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13-5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에 대해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KS F 2455 굳지 않은 콘크리트 중의 모르타르와 굵은 골재량의 변화율() 시험 방법

KS F 2509 잔골재의 표면수량 측정 방법

KS F 4009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1.3 제 출 물

이 시방서 총칙편 제4장 1.3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품질시험성과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용 재료는 별도로 규정하지 않는 한 이 시방서 13-4절의 2.2의 규정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2.1 콘크리트의 품질에 관한 지정 및 지시

2.1.1 콘크리트의 설계기준 강도슬럼프 및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설계도서에 따르며기타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는 감독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1) 시험실에서 양생한 공시체의 강도는 다음의 두 요건이 충족되면 만족할

만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① 3번의 연속강도 시험의 결과 그 평균값이 f 이상일 때

② 개개의 강도 시험값이 f35 MPa인 경우 (f -3.5)MPa이상일 때또는 f >35MPa인 경우 0.9f 이상일 때

(2) 강도 시험에서 공시체의 재령은 표준품인 경우 28특수품인 경우 구입자가 지정한 일수로 한다.

(3) 슬럼프 및 공기량은 설계도서에 명시한 것에 대하여 표 13-5-1, 표 13-5-2

의 허용차 범위 이내이어야 한다.

 

 

 

 

 

 

 

 

표 13-5-1 슬럼프의 허용차

 

항 목

허 용 차 (mm)

슬 럼 프

(mm)

25

±10

50 및 65

±15

80 이상 180 이하

±25

210

±30

 

 

 

표 13-5-2 공기량의 허용차

 

항 목

공 기 량 (%)

허 용 차 (%)

보통 콘크리트

4.5

±1.5

경량 콘크리트

5.5

포장 콘크리트

4.5

고강도 콘크리트

3.5

 

 

 

표 13-5-3 압축강도에 의한 품질검사

 

항 목

 

 

- 3조 이상 제작시

 

 

 

 

f ≤ 35 MPa

f > 35 MPa

 

 

 

 

① 연속3회 시험값의

평균이 설계기준

압축강도 이상

② 1회 시험값이 설계

기준압축강도3.5

MPa 이상

① 연속3회 시험값의

평균이 설계기준

압축강도 이상

② 1회 시험값이 설계

기준압축강도의

90 % 이상

 

 

 

 

- 3조 미만 제작시

각 1(3압축강도 시험값의 평균이 설계기준 압축강도 이상

 

 

 

 

 

(4) 콘크리트에 포함된 염화물 함유량은 콘크리트 배출 지점에서 염소 이온

(Cl-)량으로서 0.30 /m 이하이어야 한다다만구입자의 승인을 얻은 경

우에는 0.60 /m 이하로 할 수 있다.

2.1.2 공장은 원칙적으로 KS 표시허가 인증 공장으로서 재료시험기사의 자격을가진 기술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지식경험이 있는 기술자가 상주하는 공장을 선정하여야 한다.

 

 

 

 

 

 

 

 

2.2 재료의 계량

2.2.1 각 시료는 시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고쳐 계량한다잔골재의 표면수량 시험은 KS F 2509에 따라야 한다.

2.2.2 각 재료는 1회 비비기 양마다 질량으로 계량한다물과 혼화제 용액은 질량 또는 체적으로 계량한다.

2.2.3 각 재료의 계량오차는 표 13-5-4의 값 이하로 한다.

 

 

표 13-5-4 재료의 계량 오차

 

재 료 의 종 류

측정단위

1회 계량분량의 한계오차

시멘트

질량

-1 %, +2 %

골재

질량

±3

질량 또는 부피

-2 %, +1 %

혼화재

질량

±2 %

혼화제

질량 또는 부피

±3

 

 

 

2.2.4 혼화재는 질량으로 계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포대수로 계량할 경우

에는 감독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3 제조설비

2.3.1 재료저장 설비

(1) 시멘트의 저장 설비는 품종별로 구분하며시멘트의 풍화를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2) 골재의 저장설비 및 저장설비로부터 배치 플랜트까지의 운반설비는 균등한 골재를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① 골재의 저장 설비는 종류품종별로 칸막이를 설치하고크고 작은 골재가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있어야 한다.

② 골재의 저장바닥은 콘크리트 등으로 하고배수시설을 하여야 하며 해로운 물질이 혼입되지 않아야 한다..

 경량골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살수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③ 골재의 저장은 콘크리트 최대 출하량의 1일분 이상에 상당하는 골재를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3) 혼화재료의 저장설비는 종류품종별로 구분하고혼화재료의 품질의 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어야 한다.

2.3.2 배치 플랜트

(1) 배치플랜트에는 각 재료별 저장빈(Bin)을 구비하여야 한다.

(2) 계량기는 이 시방서 13-5의 2.2에 규정한 오차로 각 재료를 계량할 수 있는 정밀도를 갖는 것이어야 하며계량한 값은 정밀도로 지시할 수 있는지시계를 갖추어야 한다.

(3) 모든 지시계는 조종원이 볼 수 있는 곳에 위치하고계량기는 조종원이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어야 한다.

(4) 계량기는 서로 다른 배합의 각 재료를 연속적으로 계량할 수 있어야 한다.

(5) 계량기는 잔골재의 표면수량에 따른 계량치의 보정을 쉽게 할 수 있는 장치를 갖추어야 한다.

2.3.3 믹 서

(1) 믹서는 고정식 믹서를 사용하여야 한다.

(2) 믹서는 소정 슬럼프의 콘크리트를 규정한 용량으로 비빌 때 각 재료를 충분히 비벼 균일한 상태로 배출할 수 있어야 한다.

 믹서는 소정의 용량을 소정의 시간에 혼합하여 KS F 2455 (믹서로 비빈 크리트 중의 모르타르와 굵은 골재량의 변화율(시험 방법)에 따라 시험한 값이 다 음에 표시한 값 이하이면 콘크리트를 균등히 비빌 성능을 가졌다고 생각해도 좋다.

콘크리트 중의 모르타르의 단위용적 질량차․․․․․․․․0.8 %

콘크리트 중의 단위 굵은 골재량의 차․․․․․․․․․․5 %

2.3.4 운반차

(1) 콘크리트의 운반에는 다음 성능을 가진 트럭 믹서 또는 트럭에지테이터를 사용한다.

① 비빈 콘크리트를 충분히 균일하게 유지하고 재료분리를 일으키지 않도록 쉽고도 완전하게 배출할 수 있어야 한다.

② 콘크리트의 1/4과 3/4의 부분에서 각각의 시료를 샘플링하여 슬럼프 시험을 하였을 경우그 양쪽의 슬럼프 차가 ㎝ 이내이어야 한다.

(2) 덤프 트럭은 포장용 콘크리트를 덤프 트럭으로 운반하는 계약을 했을 때만 사용할 수 있다덤프 트럭의 적재함 바닥은 평활하고 방수적인 것으로 하

필요에 따라 바람비에 대한 보호로 방수 덮개를 가진 것이어야 한다.

 이때는 배출되는 콘크리트 흐름의 개개 부분의 전 단면을 끊어지도록 시료를 채취한다.

2.4 혼 합

2.4.1 콘크리트는 본절 2.3.3에서 규정하는 믹서로 공장 내에서 균일하게 비비는 것으로 한다.

2.4.2 콘크리트의 비빔량 및 비비기 시간은 KS F 2455에서 규정한 시험을 하여 결정하는 것으로 한다

 

 

 

 

 

 

 

 

2.5 운 반

2.5.1 콘크리트의 운반은 본절 2.3.4에서 규정하는 운반차로 운반하여야 한다.

2.5.2 트럭 믹서나 트럭 에지테이터를 사용할 경우콘크리트는 비비기를 시작하여 1.5시간 이내에 공사지점에서 배출할 수 있도록 운반하여야 한다그러나 감독원의 승인을 받아 운반시간의 한도를 단축 또는 연장할 수 있다.(4)

2.5.3 포장용 콘크리트를 운반할 경우덤프 트럭 운반시간의 한도는 비비기를 시작하여 1시간 이내로 한다.

공사 지점에서 배출할 때콘크리트 표면에서 1/3과 2/3의 분량에서 각각의 시료를 채취하여 슬럼프 시험을 하였을 경우그 양쪽의 슬럼프 차가㎝ 이상 되어서는 안된다.

 더운 여름철에는 운반시간의 한도를 짧게 하는 것이 좋다.

 

 

2.6 비비기 및 운반에 대한 통제

2.6.1 한 배치와 다음 배치의 콘크리트를 치는 시간 간격을 통제하여야 하며 어떠한 경우라도 30분을 초과하여서는 안된다.

2.6.2 콘크리트 혼합물의 균질성과 품질관리를 위하여 계약상대자는 현장과 배치플랜트장에 2방향 통신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2.6.3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운반방향과 시간을 통제하기 위하여 감독원은 배치플랜트장에서 콘크리트 기록표를 작성하여 트럭 운전자에게 발부하여야 한다.

2.6.4 콘크리트 기록표에는 배치플랜트 명칭 및 위치한배치의 크기콘크리트의 등급비비기 완료시간과 필요시에는 드럼의 회전수도 기록하여야 한다.

2.6.5 현장 도착 후 트럭 운전원은 콘크리트의 기록표를 타설현장에 있는 감독원에게 제출하여야 하며 현장에 도착된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기록표에 의하여 시방기준에 맞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사용하여야 한다.

 

 

3. 시 공

해당없음

 

 

 

 

 

13-6 혼화재료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콘크리트용 혼화재료로 사용할 혼화재와 혼화제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KS A 5101-1 시험용체-1부 금속 망 체

KS F 2560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

KS F 2561 철근콘크리트용 방청제

KS F 2562 콘크리트용 팽창재

KS F 2563 콘크리트용 고로 슬래그 미분말

KS L 5106 공기투과장치에 의한 포틀랜드 시멘트의 분말도 시험방법

KS L 5405 플라이애시

ASTM C 1017/C 1017M Standard Specification for Chemical Admixtures for Use in Producing Flowing Concrete

ASTM C 1107 Standard Specification Packaged Dry, Hydraulic-Cement Grout(Nonshrink)

 

 

1.3 제 출 물

이 시방서 총칙편 2-4절 1.5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1 저장상 유의점

2.1.1 혼화재료는 먼지 기타의 불순물이 혼입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하며분말상으로 된 혼화재는 습기를 흡입하거나 굳어지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하고액체상의 혼화제는 분리하거나 변질하는 일이 없도록 저장하여야 한다.

2.1.2 혼화재는 비산하지 않도록 취급에 주의하여야 한다.

2.1.3 혼화재는 방습적인 사이로창고 등에 품종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입하순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2.1.4 혼화재료의 저장기간이 너무 오래되었거나 이상이 있다고 인정될 경우에는 사용하기 전에 시험하여야 한다시험결과 규정된 성질을 얻지 못할 때는 그 혼화재료를 사용하여서는 안된다.

2.2 혼화재료의 종류 및 품질기준

콘크리트용 혼화재료에는 혼화재와 혼화제가 있다혼화제에는 AE, AE감수제고성능AE감수제감수제응결경화촉진제지연제급결제방수제발포제접착제유동화제 및 철근의 방청제수중불분리성혼화제무수축그라우트제 등이 있으며혼화재에는 플라이애시고로슬래그 미분말천연포졸란실리카퓸팽창혼화재착색재 등이 있다.

2.2.1 혼화제

(1) 혼화제로 사용할 AE, AE감수제고성능AE감수제 및 감수제는 KS F 2560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2)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의 종류는 표 13-6-1과 같다.

 

 

표 13-6-1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의 성능에 따른 구분

 

종 류

A E 

-

감 수 제

표 준 형

지 연 형

촉 진 형

AE 감수제

표 준 형

지 연 형

촉 진 형

고성능 AE 감수제

표 준 형

지 연 형

 

(3) 혼화제의 품질은 KS F 2560에서 규정하고 있는 시험방법과 관리시험으로

서 고형분의 차 및 비중의 차에 대한 시험에 따라 시험했을 때 표 13-6-2

의 품질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① 화학혼화제의 품질시험은 KS F 2560의 6에 규정된 시험에 따른다.

② AE제의 고형분의 차에 대한 시험은 ASTM C 260에 규정된 시험방법에 따른다.

③ 감수제, AE감수제고성능 AE감수제유동화제에 대한 고형분의 차 및 비중의 차에 대한 시험은 각각 ASTM C 494 및 KS A 0601에 따른다.

④ 혼화제 관리시험으로서 고형분량과 비중의 차에 대한 시험기준은 선정시험 또는 최초 반입시 입고검사 결과를 기준으로 선정한다.

⑤ 동결융해저항성 시험방법에 대해서는 KS F 2456에 규정된 A방법(수중동결 수중융해방법)에 따르며제작후 14일간 표준양생후 시작하며, 200싸이클을 기준으로 한다.

⑥ 화학혼화제 선정 및 최초 입고검사 시험에 사용되는 골재는 현장에서 사용되는 골재를 사용한다.

 

 

(4) 유동화제는 별도로 규정하는 규준(콘크리트용 유동화제 품질규준)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유동화제의 경우에도 화학혼화제의 관리시험으로서 고형분량의 차 및 비중의 차는 표 13-6-2에 규정된 값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5) 수중불분리성 혼화제는 별도로 정하는 규준(콘크리트용 수중불분리성 혼화제 품질규준)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6) 무수축그라우트제는 ASTM C 1107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7) 방청제는 KS F 2561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8) (3)~(7)이외의 혼화제에 대해서는 그 품질을 확인하고 사용법을 충분히 검토한 후 감독원의 승인을 받아 사용하여야 한다.

 

 

표 13-6-2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의 성능

 

종 류

품질항목

AE

감 수 제

AE 감수제

고성능 AE 감수제

표준형

지연형

촉진형

표준형

지연형

촉진형

표준형

지연형

감 수 율 (%)

이상

이상

이상

이상

10 이상

10 이상

이상

18 이상

18 이상

블리딩 양의 비 (%)

75 이하

100 이하

100 이하

100 이하

70 이하

70 이하

70 이하

60 이하

70 이하

응결시간의 차

(min)

초 결

-60+60

-60+90

+60+210

+30 이하

-60+90

-60+210

+30이하

-30+210

+90+240

종 결

-60+60

-60+90

+210 이하

이하

-60+90

+210 이하

이하

-30+210

+240 이하

압축강도의 비

(%)

재령 3

95 이상

115 이상

105 이상

125 이상

115 이상

105 이상

125 이상

135 이상

135 이상

재령 7

95 이상

110 이상

110 이상

115 이상

110 이상

110 이상

115 이상

125 이상

125 이상

재령 28

90 이상

110 이상

110 이상

110 이상

110 이상

110 이상

110 이상

115 이상

115 이상

길이 변화비 (%)

120 이하

120 이하

120 이하

120 이하

120 이하

120 이하

120 이하

110 이하

110 이하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 (상대 동탄성계수, %)

80 이상

-

-

-

80 이상

80 이상

80 이상

80 이상

80 이상

경시

변화량

슬럼프(mm)

-

-

-

-

-

-

-

60 이하

60 이하

공기량(%)

-

-

-

-

-

-

-

±1.5 이내

±1.5 이내

 

비고 1. 슬럼프 80 mm 및 180 mm의 콘크리트 모두 위의 규격에 적합하여야 한다, AE제 및 AE감수제의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상대동탄성계수)의 규정값은 슬럼프80 mm, 고성능 AE감수제의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상대동탄성계수및 경시변화량의 규정값은 슬럼프 180 mm의 콘크리트에 대하여 각각 적용한다.

