

- 관리시험 항목 및 기준 신설(고형분 및 비중의 차 등)

- 혼화제 사전 품질시험 절차 규정 등

ㅇ 2012. 9 : 혼화재료 품질관리 강화방안(환경품질처)

- 인수검사 시험주체 정립 및 품질변동여부 관리체계 강화 등

ㅇ 2014. 7 : 콘크리트용화학혼화제품질기준설계심의완료(기술심사처)

- 고성능감수제 기준 신설 및 인수검사 관리기준 개선 등

※ 기술심사처-1452호(2014.07.01) 설계심의 결과 통보

기 타 ❙ 629

기 타

2 현실태 및 문제점

ㅇ (품질기준)

- 일원화된 관리기준으로 주성분별 고형분량 변동성

미반영에 따른 품질불량 발생

- AE제 분리사용이 가능하도록 고성능감수제 품질기준 마련

- 숏크리트용 화학혼화제(現유동화제) 품질관리기준 개선

ㅇ (품질시험)

- 시험시간 과다소요로 부적격자재 즉시 선별 곤란

※ 현행 고형분량 시험법은 최소 24시간 이상 소요

- 인수검사 시험비용의 제조사 전가 사례 다수 발생

ㅇ (배합관리)

- 우리공사와 KS품질기준 상이에 따른 현장관리 어려움

 

구 분 사용골재 공기량 품질기준

공급원 승인

KS F 2560

기준입도

기준 공기량+3.0±0.5%

사전품질시험

최초입고시험

현장골재 6±1.5%

※ 기준콘크리트1) 공기량 : 2.0% 이하이어야 한다.

- 모든혼화제의슬럼프80, 180㎜에대한품질기준(KS기준) 적용여부

1) 기준콘크리트 : 화학혼화제의 품질을 시험할 경우 기준으로 하는 화학혼화제를 사용하지 않은 콘크리트

630 ❙ 기 타

3 주요 개선내용

 품질기준 개선

ㅇ 고형분량 이원화 관리 및 비중의 차 기준 개정

구 분

허 용 범 위

당 초 개 선

고형분량

(%)

기준값 대비 ±12%

고형분량 25% 이상 : 기준값 대비 ±5%

고형분량25% 미만: 기준값대비±10%

밀도

(g/㎤)

기준 밀도값 1.1 초과 : (기준값-1)×±0.1 기준밀도값 1.1 초과 : ±0.03

기준 밀도값 1.1 이하 : ±0.01 기준밀도값 1.1 이하 : ±0.02

ㅇ AE제 분리사용을 위한 고성능감수제 품질기준 신설

- 감수율 : 12% 이상

- 응결시간 : ASTM, EN 규격을 참고하여 감수제 품질기준 적용

- 압축강도비 등 기타 품질기준은 고성능AE감수제 기준 준용

ㅇ 혼화제중의 염화물 이온량 및 전체 알칼리량 기준 신설

- 염화물 이온량 : 0.02kg/㎥ 이하

- 전체 알칼리량 : 0.3kg/㎥ 이하

ㅇ 숏크리트용 화학혼화제 적용기준 개선

- B/P에서 첨가하여 시공되는 경우 고성능 감수제

(고성능 AE감수제 포함) 기준 적용

- 공기량은 우리공사 기준 적용 : 6±0.5%

․유동화제 : 현장 도착된 콘크리트의 유동성 개선을 위해 사용

․감 수 제 : 시멘트 입자 분산으로 유동성 개선 및 단위수량 저감

기 타 ❙ 631

기 타

 품질시험 개선

ㅇ 신속 인수검사 시험방법 제정

- 적외선 수분계를 이용한 고형분량 측정방법 도입

※ 고형분량 측정방법은 ASTM C 494를 원칙으로 함

- 혼화제의 고형분량이 20%이상인 경우 희석하여 시험 후

희석배율을 곱하여 고형분량 계산

※ 상세한 시험절차는「콘크리트용 화학혼화제 선정, 품질관리

및 인수검사 관리시험 매뉴얼」에 따름(별도 송부)

ㅇ 인수검사는 현장 품질시험을 원칙으로 함

※ 공인시험기관 의뢰시 의뢰자 및 의뢰기관 명시하고 감독원 확인

 배합관리 개선

ㅇ (사용재료) 사전품질시험 및 최초 입고시험시 현장재료 사용

ㅇ (배합조건) 혼화제 종류별 슬럼프 구분 및 공기량 목표 설정

구분

단위시멘트량

(kg/㎥)

