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85

9-19 터널 원격통합 관리시설 기반 터널 운영관리 개선방안 시 설 처-2986

(2011. 11. 2)

I 추진배경

□ 터널 연장이 1km이상인 장대터널은 터널내 상황을 상시 감시하며 사고(화재 등) 대처 및 시설물 점검․운용 등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터널 인근에 관리사무소를 설치하여 관리자가 상주 관리

* 관련법령에 의거 전기용량 1,000kw 이상 전기안전관리자 선임 업무 병행

□ 친환경 고속도로 건설에 따른 장대터널 증가로 유지관리비 급증 예상

□ 터널 원격통합 관리시설을 기반으로 유지관리비 절감방안 도출

II 현 실태

□ 터널 관리방법

 

구 분

터 널

(개소)

시 설 개 요

관 리 방 법

비 고

전기용량

방재시설

323

 

 

 

 

1km미만

터 널

(단 터널)

258

1,000kw

미만

소화기구

등 13

지사 상황실

터널내 상황감시

및 대응

자체

직원

시행

1km이상

터 널

(장대터널)

65

1,000kw

이상

제트팬

등 20

터널관리사무소

터널내 상황감시

시설물 점검운용

사고시 대응

법적 전기안전관리자

외주

용역

시행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86

□ 장대터널 운영관리

관리형태

구 분 개 별 관 리 복 합 관 리 통 합 관 리

관 리

개 요

개별 장대터널에서

관리인원이 주․야간

상주하며 과업수행

관리인원 축소를

위하여 인접한 장대터널

복합관리

(예산절감 목적)

* 터널간 거리 25Km이내

대관령지사 등 관내

인근 5개 장대터널

통합센터에서 관리

근 무

방 법

▪개별 장대터널

관리 인원 : 7 명

주 간 야 간

4 명 3 명

* 안전관리자 상시근무

* 기타 관리인원

24시간 교대근무

▪복합관리 (주)터널

관리 인원 : 7 명

주 간 야 간

4 명 3 명

▪복합관리 (부)터널

관리인원 : 5 명

주 간 야 간

3 명 2 명

* (주)터널에서 (부)터널의

일부업무(순찰, 점검)

지원

▪통합센타

관리 인원 : 16 명

주 간 야 간

9 명 7 명

※ 운영관리 현황 : 65개소 (236억원/년) [2011년 기준]

 

구 분

개 별

관 리

복 합 관 리

통 합

관 리

비 고

()터널

()터널

터널수량

(개 소)

65

17

17

21

10

 

관리비용

(억 원)

236

73

63

77

23

 

 

 

* 민자터널 포함 : 서울 ~ 춘천 5개(통합관리), 부산 ~ 울산 1개(개별관리)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87

주요업무

 

 

 

 

구 분

주 요 업 무

비고

전기안전관리

시설물점검관리

■ 법적 전기안전관리자 선임 상주

■ 전기시설물 등의 점검 및 관리

일상정기(월간분기및 특별점검 시행

일 3회 이상 차량 순회점검

■ 시설물 고장수리 및 정비

 

상황감시운용

사고시 대응

■ 터널내 사고 대비 24시간 상황 감시

- CCTV 등 감시 설비 활용

■ 터널내 화재(사고 등)시 대응

방재시설물(제트팬 등적정 운전

터널내 진입 차량통제 및 이용객 피난유도

관련기관 통보 및 요청시 구난활동 협조

 

※ 타기관 사례

o 국내사례

- 국 도 : 개별관리

- 지 자 체 : 개별관리

- 민 자 : 통합관리 (일부 개별관리)

o 해외사례

- 장대터널 : 통합관리 (일부 초장대터널 개별관리)

 

구 분

통 합 관 리 사 례

비 고

일 본

중일본고속도로 (나고야지사관내 5개터널)

 

스 위 스

Fribourg Canton 경찰서 (관내 2개터널)

관리주체(경찰)

오스트리아

Arlberg 터널관리소 (관내 5개터널)

 

 

 

* 해외 통합관리 터널은 경찰 및 소방서가 사고대응 업무 수행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88

III 문제점

□ 향후 친환경 고속도로 건설에 따른 장대터널 증가로 유지관리비

급증 예상

 

2011년 (현재)

2016년 (5년 후)

관리비용 : 236억원/

 

관리터널 : 65개소

 

■ 관리비용 : 470억원/

(증 234억원/)

■ 관리터널 : 123개소

(증 58개소)

 

 

□ 우리공사 부채문제 등을 고려하여 저비용․고효율의 장대터널

관리방안 도출 필요

IV 개선방안

□ 터널 원격통합 관리시설을 기반으로 장대터널의 관리방법을

개별 관리체계에서 지사 통합 관리체계로 전환

현 행 (개별관리) 개 선 (통합관리)

터널 관리사무소에서 관리 지사에서 원격통합관리

터널 원격통합 관리시설 기반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89

□ 세부 개선방안

현 행

터널 관리사무소 지사 상황실

: 개별관리

개 선 : 통합관리

터널 관리사무소 지사 상황실

원격관리

법적상주의무

전기안전관리자

외주통합관리인원

※ 터널연장이 4km이상 또는 복합환기(제트팬 + 축류팬)터널은 현행대로 개별관리 시행

- 대 상 : 3개소 (둔내, 육십령, 죽령터널)

- 터널 관리인원은 축소 : (주간 4명, 야간 3명 → 주간 3명, 야간 2명)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90