2. 전체알칼리양은 0.3 /m 이하여야 한다.

 

 

 

 

2.2.2 혼화재

(1) 플라이애시

① 혼화재로 사용할 플라이애시는 KS L 5405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② 플라이애시란 미분탄 연소보일러의 연소가스로부터 집진기로 채취한 재로서콘크리트의 혼화재로 사용시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개선하여 단위수량을 감소시키고수화열로 인한 온도상승을 감소시킬 수 있고장기강도를 증가 시킬 수 있으며수밀성 증대 및 화학적 침식에 대한 내구성 증대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야 한다.

③ 플라이애시의 품질은 표 13-6-3의 규격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

 

 

표 13-6-3 플라이애시의 품질기준

 

종 류

항 목

플라이애시 1

플라이애시 2

비 고

이산화규소 (%)

45.0 이상

45.0 이상

 

 

수 분 (%)

1.0 이하

1.0 이하

 

 

강 열 감 량 (%)

3.0 이하

5.0 이하

 

 

밀 도 (g/cm3)

1.95 이상

1.95 이상

 

 

분말도

4.5체 잔분

(망체 방법)(1)(%)

10 이하

40 이하

 

 

비교면적

(브레인방법)(cm2/g)

4,500 이상

3,000 이상

 

 

플로값 비(%)

105 이상

95 이상

 

 

활성도 지수

(%)

재령 28

90 이상

80 이상

 

 

재령 91

100 이상

90 이상

 

 

 

 브레인 방법(공기투과 장치에 의한 분말도)에 따르되 망체 방법은 참고값으로 한다.

④ 플라이애시를 포장할 때는 시멘트용 크라프트 종이포대 등 방습용 포대를 사용하거나 벌크차를 사용한다지대 표면에는 명칭무게 또는 부피, 제조자명 또는 그 약호제조년월일 또는 그 약호취급상의 주의사항에

대하여 표시한다.

⑤ 알칼리 골재반응 억제를 위하여 포장콘크리트에 플라이애시를 사용하는 경우 KS L 5405에 규정된 품질기준 외에 산화칼슘 및 총알카리량에 대서 표 13-6-4의 요구사항을 민족하여야 한다.

표 13-6-4 알칼리 골재반응 억제를 위한 플라이애시의 품질기준

 

종 류

항 목

1

2

비 고

산화칼슘(CaO,%)

10 % 이하

10 % 이하

 

 

총알카리량(NaO ,%)

2 % 이하

2 % 이하

 

 

 

 

 

⑥ 플라이애시에 포함된 미연탄소는 공기연행제를 흡착하여 연행공기량이 감소되므로 소요 공기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공기연행제 사용량을 적절히 증가시켜야 한다.

(2) 고로슬래그 미분말

①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KS F 2563(시멘트 콘크리트용 고로슬래그 미분말)에 적합한 것으로 표 13-6-5에 따른다.

② 일반적인 콘크리트용으로는 3종 고로슬래그 미분말이 사용되고 있으며, 1종 및 2종의 경우 분말도가 높은 관계로 콘크리트의 수화열을 증가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사용상 주의를 요한다.

 

 

표 13-6-5 고로슬래그 미분말 품질기준

 

종 류

항 목

1

2

3

밀도(g/cm )

2.80 이상

2.80 이상

 

 

2.80 이상

 

 

비표면적(cm/g)

8,000 ~ 10,000

6,000 ~ 8,000

4,000 ~ 6,000

활성도 지수(%)

7

95 이상

75 이상

55 이상

28

105 이상

95 이상

75 이상

91

105 이상

105 이상

95 이상

플로우값 비(%)

95 이상

95 이상

95 이상

산화마그네슘(MgO, %)

10.0 이하

10.0 이하

10.0 이하

삼산화황(SO , %)

4.0 이하

4.0 이하

4.0 이하

강열감량(%)

3.0 이하

3.0 이하

3.0 이하

염화물 이온(%)

0.02 이하

0.02 이하

0.02 이하

 

(3) 실리카퓸

① 실리카퓸은 KS F 2567(콘크리트용 실리카퓸)에 적합한 것으로 하고 품질은 표 13-6-6에 따른다.

② 실리카퓸은 재료의 취급방법에 따라 분말상(Undensified Type, As-Produced Type)과 일정한 압력으로 응축시킨 과립상(Densified Type), 물을 첨가시 킨 슬러리형(Slurry Type)으로 크게 구분된다.

③ 분말상과립상 및 슬러리형 실리카퓸의 고체성분은 다음 품질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슬러리형 실리카퓸의 고체성분비(고형분)는 제조자가 표시한 값에 대해 0.96배에서 1.04배의 범위를 넘어서는 안된다.

④ 실리카퓸은 고강도 콘크리트용으로 주로 사용되므로 분말도이산화규소 함량이 높은 것이 조기강도 발현에 유리하다.

 

 

표 13-6-6 실리카퓸 품질기준

 

종 류

항 목

품질 기준

비표면적(BET)(m/g)

15 이상

활성도 지수(%)

재령 7

95 이상

이산화 규소(SiO , %)

85 이상

산화마그네슘(MgO, %)

5.0 이하

삼산화황(SO , %)

3.0 이하

염화물이온(%)

0.3 이하

강열감량(%

5.0 이하

45㎛ 체에 남는 양(%)

5.0 이하

 

(4) 팽창재

① 혼화재로 사용할 콘크리트용 팽창재는 KS F 2562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② 콘크리트용 팽창재를 적절하게 사용하여 팽창콘크리트를 만듦으로써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이나 경화수축 등에 기인하는 균열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고 혹은 화학적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균열에 대한 내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뛰어난 효과가 얻어진다.

③ 콘크리트용 팽창재는 KS F 2562 4.~6.에 의해 시험하고 표 13-6-4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

 

 

 

 

 

 

표 13-6-7 콘크리트용 팽창재 품질 기준

 

항 목

규 정 값

적용 시험항

화학 성분

산화 마그네슘 (%)

5.0 이하

KS F 2562의 6.1

강열 감량 (%)

3.0 이하

KS F 2562의 6.2

물리적 성질

비표면적 (cm/g)

2,000 이상

KS F 2562의 7.1

1.2mm 체잔분 (%)

0.5 이하

KS F 2562의 7.2

응 결

 

 

초 결 ()

60 이후

KS F 2562의 7.3

종 결 (시간)

10 이내

팽창성

(길이 변화율,%)

 

 

7

0.030 이상

KS F 2562의 7.4

28

-0.020 이상

압축 강도

MPa

3

6.9 이상

KS F 2562의 7.5

7

14.7 이상

28

29.4 이상

 

 1.2 mm 체는 KS A 5101-1에 규정하는 시험용체 1.18 mm이다.

 압축강도 시험용 모르터의 배합

 

재료

기호

재료의 질량(g)

시멘트

C

494

 

 

팽창재

E

26

표준모래

S

1040

W

338

 

 

※ 압축강도시험은 휨강도 시험(4×4×16 )완료후 공시체의 양쪽 꺽은 조각

(4×4×4 )을 사용한다.

④ 콘크리트용 팽창재를 포장할 때는 시멘트용 크라프트 종이 포대 등 방습 포장 포대에포장하지 않는 경우에는 벌크차의 송장에 명칭무게 또는 부피제조자명 또는 그 약호제조년월일 또는 그 약호취급상의 주의사항에 대하여 표시한다.

(5) (1), (2) 및 (3) 이외의 혼화재에 대해서는 그 품질을 확인하고그 사용방법을 충분히 검토한 후 감독원의 승인을 받아 사용하여야 한다.

3. 시 공

해당없음

 

 

13-7 줄눈 재료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콘크리트 신축이음에 사용하는 성형 및 주입 줄눈재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ASTM C 920 Standard Specification for Elastomeric Joint Sealants

ASTM C 1193 Standard Guide for Use of Joint Sealants

ASTM D 994 Standard Specification for Preformed Expansion Joint Filler for Concrete(Bituminous Type)

ASTM D 1752a Standard Specification for Preformed Sponge Rubber Cork and Recycled PVC Expansion Joint Fillers for Concrete Paving and Structural Construction

EN 14188-3 Specification for Preformed Joint Seals

ASTM D 5893 Standard Specification for Cold Applied, Single Component, Chemically Curing Silicone Joint Sealant for Portland Cement Concrete Pavements

ASTM D 6690 Standard Specification for Joint and Crack Sealants, Hot Applied, for Concrete and Asphalt Pavements

 

 

1.3 제출물

이 시방서 총칙편 2-4절 1.5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1 줄눈판

2.1.1 줄눈판은 콘크리트 슬래브 팽창수축에 순응하고 팽창시에 밀려 빠져나오지 않아야 하며수축시에는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줄눈판은 또한 내구적이고 설치할 때나 콘크리트를 다질 때에 부서지거나 구부러지거나 비틀어지지 않는 것으로 감독원의 승인을 받은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2.1.2 줄눈판의 종류에는 목재계역청질계고무스폰지 및 수지발포체계 등이 있다.

2.1.3 줄눈재료의 품질에 대한 시방은 KS를 기준으로 하되 KS에 규정되지 아니한 것은 ASTM D 994, D 1752, D 1854, D 2628, D 6690 등을 참조하여 감독원의 승인을 받아 품질시험을 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2.2 주입줄눈재

2.2.1 콘크리트포장용 주입줄눈재에는 가열시공식과 상온시공식이 있다.

2.2.2 주입줄눈재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팽창수축에 순응하고콘크리트와 잘 부착하며물에 녹지 않고 방수성이며고온시에 유출되지 않고 저온시에도 충격에 잘 견디며수분 및 이물질의 침입을 막고 또한 내구적인 것으로서 감독원이 승인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2.2.3 주입줄눈재용 프라이머는 주입줄눈재 재질에 따라 적합한 품질의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2.3 성형줄눈재

2.3.1 콘크리트 포장용 성형줄눈재에는 내화학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재료를 줄눈 폭깊이에 맞추어 사전 제작한 후 적정한 도구를 사용하여 줄눈에 삽입하여야 한다.

2.3.2 성형줄눈재는 줄눈 절단폭에 비하여 충분히 큰 폭의 것을 선택하여 줄눈에 삽입된 후 줄눈의 수축 시에도 함몰 또는 돌출이 발생하지 않고 제자리를 유지하여 수분 및 이물질의 침입을 막을 수 있어야 한다.

2.3.3 성형줄눈재용 프라이머는 줄눈재 재질에 따라 적합한 품질의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2.4 품질기준

2.4.1 아스팔트 계열의 줄눈재료 품질기준은 표 13-7-1과 같다.

 

 

표 13-7-1 아스팔트 계열 줄눈재료 품질기준 (ASTM D 6690-01)

 

종 류

Type 

Type 

Type 

Type 

설계사용조건

-18, 50신장 (extension)

D 6690

-29, 50신장

(extension)

D 3450

-29, 50신장

(extension)

SS-S1401C

-29, 200신장

(extension)

콘 침입도

(25)

90 이하(max.)

90 이하(max.)

90 이하(max.)

90 150

흐름성

(60,

mm )

5.0

3.0 이하(max.)

3.0 이하(max.)

3.0 이하(max.)

접착성

(비침지)

-18에서 시편(25.4)시편을 50%,

회 왕복시험 후 3개 중 2개 이상 이상 없을 것

-29에서 시편(12.7)시편을 50% ,

회 왕복시험 후 3개 모두 이상 없을 것

-29에서 시편(12.7)시편을 50% ,

회 왕복시험 후 3개 모두 이상 없을 것

-29에서 시편(12.7)시편을 200% ,

회 왕복시험 후 3개 모두 이상 없을 것

접착성

(침수)

-

-

-29에서 시편(12.7)시편을 50% ,

3회 왕복시험 후 3개 모두 이상 없을 것

-

원상회복률, %

-

60 이상 (min)

60 이상 (min)

60 이상 (min)

노화시험 후 회복률, %

-

-

60이상 (min)

-

아스팔트 호환성

이상없을 것

이상없을 것

이상없을 것

이상없을 것

 

※ 국내 콘크리트 포장체의 온도를 고려 Type 를 적용한다.

※ 움직임 허용치는 ASTM C 719 및 ASTM C 920에 의거하여 -50/+100으로 한다

 

 

 

 

 

 

 

 

 

 

 

 

 

 

2.4.2 실리콘 실란트의 품질기준은 표 13-7-2와 같다다만 국내 고속도로 여건에 따라 ASTM C 920 규정에 따른 Class 100/50등급이 사용되어야 하며 균일한 두께 유지를 위하여 Self-Levelling 타입을 적용하고 중분대 구체, L형 측구 및 다이크부에는 흐름방지를 위하여 Non-Sag 타입을 적용한다.

 

 

표 13-7-2 실리콘 실란트 품질기준(ASTM D 5893-04 및 ASTM 920)

 

시 험 항 목

시 험 방 법

품 질 기 준

유동성

ASTM C 639

굴곡 없는 매끄러운 표면

성형율(m/min)

ASTM C 1183

50 이상

가열처리후 효과

ASTM C 792

무게변화 10 % 미만,

균열백탁없을것

불 점착성(h)

ASTM C 679

이하

접착성

(-29 , 100 % ext., Immersed,

Non-Immersed, Oven-Aged)

ASTM D 5893

이상없을 것

경도(-29 , Type A2)

ASTM C 661

25 이하

경도( 23 , Type A2)

ASTM C 661

30 이상

흐름성

ASTM D 589

No flow

최대 신장율, %

ASTM D 412(C)

600 이상

인장력 150 %, 23 , kPa

ASTM D 412(C)

310 이하

촉진내후성, 5000시간

ASTM C 793

흐름끈적함필름형성재전환,

수포균열백탁등이 없을것

복원력, %

ASTM D 5893

75 이상

움직임허용치(-50/100 %)

ASTM C 719

흐름끈적함필름형성재전환,

수포균열백탁등이 없을것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EDS시험

ASTM E 1508

Si>C

 

※ 촉진내후성 시험은 공급원 승인을 위한 최초 시험단계에서 1회 실시하며 그 결과는 5년간 유효한 것으로 하며 이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EDS 시험법(ASTM E 1508)에 따른 성분분석 시험결과에서 종전의 재료성분과 차이가 나타나면 추가 촉진내후성 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2.4.3 성형줄눈재의 품질기준은 표 13-7-3을 적용한다.