목표 슬럼프

(㎜)

목표공기량(%)

AE제

300 80±10

6±0.5

감수제 기준공기량+1.0 미만

AE감수제 6±0.5

고성능 감수제

320 180±10

기준공기량+1.0 미만

고성능 AE감수제 6±0.5

※ 단, 공급원 승인시 성적서는 KS F 2560 기준을 따라도 됨

632 ❙ 기 타

4 현장 적용방안

 적용계획

구 분 적 용 계 획

신설

고성능 감수제 품질기준

본 지침 시행 후 즉시

염화물이온량 및 전체 알칼리량

신속 인수검사 시험방법 현행 고형분량 시험법 적용가능

개선

유동화제 품질기준

(숏크리트 포함) 본 지침 시행 후 즉시

인수검사 관리기준

배합조건 신규 배합설계시 적용

 관련규정 개정 시 반영

ㅇ 고속도로 현장 품질시험기준(품질팀)

ㅇ 고속도로 공사용 건설재료 품질기준 및 전문시방서(도교원)

 정산 및 설계변경(품질시험비)

ㅇ 공사시행부서에서 총사업비 등 현장여건 감안 적용

* 「고속도로건설공사 품질기준 개선」준용 [녹색환경처-4341호(‘12.11.8)

 품질관리 적정성 확인 점검 시 이행실태 확인

* 재료 품질기준 만족 여부 및 이행절차 적정성 확인

붙 임 : 1. 화학혼화제 품질기준 1부.

2. 주요 품질기준 변경사항 대비표 1부. 끝.

기 타 ❙ 633

기 타

■ 콘크리트용 화학혼화제 품질기준

종 류

품질항목

KS F 2560

고성능감수제

(신설)

AE제

감 수 제 AE 감수제

고성능

AE감수제

표준형 지연형 촉진형 표준형 지연형 촉진형 표준형 지연형 표준형 지연형

감 수 율 (%) 6 이상 4 이상

10

이상

10

이상

8

이상

18 이상 12 이상

블리딩 양의 비 (%)

75

이하

100 이하 70 이하

60

이하

70

이하

-

응결

시간

(min)

초 결

-60~

+60

-60~

+90

+60~

+210

+30

이하

-60~

+90

+60~

+210

+30

이하

-30~

+120

+90~

+240

-60~

+90

+60~

+210

종 결

-60~

+60

-60~

+90

+210

이하

0

이하

-60~

+90

+210

이하

0

이하

-30~

+120

+240

이하

-60~

+90

+210

이하

압축

강도

(%)

재령 3일

95

이상

115

이상

105

이상

125

이상

115

이상

105

이상

125

이상

135 이상 135 이상

재령 7일

95

이상

110

이상

110

이상

115

이상

110

이상

110

이상

115

이상

125 이상 125 이상

재령 28일

90

이상

110 이상 110 이상 115 이상 115 이상

길이 변화비 (%)

120

이하

120 이하 120 이하 110 이하 110 이하

동결융해 저항성2)

(A법, 200싸이클,

상대 동탄성계수, %)

80

이상

- 80 이상 80 이상 -

경시

변화

슬럼프(㎜,

1시간)

- - - 60 이하 60 이하

공기량(%,

1시간)

- - ±1.5이내 -

염화물

이온량(kg/㎥)3)

(신설)

0.02 이하

전체

알칼리량(kg/㎥)4)

(신설)

0.3 이하

관리

시험

(변경)

5)

고형분의

차(%)

기준 고형분량 25% 이상 : 기준값 대비 ±5 이하

기준 고형분량 25% 미만 : 기준값 대비 ±10 이하

밀도의 차(g/㎤)

기준 밀도 1.10 초과 : 기준값 ±0.03

기준 밀도 1.10 이하 : 기준값 ±0.02

2) KS F 2456의 A방법(수중 급속 동결융해 시험방법)에 따른다.

3) 화학혼화제중의 염화물 이온량을 측정하여 콘크리트중 화학혼화제의 염화물 이온량으로 환산한다.

4) 화학혼화제중의 전체알칼리량을 측정하여 콘크리트중 화학혼화제의 전체 알칼리량으로 환산한다.

5) 기준 고형분량 및 밀도값은 최초 입수검사시 측정된 값으로 한다.