□ 터널 원격통합 관리시설 구축

시스템 계통

현 행 개 선

․장대터널별 감시 운영 ․지사에서 전터널 감시 운영

■통합 대상 시설 : 제연설비(제트팬), CCTV, 자동화재탐지설비

비상경보발신기, 진입차단설비 등

연도별 구축 계획

- ITS선진화(CCTV디지털화, 네트워크망 구축) 계획과 연계하여 연차별 구축

 

구 분

대 상 지 사

대상터널

26개 지사

65개소

2011

■ 5개 지사

보은이천강릉제천창원

6개소

2012

■ 13개 지사

시흥대관령홍천충주춘천무주영동,

진천구례고성창녕울산산청

38개소

2013

■ 8개 지사

담양광주진안군위영주상주성주영천

21개소

 

 

※ 기존 26개 지사 원격통합 관리시설 구축 사업비 : 81억원

※ 신설 지사는 건설사업단 시행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91

V 개선효과

□ 터널 개별 관리체계에서 지사 통합 관리체계로 전환

⇨ 2016년 이후 유지관리비 연간 150억원 절감

 

터널 개별관리 유지시

터널 통합관리 시행시

■ 대상터널 : 123개소

기존(65개소),신규(58개소)

■ 소요예산 : 470억원

전기안전관리 : 165억원

(법적상주의무)

개별관리 : 305억원

■ 대상터널 : 123개소

 

■ 소요예산 : 320억원 (150억원)

전기안전관리 : 165억원 ( - )

(법적상주의무)

통합관리 : 155억원 (150억원)

 

 

※ 연도별 누계절감액 [단위 : 억원]

 

구 분

2012

2013

2014

2015

2016

터널개소

6

57

81

105

123

절 감 액

5

61

95

121

150

 

 

VI 추진계획

□ 시행방법

기존 터널은 원격통합 관리시설 구축 및 시운전 계획, 운영관리

계약기간을 감안하여 연차별 시행

※ 연도별 시행계획 [단위 : 개소]

 

구 분

2012

2013

2014

지 사

26

5

13

8

터 널

65

6

38

21

 

 

* 2012년 통합관리는 시운전 기간을 감안하여 4지사(이천, 강릉, 제천, 창원)를 7월부터 시행

신규터널은 개통시기에 맞추어 시행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92

□ 기타사항

터널 관리체계 개선에 따른 업무분장

 

구 분

업 무

주관부서

전기안전관리자

(터널상주)

법적 전기안전관리자 선임

전기시설물 점검 관리

시 설 처

(전기팀)

외주통합관리자

(지사상황실)

터널 상황감시(운용및 보고

사고시 방재시설 원격운전

시 설 처

(설비팀)

안전순찰원

터널 사고시 초기대응조치

교 통 처

 

 

o 터널 사고시 초기대응조치 교 통 처

터널시설물 감시 운용에 필요한 지사상황실 통합 관리 인원은 별도 외주 용역 시행 (4조 3교대)

전기시설물 점검인력 축소에 따른 전기안전사고 및 시설물 기능저하 예방을 위하여 별도 점검용역 시행

터널 내 사고시 무인 운영으로 인한 현장 긴급대처 능력 저하에 대비하여 지사 상황실 및 안전순찰원의 유기적인 협조로 긴급 대처 능력 향상 능력 향상

# 붙 임

1. 2011년 장대터널 운영관리 현황

2. 향후 장대터널 건설 현황

3. 장대터널 운영관리 세부 개선내용

4. 연도별 추진계획

5. 터널 운영관리 개선에 따른 절감액

6. 장대터널 전기안전관리자 현황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310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81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646
119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2_Hi-Quality 건설현장 검측제도 개선 file 효선 2024.04.24 967
119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3_고속도로 건설현장 교량 하부 공간 효율적 관리 방안 file 효선 2024.04.24 1054
119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4_녹색 도로교통 기반조성을 위한 회전교차로 적용성 검토 결과 file 효선 2024.04.24 833
119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5_공용 중인 노선의 신축이음부 충격음 저감 대책 file 효선 2024.04.24 933
119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6_고속도로 공사장 교통관리기준 개정 file 효선 2024.04.24 1829
119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7_에너지 저소비형 절전형 항온항습기 도입 방안 file 효선 2024.04.24 979
118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8_휴게소 오수처리시설 설계기준 변경 file 효선 2024.04.24 1192
118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9_신재생에너지 투자대상의 기준 적용방안 file 효선 2024.04.22 808
118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0_오수처리시설 관리실 시설 기준 file 효선 2024.04.22 940
118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1_안전한 고속도로 구현을 위한 방음시설 유지관리 강화 대책 file 효선 2024.04.22 1294
118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2_건축 설계기준 개선 수립 file 효선 2024.04.22 1168
118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3_콘크리트 포장 종방향 타이닝 최적 시공 방안 file 효선 2024.04.22 913
118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4_효율적 에너지 절약을 위한 영업소 사무실 평면 개선계획 file 효선 2024.04.22 864
118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5_점멸식 속도제한표지 설치기준 file 효선 2024.04.22 999
118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6_톨게이트 점검사다리 개선 file 효선 2024.04.22 939
118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7_고속도로 건설구간 자생수목 및 비옥토 활용 관리방안 개선(안) file 효선 2024.04.22 1050
117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8_고속도로 특성을 고려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설치기준 수립 file 효선 2024.04.22 1865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9_터널 원격통합 관리시설 기반 터널 운영관리 개선방안 file 효선 2024.04.22 1075
117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20_장대터널 중앙감시반 모니터 형식 개선 file 효선 2024.04.22 1108
117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21_Hi-Green Building 실행계획 변경(안) 수립 file 효선 2024.04.22 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