 

 

표 13-7-3 성형줄눈재 품질기준 (EN14188-3; 2006)

 

시험항목

시험방법

품질기준

경 도

KS M 6784

IRHD 또는 듀로미터 경도 40~80

(허용오차 ±5)

인장강도

KS M 6782

9 MPa 이상

신장률

KS M 6782

400 % 이상 (경도 40±5), 375 % 이상 (경도 50±5),

300 % 이상(경도 60±5), 200 % 이상 (경도 70±5),

125 % 이상 (경도80±5)

압축율

EN14840,

ISO815

20% 이하(+70 ), 60% 이하(-25 )

(70 , 7일간에 대한

경도변화

인장강도변화

신장률의 변화

EN14840

-5 ~ +8

-20 % ~ +40 %

-30 % ~ +10 %

(경도가 80±5인 경우에는 -40 %~+10 %)

압축시 응력완화율

EN14840

50 %이하(경도 60 이하), 55 %이하 (경도70 이상)

저온과 고온에서의 회복력

EN14840

65 %이상(-25 ), 80 %이상 (70 )

오존 저항성

EN14840,

ISO 1431-1

균열이 없을 것

과도한 팽창에 대한 보호력

EN 14840

초기신장률 2.0 % 이하

300N에서의 신장률 5 % 이하

최초파단시 인장력 300 N 이상

 

※ 본 기준을 적용하는 성형줄눈 재료는 EPDM 및 폴리클로로프렌 계열로 한정한다.

 

 

3. 시 공

해당없음

 

 

 

 

 

 

 

 

13-8 콘크리트 양생재

13-8-1 콘크리트 양생용 액상피막 형성제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콘크리트 양생시 수분의 손실 방지에 적합한 액상피막 형성제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KS F 2406 콘크리트 양생용 재료의 보수능력 시험방법

KS F 2540 콘크리트 양생용 액상 피막 형성제

1.3 제출물

이 시방서 총칙편 2-4절 1.5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1 종 류

콘크리트 양생용 액상 피막 형성제에는 다음의 5가지 형식이 있으며이들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양생제로 사용하는데 적합할 뿐만 아니라거푸집 제거 후의 콘크리트 또는 초기 습윤양생후의 콘크리트 양생제로 사용하여도 적합하여야 한다.

1형 투명 또는 반투명

1-D형 투명 또는 퇴색이 잘되는 염료를 지닌 반투명

2형 백색안료 사용

3형 담회색 안료 사용

4형 흑색

 

 

2.2 품질기준

2.2.1 성분 및 성질

(1) 액상 피막 형성제의 성분은 제한되지 않으나유독하거나 인화성이 있어서는 안된다벤젠, 4염화탄소메틸알코올기타 유독재료는 허용될 수 없다.

(2) 투명 또는 반투명 1형 액상 피막 형성제는 담색으로일시적으로 염료가 함유되어 있어도 좋으며콘크리트 표면에 사용후 적어도 4시간동안 쉽게 식별할 수 있어야 하고이색은 필요하다면 사용 후 7일 이내에 눈에 띄지 않아야 한다.

(3) 백색안료를 사용한 2형 액상 피막 형성제는 미분백색안료와 전색제로 구성되며기존제품을 조합하지 않고 즉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이 형성제는 소정의 적용비율로서 새로운 콘크리트에 적용할 경우에는 균등한 백색 겉모양을 나타내고콘크리트의 원색을 효과적으로 감출 수 있는 것이라야 한다콘크리트에 소정의 비율로 사용한 경우에 햇볕에 3일간 노출시킨 형성제는 그 겉보기 일광 반사능력이 마그네시아의 반사능력의 60 %이상이어야 한다.

(4) 담회색 안료를 사용한 3형 액상 피막 형성제는 미분담회색 안료와 전색제로 구성되며기존제품을 조합하지 않고 즉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이 형성제는 소정의 비율로 새로운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경우에 균등한 담회색 외관을 나타내고콘크리트의 원색을 효과적으로 감출 수 있는 것이라야 한다콘크리트에 소정의 비율로 사용한 경우 햇볕에 3일간 노출시킨 형성제는 그 겉보기 일광 반사능력이 마그네시아 반사능력의 50 % 이상이라야 한다.

(5) 흑색의 4형 액상 피막 형성제에 대해서는 특별한 규정이 정해져 있지 않다.

2.2.2 피막의 성질

형성제는 습윤 콘크리트에 부착하고소정의 비율로 사용하였을 경우연속된 밀착 박막을 형성하여야 한다건조했을 때 피막은 연속하여 유연하고찢어지거나 구멍이 없어야 한다시험 공시체에 대하여 사용후 적어도 7일간 찢어지지 않는 피막으로 존재하여야 한다액상 피막형성제는 콘크리트에 대해 해로운 작용을 해서는 안된다.

2.2.3 컨시스턴시

액상 피막 형성제의 컨시스턴시는 24 ℃ 이상의 온도에서 분무노즐로 균등한 피복을 만들 수 있도록 쉽게 살포할 수 있어야 한다.

2.2.4 저장 안정도

피막 형성제는 변질되지 않고, 3개월 이상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다만 유제형의 형성제는 동해에 견딜 수 있다고 기대할 수 없다형성제는 침강하였을 때에도 약간의 교반으로 쉽게 균등질성이 되어야 한다.

2.2.5 건조시간

습윤 콘크리트 면에 소정의 비율로 사용하였을 경우피막 형성제는 온도 23±2 상대습도 50±10 %, 최대공기유속 180 m/min 표준시험실 조건에서 4시간 이내에 건조되어야 하며붙는 일이 없어야 한다. 12시간후 형성제는 그 위를 걸었을 때 자국이 나거나 붙지 않아야 하며, 미끈미끈한 면이 되어서는 안된다.

2.2.6 습기유지

보수성 시험에서 액상 피막 형성제는 KS F 2406에 따라 시험할 때 72시간 동안 표면에서 물이 0.55 kg/m보다 더 손실되어서는 안된다.

2.3 시료채취 및 시험방법

2.3.1 시료채취

액상 피막 형성제는 채취하기 전에 용기를 흔들어 잘 교반한다각각의 로트배치 또는 제조단위를 대표하는 1개의 용기에서 임의로 1개의 시료를 채취한다다만, 1개의 시료는 8,000  이하를 대표하여야 한다.

2.3.2 시험방법

보수성시험은 KS F 2406에 따른다.

 

 

2.4 포장 및 표시

액체 피막 형성제는 제조자가 봉인을 한 용기에 넣어야 한다.

용기에는 제조자명형성제명 및 제조자 배치번호를 알기 쉽게 표시하여야 한다용기의 내용은 시험한 시료와 같은 것이어야 한다.

 

 

3. 시 공

해당없음

 

 

 

 

 

 

 

13-8-2 분리막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콘크리트 포장의 분리막 공사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KS M 3509 포장용 폴리에틸렌 필름

KS M 7501 크라프트지

 

 

1.3 제출물

이 시방서 총칙편 2-4절 1.5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1 종 류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분리막에는 폴리에틸렌 필름(Polyethylene Film)과 크라프트지(Kraft Paper)가 있다.

 

 

2.2 품질기준

분리막은 무근 콘크리트포장 슬래브 바닥과 보조기층면 또는 빈배합 콘크리트층면과의 마찰저항을 감소시켜 슬래브의 팽창작용을 원활하게 하고콘크리트 모르타르의 손실을 방지하며보조기층면이나 빈배합 콘크리트의 이물질이 포장용 콘크리트에 혼입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재료를 말하며, KS T 1093(포장용 폴리에틸렌 필름), KS M 7501(크라프트지)의 규정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3. 시 공

해당없음

 

 

 

 

 

13-9 말 뚝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철근 콘크리트 말뚝강재 말뚝에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KS F 4301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 말뚝

KS F 4303 프리텐션방식 원심력 PC 말뚝

KS F 4306 프리텐션방식 원심력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

KS F 4307 프리텐션방식 진동 PC 말뚝

KS F 4602 강관말뚝

KS F 4603 H형강 말뚝

KS F 4604 열간 압연강 널말뚝

 

 

1.3 제 출 물

이 시방서 총칙편 2-4절 1.5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1 기성 철근콘크리트(RC) 말뚝

2.1.1 기성 철근콘크리트 말뚝은 중공원형단면을 가진 프리케스트 말뚝을 사용하여야 하며말뚝의 종류 및 규정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감독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1.2 기성 철근콘크리트 말뚝은 소정의 시설을 갖춘 승인된 제작자에 의하여 원심력 방법에 의하여 제작되어야 하며제작자는 말뚝의 콘크리트 강도, 비인장보강에 관한 설명서 등 상세한 자료를 첨부하여야 한다기성 철근 콘크리트 말뚝은 KS F 4301(원심력 철근콘크리트 말뚝)의 규격에 적합한 것을 표준으로 한다.

2.1.3 기성 철근콘크리트 말뚝의 선단은 타입에 대해 충분히 안전함과 동시에 지반에 알맞은 구조라야 한다.

2.1.4 기성 철근콘크리트 말뚝의 머리부는 타격에 대해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2.1.5 기성 철근콘크리트 말뚝의 이음은 원칙적으로 이음 철구를 이용한 아크용접 이음으로 한다.

2.2 PSC, PHC 말뚝

2.2.1 PSC(Pre-Tensioned Spun Concrete) 말뚝은 KS F 4303(프리텐션방식 원심력 PC말뚝), PHC(Pre-Tensioned Spun Hihg Strength Concrete) 말뚝은 KSF 4306(프리텐션 방식 원심력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의 규정에 적합한 것을 표준으로 한다.

2.2.2 PSC. PHC 말뚝의 선단은 타입에 대하여 충분히 안전하고 시공법을 고려한 구조임과 동시에 지반에 알맞은 구조라야 한다.

2.2.3 PSC. PHC 말뚝의 머리부분은 타격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2.2.4 PSC. PHC 말뚝의 머리부를 절단할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미리 말뚝의 머리부에 말뚝 본체 내 보강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2.3 강재말뚝

2.3.1 강재말뚝은 말뚝 본체선단부로 구분하며특별히 규정되어 있는 경우 기타 부분으로 구성된다그 형태는 설계도서에 따라야 한다강재말뚝은 이음이 없어야 하나 부득이한 경우에는 이음부분의 길이가 3 m 이상 되도록 또는 말뚝머리에서 1 m 이상 되는 부분에 이음을 할 수 있다이음 말뚝은 길이가 긴 부분이 말뚝의 끝단이 되게 타입하여야 한다이음하는 부분의 상세에 대하여는 타입 전에 감독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강관말뚝은 KS F 4602의 규정에 합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H형 강말뚝은 KSF 4603의 규정에 합격한 것이어야 하고강널말뚝은 KS F 4604의 규정에 합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2.3.2 강관말뚝 각 부분의 두께는 강도계산상 필요한 두께에다 부식에 의한 감소두께를 더한 것으로 결정되는데 최소 9 mm 이상으로 한다시공시 말뚝에 생기는 응력에 대해서는 전단면을 유효한 것으로 한다.

2.3.3 강관말뚝의 부식감소 두께는 말뚝이 흙 혹은 물에 접하는 면에 대해서 고려한다다만강관의 안쪽면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2.3.4 말뚝머리가 타입에 의해 해로운 손상을 입을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보강하며보강밴드의 두께는 9 mm를 표준으로 하고 지반조건(자갈호박돌 등등으로 말뚝 선단부에 과다 응력이 발생하여 말뚝 손상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선단부 밴드두께 확대에 대하여 검토 후 적용한다.

2.3.5 말뚝 선단이 장애물 등에 의해 해로운 손상을 입을 우려가 있는 경우 혹은 굳은 지반에 쉽게 타입되도록 할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 보강한다.

 

 

3. 시 공

해당없음

 

 

 

 

13-10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13-10-1 일반철근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철근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원형 및 이형봉강에 대해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KS D 3504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KS D 3051 열간 압연 봉강 및 코일 봉강의 모양 · 치수 및 무게와 그 허용차

 

 

1.3 제 출 물

이 시방서 총칙편 2-4절 1.5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1 봉강의 종류

이형봉강은 8종류로 하고그 종류 및 기호는 표 13-10-1-1에 따른다.

 

 

표 13-10-1-1 봉강의 종류 및 기호

 

종 류

기 호

용 도

이형봉강

SD 300

SD 350

SD 400

SD 500

SD 600

SD 700

일반용

SD 400W

SD 500W

용접용

 

2.2 봉강의 치수무게 및 그 허용차

2.2.1 이형봉강의 치수무게 및 마디의 허용한도는 표 13-10-1-3, 표 13-10-1-4의 기준에 따른다.

 

 

2.2.2 이형봉강의 표준길이는 표 13-10-1-2와 같고길이의 허용차는 표 13-10-1-5와 같다.

표 13-10-1-2 표준길이

 

표준길이 (m)

3.5, 4.0, 5.0, 5.5, 6.0, 7.0, 8.0, 9.0, 10.0, 11.0, 12.0

 

 

 

2.2.3 이형봉강 무게의 허용차는 계산질량과 실제질량과의 차를 계산질량으로 나누어 백분율로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다음의 두 가지 방법에 따른다.

(1) 이형봉강 1개를 선정하여 계량하였을 때의 무게와 표 13-10-1-3에 규정한 단위질량에 이 공시체의 길이를 곱하여 계산한 무게와의 차는 표

13-10-1-6의 허용차 범위 내이어야 한다.

(2) 이형봉강을 한 묶음으로 하여서 계량하였을 때의 무게와 표 13-10-1-3에 규정한 단위질량에 길이와 개수를 곱하여 계산한 무게와의 차는 표

13-10-1-7의 허용범위 내이어야 한다.

표 13-10-1-3 이형봉강의 치수 및 단위질량

 

호칭명

단 위

무 게

(/m)

공 칭

지 름

(d)

()

공 칭

단면적

(s)

()

공 칭

둘 레

()

()

마디의

평균간격최대값

()

마디 높이

마디틈의

합계의

최대값

()

마디와 축선과의각도

최소

()

최대

()

D 4

D 5

D 6

D 8

D 10

D 13

D 16

D 19

D 22

D 25

D 29

D 32

D 35

D 38

D 41

D 51

D 57

0.110

0.173

0.249

0.389

0.560

0.995

1.56

2.25

3.04

3.98

5.04

6.23

7.51

8.95

10.5

15.9

20.3

4.23

5.29

6.35

7.94

9.53

12.7

15.9

19.1

22.2

25.4

28.6

31.8

34.9

38.1

41.3

50.8

57.3

0.1405

0.2198

0.3167

0.4951

0.7133

1.267

1.986

2.865

3.871

5.067

6.424

7.942

9.566

11.40

13.40

20.27

25.79

1.3

1.7

2.0

2.5

3.0

4.0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6.0

18.0

3.0

3.7

4.4

5.6

6.7

8.9

11.1

13.4

15.5

17.8

20.0

22.3

24.4

26.7

28.9

35.6

40.1

0.2

0.2

0.3

0.3

0.4

0.5

0.7

1.0

1.1

1.3

1.4

1.6

1.7

1.9

2.1

2.5

2.9

0.4

0.4

0.6

0.6

0.8

1.0

1.4

2.0

2.2

2.6

2.8

3.2

3.4

3.8

4.2

5.0

5.8

3.3

4.3

5.0

6.3

7.5

10.0

12.5

15.0

17.5

20.0

22.5

25.0

27.5

30.0

32.5

40.0

45.0

45°

이상

 

비고이형봉강의 공칭지름은 단위 길이당의 무게가 그 이형철근과 동일한 원형봉강의

지름과 같은 것으로 한다.