붙임#1

634 ❙ 기 타

■ 유동화제 품질기준

o 한국콘크리트학회 규준 KCI AD-101에 따르나 공기량 기준은 우리공사 기준

을 따른다.

o 적용범위

- 미리 비벼놓은 콘크리트(베이스 콘크리트)의 반죽질기를 일시적으로 향상시

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 배치플랜트에서 첨가하여 현장 운반 및 시공되는 경우(숏크리트 포함)에는 고

성능감수제(고성능 AE감수제 포함) 품질기준을 적용하여야 한다.

품질항목 표준형 지연형

시험항목

슬럼프(㎜)

베이스 콘크리트 80±10

유동화 콘크리트 200±10

공기량(%)

베이스 콘크리트 6.0±0.5

유동화 콘크리트 6.0±0.5

블리딩의 차(㎣/㎟) 1 이하 2 이하

응결시간의 차(분)

초결 -30~+90 -60~+210

종결 -30~+90 +210 이하

시간에 따른(15분) 슬럼프 감소량(㎜) 40 이하

시간에 따른(15분) 공기량의 감소(%) 1.0 이하

압축강도비 3, 7, 28일 90 이상

길이변화비(%) 120 이하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

(A법, 200싸이클, 상대동탄성계수비, %)1)

90 이상

염화물 이온량(kg/㎥)2)

(신설)

0.02 이하

전체알칼리량(kg/㎥)3)

(신설)

0.3 이하

관리시험4)

(변경)

고형분량의 차(%)

기준 고형분량 25% 이상 : 기준값 대비 ±5 이하

기준 고형분량 25% 미만 : 기준값 대비 ±10 이하

밀도의 차(g/㎤)

기준 밀도 1.10 초과 : 기준값 ±0.03

기준 밀도 1.10 이하 : 기준값 ±0.02

1) KS F 2456의 A방법(수중 급속 동결융해 시험방법)에 따르며, 베이스콘크리트와 유동화콘크리트 상대동탄성계수

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다.

2) 화학혼화제중의 염화물 이온량을 측정하여 콘크리트중 화학혼화제의 염화물 이온량으로 환산한다.

3) 화학혼화제중의 전체알칼리량을 측정하여 콘크리트중 화학혼화제의 전체알칼리량으로 환산한다.

4) 기준 고형분량 및 밀도값은 최초 입수검사시 측정된 값으로 한다.

기 타 ❙ 635

기 타

636 ❙ 기 타

기 타

❙ 637 기 타

638 ❙ 기 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9877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570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186
141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2_부채경감을 위한 경제적 방음대책 시행 방안 file 효선 2024.08.05 1211
141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3_차선도색 시행기준 개선(안) file 효선 2024.08.05 1395
141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4_역주행 자동검지 시스템 시범구축 file 효선 2024.08.05 1036
141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5_고속도로 휴게소 속도제한 관련 시설 개설방안 file 효선 2024.08.05 1173
141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6_고속도로 건설공사 염수분사시설 설계 적용기준 검토 file 효선 2024.08.05 931
141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7_교량용 방호울타리 SB6 등급 적용기준 검토 file 효선 2024.08.05 1157
140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8_방음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file 효선 2024.08.05 1292
140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9_도로표지 시인성 향상 방안 file 효선 2024.08.05 894
140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11공사중 방음벽 형식선정 기준 개선 file 효선 2024.08.05 951
140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8-12울타리 적용기준 개선 및 기술 개발 file 효선 2024.08.05 1955
140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9-1_복합휴게시설 부지확보방안 file 효선 2024.07.26 760
140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9-2_건설사업단 감독차량 운영 개선방안 file 효선 2024.07.26 753
140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9-3_국민행복 휴게시설 설치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7.26 882
140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9-4_사업기간을 고려한 실시설계 최적화 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7.26 660
140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9-5_태양열급탕시스템 집열기 설치가대 기초 시공 개선 file 효선 2024.07.26 565
140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9-6_설계시 확장공사 회수자재 처리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7.26 716
139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9-7_케이블트레이 품질 개선 file 효선 2024.07.26 1102
139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9-8_2020 스마트톨링 대비 영업소 규모 개선 방안 수립 file 효선 2024.07.26 794
139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9-9_슬림형 영업소 도입에 따른 건축기계설비 설계기준 개선 file 효선 2024.07.26 596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5년_9-10_콘크리트용 화학혼화제 품질기준 개선 적용 알림 file 효선 2024.07.26 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