비고표 13-10-1-3의 수치의 산출방법은 다음에 따른다.

 

공칭둘레() : 0.3142×d (소숫점 이하 첫째자리에서 끝맺음한다.)

단위무게 : 0.785×s (유효숫자 3째자리에서 끝맺음한다.)

마디간격 공칭지름의 70 % 이하로서 산출값을 소수점 이하 첫째자리에서 끝맺음한다.

마디높이 소수점 이하 첫째자리에서 끝맺음한다.

비고이형봉강의 마디의 틈의 합계는 공칭둘레의 25 % 이하로 하고산출값은 소수점 이하 첫째자리에서 끝맺음한다.

 리브와 마디가 떨어져 있는 경우 및 리브가 없는 경우에는 마디의 결손부의 나비를또 마디와 리브가 접속하고 있는 경우에는 리브의 나비를 각각마디의 틈으로 한다.

비고마디의 높이는 다음 표 13-10-1-4에 따르고 산출값을 소수점 이하 첫째자리에서 끝 맺음한다.

 

 

표 13-10-1-4 마디의 높이

 

치 수

마 디 높 이

최 소

최 대

호칭명 D13 이하

공칭지름의 4.0%

최소값의 2

호칭명 D13 초과 D19 미만

공칭지름의 4.5%

최소값의 2

호칭명 D19 이상

공칭지름의 5.0%

최소값의 2

 

표 13-10-1-5 이형봉강 길이의 허용차

 

길 이

길이의 허용차

7이하

7초과

 

 

+ 40mm, 0

길이 1및 그 단수가 증가할 때마다 위의 허용차에 5mm를 더한다최대값은 120mm까지로 한다.

 

주 1) 코일일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2) 주문자는 표기 이외의 허용차를 지정할 수 있다.

 

 

표 13-10-1-6 이형봉강 1개의 무게 허용차

 

치 수

무게의 허용차

적 용

호칭명 D10 미만

호칭명 D10 이상 D16 이하

호칭명 D16 이상 D29 이하

호칭명 D29 이상

규정하지 않음, -8 %

± 6 %

± 5 %

± 4 %

공시체의 채취방법 및 허

용차의 산출방법은 KS D

3504의 9.규격에 따른다.

 

표 13-10-1-7 이형봉강 1조의 무게 허용차

 

치 수

무게의 허용차

적 용

호칭명 D10 미만

호칭명 D10 이상 D16 이하

호칭명 D16 이상 D29 이하

호칭명 D29 이상

± 7%

± 5%

± 4%

± 3.5%

공시체의 채취방법 및 허

용차의 산출방법은 KS D

3504의 9.3 규격에 따른다.

 

 

 

2.3 품질 기준

2.3.1 봉강은 모양이 양호하고 품질이 균일하여야 하며사용상 해로운 결함이 없어야 한다.

2.3.2 봉강의 기계적 성질은 표 13-10-1-8에 적합하여야 한다.

 

 

표 13-10-1-8 봉강의 기계적 성질

 

종 류

기 호

항복점 또는

0.2%항복강도

(N/=MPa)

인장강도

 

 

(N/=MPa)

인 장

시 험 편

연신율(1)

(%)

굽 힘 성

굽힘

각도

안쪽 반지름

SD300

300 이상

440 이상

2호에 준한것

16이상

180°

D16 이하 공칭지름의 1.5

3호에 준한것

18이상

D16 초과 공칭지름의 2

SD350

350 이상

490 이상

2호에 준한것

18이상

180°

D16 이하 공칭지름의 1.5

D16 초과 D41이하 공칭지름의 2

3호에 준한것

20이상

D51 초과 공칭지름의 2.5

SD400

400 이상

560 이상

2호에 준한것

16이상

180°

공칭지름의 2

3호에 준한것

18이상

SD500

500 이상

620 이상

2호에 준한것

12이상

90°

D25 이하 공칭지름의 2.5

3호에 준한것

14이상

D25 초과 공칭지름의 3

SD600

600 이상

710 이상

2호에 준한것

10이상

90°

D25 이하 공칭지름의 2.5

3호에 준한것

D25 초과 공칭지름의 3

SD700

700 이상

800 이상

2호에 준한것

10이상

90°

D25 이하 공칭지름의 2.5

3호에 준한것

D25 초과 공칭지름의 3

SD400W

400 이상

560 이상

2호에 준한것

16이상

180°

공칭지름의 2.5

3호에 준한것

18이상

SD500W

500 이상

620 이상

2호에 준한것

12이상

90°

D25 이하 공칭지름의 2.5

3호에 준한것

14이상

D25 초과 공칭지름의 3

 

 이형봉강에서 치수가 호칭명 D32를 초과하는 것에 대하여는 호칭명 3을 증가할 때마

다 표 13-10-1-8의 연신율의 값에서 각각 2 % 를 감한다다만감하는 한도는 4 % 로한다.

 

 

2.4 시험편 제작 및 시험 방법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시험편 제작 및 시험은 KS D 3504에 규정된 방법에 따른다.

 

 

3. 시 공

해당없음

 

 

 

 

 

 

 

13-10-2 에폭시 피복 철근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철근 콘크리트 보강용 이형 철근을 정전 스프레이 방법에 의해 피복한 에폭시 피복 철근(이하 피복 철근이라 한다)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KS A 0006 시험 장소의 표준 상태

KS B 5521 인장시험기

KS D 0001 강재의 검사 통칙

KS D 3504 철근 콘크리트용 봉강

KS D 3512 냉간 압연 강판 및 강대

KS D 3565 상수도용 도복장 강관

KS D 3629 에폭시 피복철근

KS D 9502 염수 분무 시험 방법

KS F 2403 콘크리트의 강도 시험용 공시체 제작 방법

KS F 8004 콘크리트 봉형 진동기

KS M 5000 도료 및 관련원료의 시험 방법

 

 

1.3 제 출 물

이 시방서 총칙편 2-4절 1.5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피복 철근에 사용하는 철근은 KS D 3504의 이형 철근에 따른다다만그 이외의 철근을 필요로 할 때에는 인수 · 인도 당사자 사이의 협정에 따른다.

피복 철근에 사용하는 에폭시 수지 분체도료는 KS D 3629의 부속서 1에 따른다.

 

 

2.1 종류 및 기호

피복 철근의 종류 및 기호는 표 13-10-2-1에 따른다.

 

 

 

 

 

 

 

 

 

 

표 13-10-2-1 종류 및 기호

 

종 류

기 호

피복 철근

SD300A - FBE

SD300B - FBE

SD350 - FBE

SD400 - FBE

SD500 - FBE

 

비고 종류 기호는 KS D 3504의 이형 철근 기호 뒤에 FBE(Fusion Bonded Epoxy)의 뜻이다.

 

 

2.2 품질기준

2.2.1 겉 모 양

피복면은 경화 후 균일하여야 하며육안으로 식별되는 구멍 · 기포 · 갈라짐 · 미피복면 등이 없어야 한다.

2.2.2 피복 두께

피복 두께는 경화 후 KS D 3629의 6.1의 시험을 하여 180±50 이어야한다다만손상된 피복 수리 부분은 이 절 2.3.4에 따라 보수하고 보수된 부분은 이 한계를 적용시키지 않는다.

2.2.3 핀 홀

피복 철근의 핀홀 빈도는 KS D 3629의 6.2의 시험을 하여 미터 당 5개 이하이어야 한다.

주 핀홀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고 핀홀 시험기로 감지되는 작은 구멍을 말한다.

2.2.4 굽 힘 성

피복 철근의 굽힘성은 KS D 3629의 6.3의 시험을 하여 구부러진 철근의 바깥면에 피복의 갈라짐이나 벗겨짐이 없어야 한다.

2.2.5 열특성(피복경화)

피복 철근의 열특성은 KS D 3629의 6.4 및 부속서 2의 시험을 하여 ΔTg의 값이 ±5 ℃ 이내이어야 한다.

 

 

2.3 제조 방법

2.3.1 전처리

(1) 철근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밀 스케일기타 이물질은 숏 또는 그릿에 의해준나금속 브라스트 세정(Sa) 이상으로 처리되어야 하며브라스팅에 압축공기를 사용할 때는 압축공기 중의 기름이나 수분 등을 처리하여야 한다.

(2) 브라스트 후의 상태는 전반적으로 회백색의 금속표면이 나타나야 하며피복이 충분한 접착력을 갖도록 앵커패턴  을 0.05~0.10 mm 로 하여야 한다.

주 앵커패턴이란 피복의 접착력을 갖도록 표면에 요철을 주는 것을 말한다.

 

 

(3) 전처리된 철근은 육안으로 식별되는 표면산화가 일어나기 전 피복하여야 하며, 8시간 이상 지난 뒤에 피복 작업을 하여서는 안 된다.

2.3.2 예 열

전처리된 철근은 인덕션 히터에 의해 예열한다이때의 예열온도는 피복면이 완전히 경화될 수 있는 온도이어야 하며과열에 의한 청록산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2.3.3 피 복

에폭시 수지 분체 도료를 정전 스프레이 방법에 의해 예열된 철근에 피복하여야 한다.

2.3.4 손상된 도막의 보수

(1) 손상된 도막의 보수도장은 철근 0.3 m 당 최대 표면적 1 % 를 초과하여서는 안 된다.

(2) 제작과 취급 시의 손상된 모든 도막 부위는 보수도료를 이용하여 도장한다.

(3) 도막의 부착에 결함이 있을 경우에는 떨어진 도막을 제거하고 깨끗이 처리한 후 보수재료로 도장하여야 한다.

(4) 철근의 절단 부위에도 보수도료를 사용하여 도장하여야 한다.

 

 

2.4 시 험

피복두께핀홀굽힘성 및 열특성(피복경화시험은 KS D 3629의 6.에 따른다.

 

 

2.5 검 사

겉모양피복두께핀홀굽힘성열특성(피복경화및 KS D 3629의 부속서상의 콘크리트에 대한 부착력이 KS D 3629의 3. 및 부속서 1의 규정에 적합하여야 한다.

 

 

2.6 재검사

피복두께 검사 및 굽힘성 검사에서 합격하지 못한 피복 철근에 대하여는 다시 2개를 샘플링하여 검사하고 2개가 같이 합격하였을 때는 그 로트를 합격으로 한다.

 

 

2.7 표 시

피복 철근에는 종류의 기호지름 또는 호칭 지름제조자명 또는 그 약호를표시하여야 한다.

 

 

3. 시 공

해당없음

 

 

13-11 PS 강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PS 강재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KS D 3505 PS 강봉

KS D 3509 피아노 선재

KS D 3514 와이어 로프

KS D 7002 PS 강선 및 PS 강연선

 

 

1.3 제 출 물

이 시방서 총칙편 2-4절 1.5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1 PS 강선 및 강연선

PS 강선에는 원형과 이형이 있으며, PS 강연선에는 2연선, 3연선, 7연선 및 19연선이 있다. PS 강선 및 PS 강연선은 KS D 7002의 규정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2.1.1 종 류

PS 강선 및 PS 강연선의 종류 및 기호호칭은 표 13-11-1, 표 13-11-2와 같다.

 

 

 

 

 

 

 

표 13-11-1 종류 및 기호

 

종 류

기 호

단 면

PS 강 선

원형선

SWPC1AN, SWPC1AL

SWPC1BN, SWPC1BL

이 형 선

SWPD1N, SWPD1L

O

PS 강연선

연 선

SWPC2N, SWPC2L

이 형 연 선

SWPD3N, SWPD3L

◦◦

연선

SWPC7AN, SWPC7AL

◦ ◦

◦ ◦

SWPC7BN, SWPC7BL

◦ ◦

◦ ◦

19 연 선

SWPC19N, SWPC19L

◦ ◦

◦◦

◦ ◦

◦ ◦

◦◦◦

◦ ◦

◦ ◦

◦ ◦

 

비고 1. 원형선 B종은 A종보다 인장강도가 100MPa 높은 종류를 나타낸다.

2. 7연선 A종은 인장강도 1720 MPa, B종은 1860 MPa, C종은 2160 MPa, D종은 2400 MPa를 나타낸다.

3. 릴렉세이션규격 값에 따라 보통선은 N, 낮은선은 L의 기호를 끝에 붙인다.

4. 19연선에서 단면이 28.6 mm 인 것은 실형이나 워링톤형으로 하고그 외의 19연선 단면은 실형으로 한다실형워링톤형은 KS D 3514에 따른다.

 

 

 

 

 

 

 

 

 

 

 

 

 

 

표 13-11-2 호 칭

 

기 호

호 칭

SWPC1AN SWPC1AL

SWPC1BN

SWPC1BL

SWPD1N

SWPD1L

(2.9mm), (3.5mm), (4mm), (4.5mm), 5mm, (6mm), 7mm, 8mm, 9mm

SWPC2N

SWPC2L

2.9mm 2연선

SWPD3N

SWPD3L

2.9mm 3연선

SWPC7AN

SWPC7AL

(7연선 6.2mm), (7연선 7.9mm), 7연선 9.3mm, 7연선 10.8mm, 7연선 12.4mm, 7연선 15.2mm

SWPC7BN

SWPC7BL

7연선 9.5mm, 7연선 11.1mm, 7연선 12.7mm, 7연선 15.2mm

SWPC19N

SWPC19L

19연선 17.8mm, 19연선 19.3mm, 19연선 20.3mm, 19연선 21.8mm

19연선 28.6mm

 

비고 : ( )를 붙인 호칭의 선 및 연선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2.1.2 치수 및 허용차

PS 강선 및 PS 강연선의 표준지름과 각각에 대한 허용차공칭단면적 및 단위무게는 표 13-11-3 및 표 13-11-4에 따른다이형선의 공칭지름은 SWPC1AN, SWPCAL, SWPC1BN, SWPC1BL의 표준지름을 적용하고그 허용차는 규정하지 않는다또한이형3연선의 바탕선의 표준지름은 2연선의 경우와 같은 것으로 하고그 허용차는 규정하지 않는다연선의 꼬는 길이는 연선의 각부에서 일정하고, 2연선 및 이형 3연선에서는 표 13-11-3의 2연선의 표준지름의 24~32, 7연선 및 19연선에서는 표13-11-3의 각각의 표준지름의 12~18배이어야 한다.

 

 

 

 

 

 

 

 

 

 

표 13-11-3 치수 및 허용차

 

 

 

기 호

호 칭

표준지름

(mm)

허용차

(mm)

심선 지름과 측선

지름의 차

(mm)

SWPC1AN

SWPC1AL

SWPC1BN

SWPC1BL

(2.9mm)

2.90

± 0.03

-

(3.5mm)

3.50

± 0.04

-

(4mm)

4.00

± 0.04

-

(4.5mm)

4.50

± 0.05

-

5mm

5.00

± 0.05

-

(6mm)

6.00

± 0.05

-

7mm

7.00

± 0.05

-

8mm

8.00

± 0.06

-

9mm

9.00

± 0.06

-

SWPC2N

SWPC2L

2.9mm 2연선

2.90

± 0.03

-

SWPC7AN

SWPC7AL

(7연선 6.2mm)

6.2

+ 0.4

- 0.2

0.03 이상

(7연선 7.9mm)

7.9

+ 0.4

- 0.2

0.04 이상

7연선 9.3mm

9.3

+ 0.4

- 0.2

0.05 이상

7연선 10.8mm

10.8

+ 0.4

- 0.2

0.07 이상

7연선 12.4mm

12.4

+ 0.4

- 0.2

0.08 이상

7연선 15.2mm

15.2

+ 0.4

- 0.2

0.08 이상

SWPC7BN

SWPC7BL

7연선 9.5mm

9.5

+ 0.4

- 0.2

0.05 이상

7연선 11.1mm

11.1

+ 0.4

- 0.2

0.07 이상

7연선 12.7mm

12.7

+ 0.4

- 0.2

0.08 이상

7연선 15.2mm

15.2

+ 0.4

- 0.2

0.08 이상

SWPC19N

SWPC19L

19연선 17.8mm

17.8

+ 0.6

- 0.25

-

19연선 19.3mm

19.3

+ 0.6

- 0.25

-

19연선 20.3mm

20.3

+ 0.6

- 0.25

-

19연선 21.8mm

21.8

+ 0.6

- 0.25

-

19연선 28.6mm

28.6

+ 0.6

- 0.25

-

 

비고 : 7연선 및 19연선의 표준지름은 연선의 외접원의 지름으로 한다.

표 13-11-4 공칭단면적 및 단위무게

 

기 호

호 칭

공칭단면적 ()

단위무게 (kg/km)

SWPC1AN

SWPC1AL

SWPC1BN

SWPC1BL

SWPD1N

SWPD1L

(2.9mm)

6.605

51.8

(3.5mm)

9.621

75.5

(4mm)

12.57

98.7

(4.5mm)

15.90

125

5mm

19.64

154

(6mm)

28.27

222

7mm

38.48

302

8mm

50.27

395

9mm

63.62

499

SWPC2N

SWPC2L

2.9mm 2연선

13.21

104

SWPD3N

SWPD3L

2.9mm 3연선

19.82

156

SWPC7AN

SWPC7AL

(7연선 6.2mm)

23.23

182

(7연선 7.9mm)

37.42

293

7연선 9.3mm

51.61

405

7연선 10.8mm

69.68

546

7연선 12.4mm

92.90

729

7연선 15.2mm

138.7

1,101

SWPC7BN

SWPC7BL

7연선 9.5mm

54.84

432

7연선 11.1mm

74.19

580

7연선 12.7mm

98.71

774

7연선 15.2mm

138.7

1,101

SWPC19N

SWPC19L

19연선 17.8mm

208.4

1,652

19연선 19.3mm

243.7

1,931

19연선 20.3mm

270.9

2,149

19연선 21.8mm

312.9

2,482

19연선 28.6mm

532.4

4,229

 

2.1.3 품질기준

PS 강선 및 PS 강연선의 품질은 다음 기준에 합격하여야 한다.

(1) PS 강선 및 PS 강연선에는 해로운 흠이나 결함이 없어야 하며표면에 유류 및 기타 잡물이 부착되어서는 안된다다만점식되지 않을 정도의 표면 녹은 무방하다.

(2) PS 강연선은 바인드없이 절단했을 때흐트러져서는 안된다.

(3) 이형선은 거의 둥근단면을 가지고 일정한 돌기 또는 오목자국을 연속 또는 일정 간격으로 낸 것으로 한다.

(4) PS 강선 및 PS 강연선의 기계적 성질은 표 13-11-5에 따른다.

 

 

2.1.4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

PS 강선 및 PS 강연선의 시험편 채취 및 시험은 KS D 7002에 따른다.

 

 

표 13-11-5 기계적 성질

 

기 호

호 칭

0.2% 영구 연신율에 대한

하중, kN

인장하중

,kN

연실율%

릴렉세이션값%

N

L

SWPC1AN

SWPC1AL

SWPD1N

SWPD1L

(2.9mm)

11.3 이상

12.7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3.5mm)

14.2 이상

16.2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4mm)

18.6 이상

21.1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4.5mm)

22.6 이상

25.5 이상

4.0 이상

8.0 이하

2.5 이하

5mm

27.9 이상

31.9 이상

4.0 이상

8.0 이하

2.5 이하

(6mm)

38.7 이상

44.1 이상

4.0 이상

8.0 이하

2.5 이하

7mm

51.0 이상

68.3 이상

4.5 이상

8.0 이하

2.5 이하

8mm

64.2 이상

74.0 이상

4.5 이상

8.0 이하

2.5 이하

9mm

78.0 이상

90.2 이상

4.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1BN

SWPC1BL

5 mm

29.9 이상

33.8 이상

4.0 이상

8.0 이하

2.5 이하

7 mm

54.9 이상

62.3 이상

4.5 이상

8.0 이하

2.5 이하

8 mm

69.1 이상

78.8 이상

4.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2N

SWPC2L

2.9mm 2연선

22.6 이상

25.5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D3N

SWPD3L

2.9mm 3연선

33.8 이상

38.2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7AN

SWPC7AL

(7연선 6.2mm)

33.8 이상

40.2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7연선 7.9mm)

54.9 이상

64.7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7연선 9.3mm

75.5 이상

88.8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7연선 10.8mm

102 이상

120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7연선 12.4mm

136 이상

160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7연선 15.2mm

204 이상

240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7BN

SWPC7BL

7연선 9.5mm

86.8 이상

102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7연선 11.1mm

118 이상

138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7연선 12.7mm

156 이상

183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7연선 15.2mm

222 이상

261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SWPC19N

SWPC19L

19연선 17.8mm

330 이상

387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19연선 19.3mm

387 이상

451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19연선 20.3mm

422 이상

495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19연선 21.8mm

495 이상

573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19연선 28.6mm

807 이상

949 이상

3.5 이상

8.0 이하

2.5 이하

 

2.2 PS 강봉

PS 강봉에는 원형강봉과 이형강봉이 있다. PS 강봉은 KS D 3505의 규정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2.2.1 종 류

PS 강봉의 종류기호 및 호칭은 표 13-11-6과 같다.

2.2.2. PS 강봉의 치수 및 허용오차

PS 강봉의 표준지름그 허용차 및 공칭단면적은 표 13-11-7, 표 13-11-8

과 같다.

 

 

표 13-11-6 기호 및 호칭

 

종 류

기 호

호 칭

원형강봉

A

2

SBPR 785/1030

9.2mm 11mm 13mm

(15mm) 17mm (19mm)

(21mm) 23mm

26mm (29mm)

32mm 36mm 40mm

B

1

SBPR 930/1080

2

SBPR 930/1180

C

1

SBPR 1080/1230

이형강봉

B

1

SBPD 930/1080

7.4mm 9.2mm

11mm 13mm

C

1

SBPD 1080/1230

D

1

SBPD 1275/1420

 

비고 : ( ) 안에 있는 호칭명의 강봉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표 13-11-7 원형 PS 강봉의 표준지름허용차 및 공칭단면적

 

호 칭

표준지름 (mm)

허용차 (mm)

공칭단면적 (mm2)

9.2mm

11mm

13mm

(15mm)

17mm

(19mm)

9.2

11.0

13.0

15.0

17.0

19.0

- 0.2, +측은 규정하지 않음

66.48

95.03

132.7

176.7

227.0

283.5

(21mm)

23mm

26mm

(29mm)

32mm

36mm

40mm

21.0

23.0

26.0

29.0

32.0

36.0

40.0

- 0.6, +측은 규정하지 않음

346.4

415.5

530.9

660.5

804.2

1018.0

1257.0

 

표 13-11-8 이형 PS 강봉의 공칭지름 및 공칭단면적

 

호 칭

공 칭 지 름 (mm)

공칭단면적 (mm2)

7.4 mm

9.2 mm

11 mm

13 mm

7.4

9.2

11.0

13.0

40.0

64.0

90.0

125.0

 

 

 

2.2.3 품질기준

(1) PS 강봉의 화학성분은 해당 KS 규격에 따른다.

(2) PS 강봉의 기계적 성질은 표 13-11-9에 따른다.

 

 

표 13-11-9 PS 강봉의 기계적 성질

 

기 호

인 장 시 험

릴렉세이션시험

0.2% 항복강도

N/mm2

인장강도

N/mm2

연신율

(%)

릴렉세이션값

(%)

SBPR 785/1030

785 이상

1030 이상

이상

4.0 이하

SBRP 930/1080

930 이상

1080 이상

이상

4.0 이하

SBPR 930/1180

930 이상

1230 이상

이상

4.0 이하

SBPD 1080/1230

1080 이상

1230 이상

이상

4.0 이하

SBPD 930/1080

930 이상

1080 이상

이상

1.5 이하

SBPD 1080/1230

1080 이상

1230 이상

이상

1.5 이하

SBPD 1275/1420

1275 이상

1275 이상

이상

1.5 이하

 

비고 내력은 0.2 % 영구 연신율에 대한 응력을 말한다.

 

 

2.2.4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

PS 강봉의 시험편 채취 및 시험은 KS D 3505에 따른다.

 

 

3. 시 공

해당없음

 

 

 

 

 

 

 

 

13-12 구조용 강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 일반구조용 압연강재와 용접구조용 압연 강재교량구조용 압연강재및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강재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참조규격

KS A 0021 수치의 맺음법

KS D 3051 열간 압연 봉강 및 코일 봉강의 모양치수 및 무게와 그 허용차

KS D 3052 열간 압연 평강의 모양치수 및 무게와 그 허용차

KS D 3500 열간 압연 강판 및 강대의 모양치수무게와 그 허용차

KS D 3502 열간 압연 형강의 모양치수 및 무게와 그 허용차

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KS D 3529 용접 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 강재

KS D 3515 용접 구조용 압연 강재

KS D 3710 탄소강 단강품

KS D 3868 교량 구조용 압연 강재

KS D 4101 탄소강 주강품

KS D 4102 구조용 고장력 탄소강 및 저합금강 주강품

KS D 4106 용접 구조용 주강품

KS D 4301 회주철품

 

 

1.3 제출물

이 시방서 총칙편 2-4절 1.5에 따라 해당 공사의 공사계획에 맞추어 공급원 승인요청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재 료

2.1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는 KS D 3503의 규정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 중 SS490은 용접구조에 사용하여서는 안되며, SS400은 용접구조에 사용할 수 있지만 판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강철의 조직이 거칠어지고 취성이 증가하며수축응력에 따라 다축응력상태로 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두께 22 mm 이하일 때만 사용하여야 한다.

 

 

 

 

2.1.1 종 류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의 종류의 기호는 표 13-12-1과 같다.

 

 

표 13-12-1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의 종류의 기호

 

종류의 기호

적 용

SS330

강판강대평강 및 봉강

SS400

강판강대형강평강 및 봉강

SS490

SS540

두께 40mm 이하의 강판강대형강평강 및 지름변 또는 맞변거리가 40mm 이하의 봉강

SS590

 

비고 봉강에는 코일봉강을 포함한다.

 

 

2.1.2 품질기준

(1)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의 화학성분 및 기계적 성질은 KS D 3503을 따른다.

다만 굽힘성의 경우는 그 바깥쪽에 균열이 생겨서는 안 된다.

 

 

표 13-12-2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의 화학성분

단위 : %

 

종류의 기호

C

Mn

P

S

SS330

-

-

0.050 이하

0.050 이하

SS400

SS490

SS540

0.30 이하

1.60 이하

0.040 이하

0.040 이하

SS590

비고 필요에 따라 위 표의 원소 이외의 합금원소를 첨가할 수 있다.

 

비고 : 1. 필요에 따라 위 표의 원소 이외의 합금원소를 첨가할 수 있다.

 

 

표 13-12-3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 기계적 성질

 

종류의 기호

항복점 또는 항복 강도 N/mm2

인장강도

N/mm2

강재의 두께

(mm)

인장시험편

연신율

%

굽힘성

강재의 두께(1)

16

이하

16초과40이하

40

초과

100이하

100초과하

는 것

굽힘강도

안쪽 반지름

SS330

205

이상

195

이상

175

이상

165

이상

330-430

강판강대평강의 두께 5이하

26이상

180°

두께의 0.5

강판강대평강의 두께 5초과 16이하

1A

21이상

강판강대평강의 두께 16초과 40이하

1A

26이상

강판평강의 두께 40초과하는것

28이상

봉강의 지름변 또는 맞변거리 25이하

25이상

180°

지름변또는 맞변거리의 2.0

봉강의 지름변 또는 맞변거리 25초과하는 것

14A

28이상

SS400

245

이상

235

이상

215

이상

205

이상

400-

510

강판강대평강의 두께 5이하

21이상

180°

두께의 0.5

강판강대평강의 두께 5초과 16이하

1A

17이상

강판강대평강의 두께 16초과 40이하

1A

21이상

강판평강의 두께 40초과하는것

23이상

봉강의 지름변 또는 맞변거리 25이하

20이상

180°

지름변또는 맞변거리의 2.0

봉강의 지름변 또는 맞변거리 25초과하는 것

14A

22이상

SS490

285

이상

275

이상

255

이상

245

이상

490-

610

강판강대평강의 두께 5이하

19이상

180°

두께의 0.5

강판강대평강의 두께 5초과 16이하

1A

15이상

강판강대평강의 두께 16초과 40이하

1A

19이상

강판평강의 두께 40초과하는것

21이상

봉강의 지름변 또는 맞변거리 25이하

18이상

180°

지름변또는 맞변거리의 2.0

봉강의 지름변 또는 맞변거리 25초과하는 것

14A

20이상

SS540

400

이상

390

이상

-

-

540

이상

강판강대평강의 두께 5이하

16이상

180°

두께의 0.5

강판강대평강의 두께 5초과 16이하

1A

13이상

강판강대평강의 두께 16초과 40이하

1A

17이상

봉강의 지름변 또는 맞변거리 25이하

20이상

180°

지름변또는 맞변거리의 2.0

봉강의 지름변 또는 맞변거리 25초과하는 것

14A

16이상

SS590

450

이상

440

이상

-

-

590

이상

강판강대평강의 두께 5이하

14이상

180°

두께의 0.5

강판강대평강의 두께 5초과 16이하

1A

11이상

강판강대평강의 두께 16초과 40이하

1A

15이상

봉강의 지름변 또는 맞변거리 25이하

10이상

180°

지름변또는

맞변거리의

2.0

봉강의 지름변 또는 맞변거리 25초과하는 것

14A

12이상

 

 형강의 경우강재의 두께는 KS D 3503 그림 A. 1의 시험편 채취 위치의 두께로 한다.

봉강인 경우원형강은 지름각강은 변육각강은 맞변거리의 치수로 한다.

비고 : 1. 두께 90 mm를 초과하는 강판 4호 시험편의 연신율은 두께 25.0 mm 또는 그 끝수를 늘릴 때마다 위 표에서 제시한 연신율 값에서 1 %를 감한다다만 감하는 한도는 3 %로 한다.

 

 

2.1.3 치수 및 허용차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의 모양치수무게와 허용차는 KS D 3051, 3052, 3500, 3502의 규정에 따른다이 경우강판 및 강대의 컷 에지인 경우의 나비 및 강판 길이의 허용차는 특별한 지정이 없는 한 KS D 3500의 허용 차 A에 따른다.

2.1.4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의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은 KS D 3503의 규정에 따른다.

 

 

2.2 용접구조용 압연강재

용접구조용 압연강재는 평로전기로 또는 산소전로에 의한 강괴로부터 제조하여야 하며강재를 압연한 상태 그대로 사용하여야 한다다만 필요에 따라 노멀라이징퀜칭.템퍼링 또는 템퍼링을 할 수 있으며인수.인도 당사자 사이의 협의에 따라 열가공제어 또는 적당한 열처리를 할 수 있다용접 구조용 압연강재는 KS D 3515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2.2.1 종 류

용접 구조용 압연강재의 종류의 기호는 표 13-12-4과 같다.

 

 

표 13-12-4 종류의 기호

 

종 류 의 기 호

적 용 두 께 (mm)

SM 400A

강판강대형강 및 평강 200 이하

SM 400B

SM 400C

강판강대 및 형강 100 이하

SM 490A

강판강대형강 및 평강 200 이하

SM 490B

SM 490C

강판강대 및 형강 100 이하

SM 490YA

강판강대형강 및 평강 100 이하

SM 490YB

SM 520B

강판강대형강 및 평강 100 이하

SM 520C

강판강대 및 형강 100 이하

SM 570

강판강대 및 형강 100 이하

 

비고 : 1. SM520 B, SM520 C 및 SM570은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정에 따라 두께 150 mm 까지의 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2. SM400C 및 SM490C에 대하여는 두께 75 mm, SM520C에 대하여는 두께 50 mm까지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정에 따라 평강을 제조하여도 좋다.

2.2.2 품질기준

(1) 용접구조용 압연강재는 형태가 양호하고품질이 균일하여야 하며사용상 해로운 결함이 없어야 한다.

(2)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의 화학성분은 및 기계적 성질은 KS D 3515 규격에 따른다.

 

 

표 13-12-5 용접 구조용 압연 강재의 화학성분

 

종류의 기호

C

Si

Mn

P

S

SM400A

두께 50mm 이하 0.23 이하

두께 50mm 초과 0.25 이하

200mm 이하

-

2.5XC이상(1)

0.035이하

0.035이하

SM400B

두께 50mm 이하 0.20 이하

두께 50mm 초과 0.22 이하

200mm 이하

0.35 이하

0.60

1.40

0.035이하

0.035이하

SM400C

두께 100이하 0.18 이하

0.35 이하

1.40이하

0.035이하

0.035이하

SM490A

두께 50mm 이하 0.23 이하

두께 50mm 초과 0.25 이하

200mm 이하

0.55 이하

1.60이하

0.035이하

0.035이하

SM490B

두께 50mm 이하 0.20 이하

두께 50mm 초과 0.22 이하

200mm 이하

0.55 이하

1.60이하

0.035이하

0.035이하

SM490C

두께 100mm 이하 0.18 이하

0.55 이하

1.60이하

0.035이하

0.035이하

SM490YA

두께 100mm 이하 0.20 이하

0.55 이하

1.60이하

0.035이하

0.035이하

SM490YB

SM520B

두께 100mm 이하 0.20 이하

0.55 이하

1.60이하

0.035이하

0.035이하

SM520C

SM570

두께 100mm 이하 0.18 이하

0.55 이하

1.60이하

0.035이하

0.035이하

 

 C의 값은 레이들 분석값을 적용한다.

비고 : 1. 필요에 따라 위 표 이외의 합금 원소를 첨가할 수 있다.

2. SM520B, SM520C 및 SM570의 두께 100 mm를 초과하고, 150 mm 이하인 강판의 화학 성분은 주문자제조자 사이의 협의에 따른다.

3. 제품 분석의 경우 레이들 분석과의 편차는 KS D 0228의 표 1에 따른다.

 

 

 

 

표 13-12-6 용접 구조용 압연 강재의 기계적 성질

 

종류의 기호

항복점 또는 항복강도 N/mm2

인장강도

연 신 률

강재의 두께(1)

 

 

강재의 두께(1)

(mm)

시험편

%

16이하

16초과

40이하

40초과

75이하

75초과

100이하

100초과

160이하

160초과

200이하

100이하

 

 

100초과

200이하

SM400A

SM400B

245이상

235이상

215이상

215이상

205이상

195이상

400-510

400-510

5이하

5초과16이하

16초과 50이하

50초과하는것

1A

1A

23이상

18이상

22이상

24이상

SM400C

-

-

SM490A

SM490B

325이상

315이상

295이상

295이상

285이상

275이상

490-610

-

5이하

5초과16이하

16초과 50이하

50초과하는것

1A

1A

22이상

17이상

21이상

23이상

SM490C

-

-

SM490YA

SM490YB

365이상

355이상

335이상

325이상

-

-

490-610

-

5이하

5초과16이하

16초과 50이하

50초과하는것

1A

1A

19이상

17이상

21이상

23이상

SM520B

SM520C

365이상

355이상

335이상

325이상

-

-

520-640

-

5이하

5초과16이하

16초과 50이하

50초과하는것

1A

1A

19이상

15이상

19이상

21이상

SM570

460이상

450이상

430이상

420이상

-

-

570-720

-

16이하

16초과하는 것

20초과하는 것

19이상

26이상

20이상

 

 형강의 경우 강재 두께는 KS D 3515 부속서그림1의 시험편 채취 위치의 두께로 한다.

비고 : 1. 두께 100 mm를 초과하는 강재의 4호 시험편의 연신율은 두께 25 mm 또는 그 끝수가 증가할 때마다 위에서 제시된 연신율 값에서 1 %를 감한다다만 감하는 한도는 3 %로 한다.

2. SM520B, SM520C 및 SM570의 두께 100 mm를 초과 150 mm 이하인 강판의 항복점 또는 항복 강도인장 강도 및 연신율은 주문자제조자 사이의 협의에 따른다.

(3) 두께 12 mm 를 초과하는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의 샤르피 흡수 에너지는 표13-12-7에 따른다이 경우 샤르피 흡수에너지는 3개의 시험편의 평균값으로 한다.

 

 

 

 

 

 

 

 

표 13-12-7 샤르피 흡수에너지

 

종류의 기호

시험온도

샤르피 흡수에너지 (J)

시험편

SM400B

0 °C

27 이상

V노치

압연방향

SM400C

0 °C

47 이상

SM490B

0 °C

27 이상

SM490C

0 °C

47 이 이상

SM490YA

0 °C

27 이상

SM520B

0 °C

27 이상

SM520C

0 °C

47 이상

SM570

-5 °C

47 이상

 

(4) 탄소당량 및 용접 균열 감수성은 다음에 따른다.

① SM 570의 탄소당량 또는 용접 균열 감수성 또한 탄소당량의 적용은 퀜칭·탬퍼링의 강재로 한다.

탄소당량

탄소당량은 KS D 3515 10.1의 레이들 분석값을 사용하여 다음의 식에 의해 계산하고그 값은 표 13-12-8에 따른다.

 

 

 

 

 

표 13-12-8 탄소 당량

 

강재의 두께

(mm)

50 이하

50 초과

100 이하

100을 초과하는것

탄소당량(%)

0.44 이하

0.47 이하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정에 따른다.

 

용접균열 감수성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정에 따라 탄소당량 대신에 용접 균열 감수성을 적용할 수 있다용접 균열 감수성은 KS D 3515 10.1의 레이들 분석값을 사용하여 다음의 식에 의하여 계산하고그 값은 표 13-12-9에 따른다.

 

 

 

 

 

표 13-12-9 용접 균열 감수성

 

강재의 두께

(mm)

50 이하

50 초과

100 이하

100을 초과하는것

탄소당량(%)

0.28 이하

0.30 이하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정에 따른다.

 

 

 

② 열가공 제어를 한 강판의 탄소당량 또는 용접 균열 감수성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정에 따라 열가공 제어를 한 강판의 탄소당량 및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정에 따라 탄소당량 대신에 적용할 수 있는 용접 균열 감수성은 다음에 따른다.

 

 

탄소당량

탄소당량은 KS D 3515 5.1의 식(1)에 따라 KS D 3515 10.1의 레이들 분석을 사용하여 산출하고그 값은 표 13-12-10에 따른다.

 

 

표 13-12-10 탄소 당량

 

종류의 기호

SM490A, SM490YA

SM490B, SM490YB

SM490C

SM520B, SM520C

적용

두께

50mm 이하

0.38 이하

0.40 이하

50mm를 초과

100mm 이하

0.40 이하

0.42 이하

 

비고 적용 두께 100 mm를 초과하는 강판의 탄소당량은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정에 따른다.

 

 

용접 균열 감수성

용접 균열 감수성은 KS D 3515 5.1의 식(2)에 따라 KS D 3515 10.1의 레이들 분석값을 사용하여 산출하고그 값은 표 13-12-11에 따른다.

 

 

표 13-12-11 용접 균열 감수성

 

종류의 기호

SM490A, SM490YA

SM490B, SM490YB

SM490C

SM520B, SM520C

탄소당량%

50mm 이하

0.38 이하

0.40 이하

50mm를 초과

100mm 이하

0.26 이하

0.27 이하

 

비고 적용 두께 100 mm를 초과하는 강판의 용접 균열 감수성은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정에 따른다.

2.2.3 모양치수무게 및 그 허용차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의 모양치수무게 및 그 허용차는 KS D3052, 3500, 3502의 규정에 따른다.

2.2.4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의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은 KS D 3515에 따른다.

 

 

2.3 교량구조용 압연강재

교량구조용 압연강재는 세립킬드강을 사용하고열가공제어압연(TMCP)하여 제조한다다만필요시 알루미늄처리를 실시하여도 좋다.

필요에 따라 노멀라이징퀜칭템퍼링 및 주문자와 제조자의 협의에 따라 적당한 열처리를 할 수 있다.

2.3.1 종류

교량구조용 압연강재의 종류의 기호는 표 13-12-12과 같다.

 

 

표 13-12-12 종류의 기호

 

종류의 기호

적용두께

용 도

HSB500

100mm 이하의 강판

교량 구조용

HSB500L

HSB500W

HSB600

HSB600L

HSB600W

HSB800

80mm 이하의 강판

HSB800L

HSB800W

 

비고 1. HSB500, HSB600에 있어 두께 100 mm를 초과하는 강재 및 HSB800의 두께 80mm를 초과하는 두께의 강재는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의에 따른다.

2. L(Low Temperature)을 붙인 것은 저온인성을 가진 강재를 의미한다.

3. W(Weather Resistance)를 붙인 것은 내후성을 가진 강재를 의미한다.

 

 

2.3.2 품질기준

(1) 교량구조용 압연강재는 형태가 양호하고품질이 균일하여야 하며사용상해로운 결함이 없어야 한다.

(2) 교량구조용 압연강재의 화학성분은 및 기계적 성질은 KS D 3868에 따른다.

 

 

표 13-12-13 교량 구조용 압연 강재의 화학성분

단위 : %

 

종류의 기호

적용두께

C

Si

Mn

P

S

Cu

Cr

Ni

HSB

500

100mm

이하

0.18

이하

0.55

이하

1.80

이하

0.020

이하

0.006

이하

-

-

-

HSB

500L

HSB

500W

0.18

이하

0.65

이하

1.80

이하

0.020

이하

0.006

이하

0.10

0.50

0.45

0.75

0.05

0.80

HSB

600

100mm

이하

0.10

이하

0.55

이하

1.80

이하

0.020

이하

0.006

이하

-

-

-

HSB

600L

HSB

600W

0.10

이하

0.65

이하

1.80

이하

0.020

이하

0.006

이하

0.10

0.50

0.45

0.75

0.05

0.80

HSB

800

80mm

이하

0.10

이하

0.55

이하

2.20

이하

0.015

이하

0.006

이하

-

-

-

HSB

800L

HSB

800W

0.10

이하

0.65

이하

2.20

이하

0.015

이하

0.006

이하

0.10

0.50

0.45

0.75

0.05

0.80

 

비고 1. 적용 두께를 초과하는 강재는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의에 따른다.

2. 필요에 따라 위의 내용 이외의 합금원소를 첨가할 수 있다.

3. Al, Nb, V 또는 기타의 세립화 원소를 단독 또는 조합으로 첨가할 수 있다.

다만원소 중 Nb, V, Ti의 합계 함유량은 0.12 %를 넘지 않아야 한다.

4. 내후성능에 유효한 원소의 첨가는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사전협의에 따른다다만내후성 지수(l)는 최소 5.8 이상이 되어야 하며계산식은 다음에 따른다.

l = 26.01 (% Cu) + 3.88(% Ni) + 1.2(% Cr) + 1.49(% Si) + 17.28(% P) - 7.29(% Cu)(%Ni) - 9.1(% Ni)(% P) - 33.39(% Cu)

표 13-12-14 교량 구조용 압연 강재의 기계적 성질

 

종류의 기호

적용

두께

(mm)

항복점 또는

항복 강도

(N/mm2)

인장강도

(N/mm2)

연신율

두께(mm)

시험편

연신율(%)

HSB500

100mm

이하

380 이상

500 이상

16이하

16초과 40이하

40초과

1A

1A

4

15 이상

19 이상

21 이상

HSB500L

380 이상

500 이상

16이하

16초과 40이하

40초과

1A

1A

4

15 이상

19 이상

21 이상

HSB500W

380 이상

500 이상

16이하

16초과 40이하

40초과

1A

1A

4

15 이상

19 이상

21 이상

HSB600

100mm

이하

450 이상

600 이상

16이하

16초과 40이하

40초과

5

5

4

19 이상

26 이상

20 이상

HSB600L

450 이상

600 이상

16이하

16초과 40이하

40초과

5

5

4

19 이상

26 이상

20 이상

HSB600W

450 이상

600 이상

16이하

16초과 40이하

40초과

5

5

4

19 이상

26 이상

20 이상

HSB800

80mm

이하

690 이상

800 이상

16이하

16초과 20이하

20초과

5

5

4

15 이상

22 이상

16 이상

HSB800L

690 이상

800 이상

16이하

16초과 20이하

20초과

5

5

4

15 이상

22 이상

16 이상

HSB800W

690 이상

800 이상

16이하

16초과 20이하

20초과

5

5

4

15 이상

22 이상

16 이상

 

비고 적용 두께를 초과하는 강재의 항복점 또는 항복 강도인장 강도 및 연신율은 주문자와 제조사 사이의 협의에 따른다

 

 

 

 

(3) 두께 12 mm를 초과하는 교량구조용 압연 강재의 샤르피 흡수에너지는 표13-12-15에 따른다이 경우 샤르피 흡수에너지는 3개 시험편의 평균값으로 한다.

 

 

표 13-12-15 샤르피 흡수에너지

 

종류의 기호

적용두께

(mm)

시험온도()

샤르피 흡수에너지 (J)

시험편

HSB500

100mm 이하

-5

47 이상

V노치 시험편 압연방향

HSB500L

-20

47 이상

HSB500W

-5

47 이상

HSB600

100mm

이하

-5

47 이상

HSB600L

-20

47 이상

HSB600W

-5

47 이상

HSB800

80mm

이하

-20

47 이상

HSB800L

-40

47 이상

HSB800W

-20

47 이상

 

비고 1. 적용 두께를 초과하는 강재의 샤르피 흡수 에너지는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의에 따른다.

2. 주문자와 제조자의 협의에 따라 시험온도 및 샤르피 흡수 에너지 값을 지정할 수 있다.

(4) 교량구조용 압연 강재의 탄소당량 또는 용접균열 감수성은 다음에 따른다.

① 탄소당량

강재의 탄소당량은 다음식에 따라 KS D 3868 11.1의 레이들 분석값을 사용하여 산출하고그 값은 표 13-12-16에 따른다.

 

표 13-12-16 탄소당량

 

종류의 기호

적용두께

HSB500

HSB500L

HSB500W

HSB600

HSB600L

HSB600W

HSB800

HSB800L

HSB800W

80mm 이하

0.40 이하

0.47 이하

0.42 이하

0.47 이하

0.55이하

0.60이하

80mm 초과

100mm 이하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의에

따른다.

100mm 초과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의에 따른다.

 

② 용접 균열 감수성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의에 따라 탄소당량을 대신하여 용접 균열 감수성을 적용하여도 좋다이 경우 용접 균열 감수성은 다음식에 따라 KSD 3868 11.1의 레이들 분석값을 사용하여 산출하고그 값은 표 13-12-17에 따른다.

 

 

 

표 13-12-17 용접 균열 감수성

 

종류의 기호

적용두께

HSB500

HSB500L

HSB500W

HSB600

HSB600L

HSB600W

HSB800

HSB800L

HSB800W

100mm 이하

0.20 이하

0.22 이하

0.20 이하

0.22 이하

0.25이하

0.27이하

800mm 초과

100mm 이하

주문자와 제조자사이의 협의에 따른다.

100mm 초과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의에 따른다.

 

 

 

2.3.3 모양치수무게 및 허용차

교량구조용 압연강재의 모양치수무게 및 허용차는 KS D 3500 규정에 따른다.

2.3.4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

교량구조물 압연강재의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은 KS D 3868 규정에 따른다.

 

 

2.4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 강재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 강재는 KS D 3529의 규정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내후성이라 함은 대기중에서 부식에 견디는 성질을 말한다필요에 따라 노멀라이징 퀜칭템퍼링 또는 템퍼링을 하여도 좋다또 전 종류의 기호에 대하여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정에 따라서 열가공제어등의 적당한 열처리를 하여도 좋다.

 

 

 

 

 

 

 

 

 

 

 

 

 

 

2.4.1 종류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압연강재의 종류의 기호는 표 13-12-18과 같다.

 

 

표 13-12-18 종류 및 기호

 

종 류

기 호

적용두께(mm)

1

A

W

SMA400AW

내후성을 갖는 강판강대형강 및 평강 200이하

P

SMA400AP

B

W

SMA400BW

P

SMA400BP

C

W

SMA400CW

내후성을 갖는 강판강대 및 형강 100이하

P

SMA400CP

2

A

W

SMA490AW

내후성이 우수한 강판강대형강 및 평강 200이하

P

SMA490AP

B

W

SMA490BW

P

SMA490BP

C

W

SMA490CW

내후성이 우수한 강판강대 및 형강 100이하

P

SMA490CP

3

W

SMA570W

내후성이 우수한 강판강대 및 형강 100이하

P

SMA570P

 

비고 : W는 보통 압연한 그대로 또는 녹 안정화 처리를 하여 사용하고, P는 보통 도장하여 사용한다.

 

 

2.4.2 품질기준

(1)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 강재는 형태가 양호하고품질이 균일하여야하며 사용상 해로운 결함이 없어야 한다.

(2)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 강재의 화학성분 및 기계적 성질은 KS D 3529에 따른다.

 

 

 

 

 

 

 

 

 

 

 

 

 

 

 

 

 

 

표 13-12-19 용접 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 강재의 화학성분

 

종류의 기호

 

 

C

Si

Mn

P

S

Cu

Cr

Ni

기타

SMA

400

A,B,C

W

0.18

이하

0.15

0.65

1.25

이하

0.035

이하

0.035

이하

0.30

0.50

0.45

0.75

0.05

0.30

각 종류 모두 내후성에 유효한 원소인 Mn, Bn, Ti, V, Zr등을 첨가하여도 좋다다만이들 원소의 총계는 0.15%를 넘지 않는 것으로 한다.

P

0.18

이하

0.55

이하

1.25

이하

0.035

이하

0.035

이하

0.20

0.35

0.30

0.55

-

SMA

490

A,B,C

W

0.18

이하

0.15

0.65

1.40

이하

0.035

이하

0.035

이하

0.30

0.50

0.45

0.75

0.05

0.30

P

0.18

이하

0.55

이하

1.40

이하

0.035

이하

0.035

이하

0.20

0.35

0.30

0.55

-

SMA

570

W

0.18

이하

0.15

0.65

1.40

이하

0.035

이하

0.035

이하

0.30

0.50

0.45

0.75

0.05

0.30

P

0.18

이하

0.55

이하

1.40

이하

0.035

이하

0.035

이하

0.20

0.35

0.30

0.55

-

 

비고 : 1. 필요에 따라 위 표에 언급한 것 이외의 합금원소를 첨가할 수 있다.

 

 

표 13-12-20 용접 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 강재의 기계적성질

 

종류의

기호

항복점 또는항복 강도(N/mm2)

인장강도

N/mm2

연신율

두께

(mm)

시험편

%

강재의 두께(1) (mm)

16이하

15초과

40이하

40초과

75이하

75초과

100이하

100초과

160이하

160초과

200이하

SMA400AW

SMA400AP

SMA400BW

SMA400BP

245

이상

235

이상

215

이상

215

이상

205

이상

195

이상

400

540

5이하

5

22이상

16이하

1A

17이상

SMA400CW

SMA400CP

245

이상

235

이상

215

이상

215

이상

-

-

16초과

1A

21이상

40초과

4

23이상

SMA490AW

SMA490AP

SMA490BW

SMA490BP

365

이상

355

이상

335

이상

325

이상

305

이상

295

이상

490

610

5이하

5

19이상

16이하

1A

15이상

SMA490CW

SMA490CP

365

이상

355

이상

335

이상

325

이상

-

-

16초과

1A

19이상

40초과

4

21이상

SMA570W

SMA570P

460

이상

450

이상

430

이상

420

이상

-

-

570

720

16이하

5

19이상

16이상

5

26이상

20초과

4

20이상

 

비고 인장 강도의 상한은 강판강대 및 평강에 적용한다주문자는 형강에 대하여 지정하여도 좋다.

 형강의 경우 두께는 KS D 3529 그림 A.1의 시험편의 두께로 한다.

(3) 두께 12 mm를 초과하는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강재의 샤르피 흡수 에너지는 표 13-12-21에 따른다이 경우 샤르피 흡수에너지는 3개 시험편의 평균값으로 한다.

 

 

표 13-12-21 샤르피 흡수에너지

 

종류의 기호

시험온도()

샤르피 흡수에너지 (J)

시험편

SMA400BW

SMA400BP

0

27 이상

V노치 시험편 압연방향

SMA400CW

SMA400CP

0

47 이상

SMA490BW

SMA490BP

0

27 이상

SMA490CW

SMA490CP

0

47 이상

SMA570W

SMA570P

-5

47 이상

 

비고 주문자는 위 내용 이상의 샤르피 흡수에너지값을 지정하여도 좋다.

(4)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 강재의 탄소당량 또는 용접균열 감수성은 다음에 따른다.

① SMA570W 및 SMA570P의 탄소당량 및 용접 균열 감수성은 다음에 따른다또한 탄소당량의 적용은 퀜칭템퍼링의 강재로 한다.

탄소당량 탄소당량은 다음 식에 따라 KS D 3529 9.1의 레이들 분석값을 사용하여 산출하고그 값은 표 13-12-22에 따른다.

 

표 13-12-22 탄소당량

 

강재의 두께 (mm)

50 이하

50초과 100이하

탄소당량 (%)

0.44 이하

0.47 이하

 

용접균열감수성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정에 따라 탄소당량 대신에 용접 균열 감수성을 적용하여도 좋다이 경우의 용접 균열 감수성은 KS D 3529 9.1의 레이들 분석값을 사용하여 다음 식에 따라 계산하고그 값은 표 13-12-23에 따른다.

 

 

 

 

표 13-12-23 용접 균열 감수성

 

강재의 두께 (mm)

50 이하

50초과 100이하

용접 균열 감수성 (%)

0.28 이하

0.30 이하

 

② 열 가공제어를 한 강판의 탄소당량 및 용접 가능성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정에 따라 열 가공제어를 한 강판의 탄소당량 및 탄소당량 대신에 적용할 용접 균열 감수성은 다음에 따른다.

탄소당량 탄소당량은 다음의 식에 따라 KS D 3529 9.1의 레이들분석 값을 사용하여 산출하고그값은 표 13-12-24에 따른다.

 

 

 

 

표 13-12-24 탄소당량

 

종류의 기호

SMA490AW,SMA490BW,

SMA490CW

SMA490AP,SMA490BP,

SMA490CP

적용두께

50mm 이하

0.41 이하

0.40 이하

50mm 초과

100mm 이하

0.43 이하

0.42 이하

100mm 이상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정에 따른다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정에 따른다

 

용접균열 감수성 용접 균열 감수성은 다음의 식에 따라 KS D 3529 9.1의 레이들 분석값을 사용하여 산출하고그 값은 표 13-12-25에 따른다.

 

 

 

 

 

 

 

표 13-12-25 용접 균열 감수성

 

종류의 기호

SMA490AW,SMA490BW,

SMA490CW

SMA490AP,SMA490BP,

SMA490CP

적용두께

50mm 이하

0.41 이하

0.40 이하

50mm 초과

100mm 이하

0.43 이하

0.42 이하

100mm 이상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정에 따른다

주문자와 제조자 사이의 협정에 따른다

 

 

 

2.4.3 겉모양치수 무게 및 허용차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 강재의 겉모양모양차수무게 및 그 허용차는 KS D 3502, KS D 3500 규정에 따른다이 경우강판의 길이 및 컷에지(Cut Edge)의 경우의 나비 허용차는 특별한 지정이 없는 한 KS D 3500의 허용차 A에 따른다또한 SMA570W 및 SMA570D의 강판의 용접보수는 사전에 주문자의 승낙을 얻은 경우에 적용한다.

2.4.4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 강재의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은 KS D3529 규정에 따른다.

 

 

2.5 탄소강 단강품

탄소강 단강품이란 탄소강 강괴를 단조 혹은 압연과 단조에 의하여 성형한 재료로써 제조방법 및 품질은 KS D 3710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2.5.1 종 류

탄소강 단강품의 종류의 기호는 표 13-12-26에 따르며, A, B구분은 열처리 차이에 따른다.

표 13-12-26 탄소강 단강품의 종류의 기호

 

종 류 의 기 호

열처리의 종류

SF 340 A

SF 390 A

SF 440 A

SF 490 A

SF 540 A

SF 590 A

어닐링(Annealing), 노멀라이징 또는

노멀라이징 템퍼링

SF 540 B

SF 590 B

SF 640 B

칭 템퍼링

 

2.5.2 품질기준

(1) 탄소강 단강품은 품질이 균일하며사용상 해로운 흠기타의 결함이 없어야 한다.

(2) 탄소강 단강품의 화학성분 및 기계적 성질은 KS D 3710에 따른다다만, 굴곡의 경우에는 이의 바깥쪽에 균열이 발생해서는 안된다.

 

 

표 13-12-27 탄소강 단강품의 화학적 성질

 

C

Si

Mn

P

S

0.60이하

0.150.50

0.301.20

0.030이하

0.035이하

 

비고 1. 탄소당량은 인수인도 당사자 사이의 협의에 따라 정할 수 있다.

2. 화학성분은 위의 표 범위 내에서 인수인도 당사자 사이의 협의에 따라 정할 수 있다.

 

 

표 13-12-28 어닐링노멀라이징 또는 노멀라이징 템퍼링을 한 단강품의 기계적 성질

 

종류의 기호

항복점

N/mm2

인장강도

N/mm2

연신율%

단면수축율%

경도(1)

HB

14A호 시험편

축방향

절선방향

축방향

절선방향

SF340A

175 이상

340-440

27 이상

23 이상

50 이상

38 이상

90 이상

SF390A

195 이상

390-490

25 이상

21 이상

45 이상

35 이상

105 이상

SF440A

225 이상

440-540

24 이상

19 이상

45 이상

35 이상

121 이상

SF490A

245 이상

490-590

22 이상

17 이상

40 이상

30 이상

134 이상

SF540A

275 이상

540-640

20 이상

16 이상

35 이상

26 이상

152 이상

SF590A

295 이상

590-690

18 이상

14 이상

35 이상

26 이상

167 이상

 

 동일 로트 탄소강 단강품의 경도 편차는 HB30 이하로 하고, 1개 탄소강 단강품의 경도 편차도 HB30 이하로 한다.

 

 

 

 

표 13-12-29 퀜칭 템퍼링을 한 단강품의 기계적 성질

 

종류의 기호

열처리시의 공시부 지름 두께 또는 축방향길이

(mm)

항복점

N/mm2

인장강도(2)

N/mm2

연신율%

단면수축율%

샤르피 충격치

J/cm2

경도(1)

HB

14A호 시험편

3호 시험편

축방향

절선방향

축방향

절선방향

축방향

절선방향

SF 540B

100이상

335이상

540-690

21이상

17이상

45이상

36이상

59이상

39이상

152 이상

100이상

250미만

315이상

21이상

17이상

43이상

34이상

59이상

39이상

250이상

400미만

295이상

20이상

16이상

40이상

32이상

49이상

34이상

SF 590B

100미만

360이상

590-740

19이상

15이상

43이상

34이상

49이상

34이상

167

이상

100이상

250미만

335이상

19이상

14이상

40이상

32이상

49이상

34이상

250이상

400미만

325이상

18이상

14이상

38이상

30이상

39이상

29이상

SF

640B

100미만

390이상

640-780

16이상

11이상

40이상

32이상

39이상

29이상

183

이상

100이상

250미만

360이상

16이상

11이상

38이상

30이상

39이상

29이상

250이상

400미만

345이상

15이상

10이상

35이상

28이상

29이상

25이상

 

주  1개 탄소강 단강품의 인장강도 편차는 100 MPa 이하로 한다.

 동일 로트 탄소강 단강품의 경도편차는 HB50 이하로 하고, 1개 단강품의 경도 편차는 HB30 이하로 한다.

 

 

2.5.3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

탄소강 단강품의 시험편 채취 및 시험방법은 KS D 3710 에 따른다.

 

 

2.6 회주철품

회주철품이란 용선로전기로 기타 적당한 용해로에서 제조한 재료로서 그 제조법 및 품질은 KS D 4301의 규정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2.6.1 종 류

회주철품의 종류 및 기호는 표 13-12-30에 따른다.

 

 

 

 

 

 

 

 

 

 

 

 

 

 

표 13-12-30 종류의 기호

 

종류의 기호

GC 100

GC 150

GC 200

GC 250

GC 300

GC 350

 

 

 

2.6.2 품질기준

(1) 회주철품은 품질이 균일하고사용상 해로운 흠블로우 홀 등이 없어야 한다.

(2) 별도 주입한 공시재의 기계적 성질은 표 13-12-31에 따른다다만최대하중휨 및 경도는 특히 주문자의 요구가 있는 경우에 적용한다.

 

 

표 13-12-31 별도 주입한 공시재의 기계적 성질

 

 

 

종류의 기호

인장강도

(N/mm2)

경 도

(HB)

GC 100

100 이상

201 이하

GC 150

150 이상

212 이하

GC 200

200 이상

223 이하

GC 250

250 이상

241 이하

GC 300

300 이상

262 이하

GC 350

350 이상

277 이하

 

 

 

2.6.3 공시재 제작 및 시험방법

회주철품의 공시재 제작 및 시험방법은 KS D 4301에 따른다.

 

 

2.7 주 강 품

주강품은 교량 등 구조물의 중요부분에는 사용하지 않으나 받침부배수장치난간 등에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있으며탄소강 주강품고장력 탄소강 주강품 및 용접 구조용 주강품 등이 있다.

2.7.1 탄소강 주강품(KS D 4101)

(1) 탄소강 주강품의 종류의 기호는 표 13-12-32와 같다.

 

 

표 13-12-32 종류의 기호

 

종류의 기호

적 용

SC 360

SC 410

SC 450

SC 480

일반구조용전동기 부품용

일반구조용

일반구조용

일반구조용

 

비고 원심력 주강관에는 기호 뒤에 이것을 표시하는 기호 -CF를 붙인다.

보기 : SC 410 -CF

 

 

(2) 제조방법모양치수 및 그 허용차는 KS D 4101에 따른다.

(3) 주강품은 품질이 균일하여야 하며사용상 해로운 흠갈라짐주물기공 등이 없어야 한다.

(4) 주강품의 화학성분은 레이들 분석치로서 C의 함유량은 0.20~0.40 % 이하,P 및 함유량은 각각 0.04 % 이하이어야 한다.

(5) 기계적 성질은 표 13-12-33과 같다.

 

 

표 13-12-33 기계적 성질

 

종류의 기호

항복점

또는 내구력

(N/mm2)

인장강도

(N/mm2)

연신율

(%)

단면 수축률

(%)

SC 360

SC 410

SC 450

SC 480

175 이상

205 이상

225 이상

245 이상

360 이상

410 이상

450 이상

480 이상

23 이상

21 이상

19 이상

17 이상

35 이상

35 이상

30 이상

25 이상

 

 

 

(6) 탄소강 주강품의 시험방법은 KS D 4101에 따른다.

2.7.2 고장력 탄소강 주강품(KS D 4102)

이 시방은 교량의 받침부배수장치난간 등에 쓰이는 구조용 고장력 탄소강 주강품에 대하여 규정한다.

(1) 구조용 고장력 탄소강 주강품의 종류의 기호는 표 13-12-34와 같다.

 

 

 

 

 

 

 

 

 

 

표 13-12-34 구조용 고장력 탄소강 주강품의 종류의 기호

 

종류의 기호

적 용

SCC 3

SCC 5

구조용

구조용내마모용

SCMn 1

SCMn 2

SCMn 3

SCMn 5

구조용

구조용

구조용

구조용내마모용

SCSiMn 2

구조용(주로 앵커체인 (Anchor chain))

SCMnCr 2

SCMnCr 3

SCMnCr 4

구조용

구조용

구조용내마모용

SCMnM 3

구조용강인재용

SCCrM 1

SCCrM 3

구조용강인재용

구조용강인재용

SCMnCrM 2

SCMnCrM 3

구조용강인재용

구조용강인재용

SCNCrM 2

구조용강인재용

 

비고 원심력 주강관에는 기호 뒤에 이것을 표시하는 기호 CF를 붙인다.

보기 : SSC 3-CF

 

 

(2) 제조방법모양치수무게 및 그 허용차는 KS D 4102 중 고장력 탄소강주강품에 따른다.

(3) 주강품은 품질이 균일하고 해로운 흠 또는 블로우 홀(Blow Hole)등이 없어야 한다.

(4) 구조용 고장력 탄소강 주강품의 화학성분 및 기계적 성질은 KS D 4102에 따른다.

(5) 구조용 고장력 탄소강 주강품의 시험방법은 KS D 4102에 따른다.

 

 

 

 

 

 

 

 

표 13-12-35 구조용 고장력 탄소강 주강품의 화학적 성질

단위 : %

 

종류의 기호

C

Si

Mn

P

S

Ni

Cr

Mo

SCC 3

SCC 5

0.300.40

0.400.50

0.300.60

0.300.60

0.500.80

0.500.80

0.040이하

0.040이하

0.040이하

0.040이하

-

-

-

-

-

-

SCMn 1

SCMn 2

SCMn 3

SCMn 5

0.200.30

0.250.35

0.300.40

0.400.50

0.300.60

0.300.60

0.300.60

0.300.60

1.001.60

1.001.60

1.001.60

1.001.60

0.0040이하

0.0040이하

0.0040이하

0.0040이하

0.0040이하

0.0040이하

0.0040이하

0.0040이하

-

-

-

-

-

-

-

-

-

-

-

-

SCSiMn 2

0.250.35

0.500.80

0.901.20

0.040이하

0.040이하

-

-

-

SCMnCr 2

SCMnCr 3

SCMnCr 4

0.250.35

0.300.40

0.350.45

0.300.60

0.300.60

0.300.60

1.201.601.201.601.201.60

0.040이하

0.040이하

0.040이하

0.040이하

0.040이하

0.040이하

-

-

-

0.400.80

0.400.80

0.400.80

-

-

-

SCMnM3

0.300.40

0.300.60

1.201.60

0.040이하

0.040이하

-

0.20 이하

0.150.35

SCCrM 1

SCCrM 3

0.250.35

0.300.40

0.300.60

0.300.60

0.500.80

0.500.80

0.040이하

0.040이하

-

-

0.801.20

0.801.20

0.150.35

0.150.35

SCMnCrM 2

SCMnCrM 3

0.250.35

0.300.40

0.300.60

0.300.60

1.201.60

1.201.60

0.040이하

0.040이하

-

-

0.300.70

0.300.70

0.150.35

0.150.35

SCNCrM 2

0.250.35

0.300.60

0.040이하

0.040이하

0.040이하

1.602.00

0.3000.90

0.150.35

 

 

 

표 13-12-36 구조용 고장력 탄소강 주강품의 기계적 성질

 

종류의 기호

열 처 리

항복점 또는 내구력

N/mm2

인장강도

N/mm2

연신율

(%)

단면

수축률(%)

경 도

(HB)

노멀라이징후의 템퍼링의 경우(1)

퀜칭후의 템퍼링의 경우(2)

SCC 3A

SCC 3B

-

-

265 이상

370 이상

520 이상

620 이상

13 이상

13 이상

20 이상

20 이상

143 이상

183 이상

SCC 5A

SCC 5B

-

-

295 이상

440 이상

620 이상

490 이상

9 이상

이상

15 이상

15 이상

163 이상

201 이상

SCMn 1A

SCMn 1B

-

-

275 이상

390 이상

540 이상

590 이상

17 이상

17 이상

35 이상

35 이상

143 이상

170 이상

SCMn 2A

SCMn 3B

-

-

345 이상

440 이상

590 이상

640 이상

16 이상

16 이상

35 이상

35 이상

163 이상

183 이상

SCMn 5A

SCMn 5B

-

-

370 이상

490 이상

640 이상

690 이상

13 이상

13 이상

30 이상

30 이상

170 이상

197 이상

SCSiMn 2A

SCSiMn 2B

-

-

390 이상

540 이상

690 이상

740 이상

9 이상

이상

20 이상

20 이상

183 이상

212 이상

SCMnCr 2A

SCMnCr 2B

-

-

295 이상

440 이상

590 이상

640 이상

13 이상

17 이상

35 이상

35 이상

163 이상

183 이상

SCMnCr 3A

SCMnCr 3B

-

-

370 이상

440 이상

590 이상

640 이상

9 이상

13 이상

30 이상

35 이상

170 이상

183 이상

SCMnCr 3A

SCMnCr 3B

-

-

390 이상

490 이상

690 이상

740 이상

9 이상

13 이상

25 이상

30 이상

183 이상

207 이상

SCMnM 3A

SCMnM 3B

-

-

410 이상

540 이상

690 이상

740 이상

13 이상

13 이상

20 이상

25 이상

201 이상

223 이상

SCCrM 1A

SCCrM 1B

-

-

390 이상

540 이상

590 이상

690 이상

13 이상

13 이상

30 이상

30 이상

183 이상

212 이상

SCCrM 3A

SCCrM 3B

-

-

390 이상

490 이상

690 이상

740 이상

9 이상

이상

25 이상

25 이상

170 이상

201 이상

SCMnCrM 2A

SCMnCrM 2B

-

-

440 이상

540 이상

690 이상

740 이상

13 이상

13 이상

30 이상

30 이상

201 이상

223 이상

SCMnCrM 3A

SCMnCrM 3B

-

-

540 이상

635 이상

740 이상

830 이상

9 이상

이상

25 이상

25 이상

212 이상

223 이상

SCNCrM 2A

SCNCrM 2B

-

-

590 이상

685 이상

780 이상

880 이상

9 이상

이상

20 이상

20 이상

223 이상

269 이상

 

 노멀라이징 온도 850~950 템퍼링 온도 550~650 

 퀜칭온도 850~950 템퍼링 온도 550~650 

 기호 끝의 A는 노멀라이징 후 템퍼링을, B는 퀜칭 후 템퍼링을 표시한다.

비 고 표는 해당 열처리를 표시한다.

 

 

2.7.3 용접 구조용 주강품(KS D 4106)

본 규정은 압연강재단강품 또는 주강품과의 용접 구조에 사용하는 특히 용접성이 우수한 주강품에 대하여 규정한다.

(1) 용접 구조용 주강품의 종류의 기호는 표 13-12-37과 같다.

(2) 용접 구조용 주강품은 노내에서 각부를 균일하게 가열하고 어닐링노멀라이징노멀라이징 후 템퍼링 또는 퀜칭 후 템퍼링 등 어느 것이든 열처리를 실시하여야 한다.

(3) 용접 구조용 주강품의 형상치수 및 질량은 설계도서에 따르고 길이 및 두께의 허용차는 KS B 0418 에 따른다.

 

 

표 13-12-37 용접 구조용 주강품의 종류의 기호

 

종 류 의 기 호

SCW 410

SCW 450

SCW 480

SCW 550

SCW 620

 

(4) 용접구조용 주강품은 품질이 균일하고사용상 해로운 흠 및 블로우 호울 등이 없어야 한다.

(5) 용접구조용 주강품의 화학성분 및 탄소당량은 KS D 4106에 따른다.

다만탄소당량의 계산방법은 각 성분 다같이 1/100 % 단위의 분석치를 사용하여 1/1,000 % 단위까지 산출하고 더한 값은 1/1,000단위에서 KS A 0021에 따라 끝맺음한다.

 

 

 

 

 

 

 

 

 

 

 

 

 

 

 

 

 

표 13-12-38 용접 구조용 주강품의 화학성분 및 탄소당량

단위 : %

 

종류의 기호

C

Si

Mn

P

S

Ni

Cr

Mo

V

탄소당량

SCW410

0.22

이하

0.80

이하

1.50

이하

0.04

이하

0.04

이하

-

-

-

-

0.40

이하

SCW450

0.22

이하

0.80

이하

1.50

이하

0.04

이하

0.04

이하

-

-

-

-

0.43

이하

SCW480

0.22

이하

0.80

이하

1.50

이하

0.04

이하

0.04

이하

0.50

이하

-

-

-

0.45

이하

SCW550

0.22

이하

0.80

이하

1.50

이하

0.04

이하

0.04

이하

2.50

이하

0.30

이하

0.20

이하

0.20

이하

0.48

이하

SCW620

0.22

이하

0.80

이하

1.50

이하

0.04

이하

0.04

이하

2.50

이하

0.30

이하

0.20

이하

0.20

이하

0.50

이하

 

(6) 용접 구조용 주강품의 기계적 성질은 KS D 4106에 따른다.

 

 

 

 

표 13-12-39 용접 구조용 주강품의 기계적 성질

 

종류의

기 호

항복점 또는 내력

(N/mm2)

인장강도

(N/mm2)

연신율

(%)

샤르피 흡수에너지

충격

시험온도

노치 시험편

KS D 4101

SCW 410

SCW 450

SCW 480

SCW 550

SCW 620

235 이상

255 이상

275 이상

355 이상

430 이상

410 이상

450 이상

480 이상

550 이상

620 이상

21 이상

20 이상

20 이상

18 이상

17 이상

0

0

0

0

0

27 이상

27 이상

27 이상

27 이상

27 이상

 

 

 

(7) 용접 구조용 주강품의 시험방법은 KS D 4106 에 따른다.

 

 

3. 시 공

해당없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343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3004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670
375 201509_공사시방서(1)제10장 시멘트콘크리트 포장공사 file 효선 2023.05.12 1521
374 201509_공사시방서(1)제11장 안전시설공사 file 효선 2023.05.12 785
373 201509_공사시방서(1)제12장 환경관리 및 부대공사 file 효선 2023.05.11 824
372 201509_공사시방서(1)제13장1편_재료 file 효선 2023.05.11 845
» 201509_공사시방서(1)제13장2편_재료 file 효선 2023.04.24 763
370 201509_공사시방서(1)제13장3편_재료 file 효선 2023.04.20 770
369 201509_공사시방서(2)-광주순환 2공구(1022)지반구조취합_제0편목차 file 효선 2023.04.20 841
368 201509_공사시방서(2)-광주순환 2공구(1022)지반구조취합_제1편 file 효선 2023.04.20 828
367 201509_공사시방서(2)-광주순환 2공구(1022)지반구조취합_제2편 file 효선 2023.04.20 836
366 201509_공사시방서(2)-광주순환 2공구(1022)지반구조취합_제3편 file 효선 2023.04.19 852
365 201509_공사시방서(2)-광주순환 2공구(1022)지반구조취합_제4편 file 효선 2023.04.07 796
364 198903_배수구조물설계법(기록보관용) file 사이트관리자 2023.02.18 968
363 201608_저토피 지중구조물 상부 포장파손 저감방안 file 효선 2022.12.21 836
362 202106_하이패스나들목 설계지침 제정(본문) file 효선 2022.11.25 1233
361 고속도로스마트설계지침(2020.9)_목차 file 땅콩 2021.08.30 941
360 고속도로스마트설계지침(2020.9)_1장_일반사항 file 땅콩 2021.08.30 1037
359 고속도로스마트설계지침(2020.9)_2장_기본사항 file 땅콩 2021.08.30 1205
358 고속도로스마트설계지침(2020.9)_3장_BIM전면설계기준 file 땅콩 2021.08.30 4334
357 고속도로스마트설계지침(2020.9)_4장_스마트설계지침 file 땅콩 2021.08.30 1008
356 고속도로스마트설계지침(2020.9)_부속서_1_BIM전면설계_과업내용서표준(안)_목차 file 땅콩 2021.08.30 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