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46

9-13 콘크리트 포장 종방향 타이닝 최적 시공 방안 녹색환경처-3542

(2011. 9. 23)

I 추진배경

최근 준공된 일부노선 중 종방향 타이닝 설치구간 주행시 발생하는

횡방향 흔들림 방지를 위한 종방향 타이닝 최적 시공관리 방안을

수립하고자 함.

※ 종방향 타이닝 설치 구간에서 차량 쏠림 현장 발생에 대한 보도

(「소비자 고발」KBS 1TV, 2011.8.26)

II 추진경위

□ 2003. 5 : 교통소음이 작은 종방향 타이닝 도입 (설계처)

o 5가지 형태의 타이닝 시험시공 후 효과분석을 통해 설계기준 마련

o 횡방향 타이닝 대비 소음발생 감소 (1.5∼5.5dB), 주행쾌적성 개선

□ 2008.12 : 전구간 종방향 타이닝 적용 (설계처)

18mm

3mm 3mm

□ 2008~ 2010 : 순천-완주 등 6개 노선 178㎞시공

o 평택-제천선, 동해선, 서울-양양선, 중부내륙선, 호남지선, 순천-완주선

□ 2010 이후 : 횡방향 흔들림 등 주행 불안 민원 발생

o 2개 노선 (순천-완주, 안성-음성) 31km구간에서 횡방향 흔들림 현상 발생

o 2010. 7 : 평택-제천 (안성-음성) 구간 0.7km 보수

□ 2011. 3 : 전구간 현장 정밀조사 (도로교통연구원)

o 가속도 센서 측정결과 주행 불편 구간이 산재함

□ 2011. 8 : 흔들림 구간 보수공사 시행 (안성-음성, 순천-완주)

o 2011. 9末: 보수공사 완료예정 (2개 노선, 31km)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47

III 기준 및 문제점

□ 시방 기준

 

적용 구간

W x D x S(mm)

단 면 도

콘크리트포장

3 x 3 x 18

 

 

□ 종방향타이닝 관련 주요 문제점

◦타이닝의 기준간격(18mm) 초과 시공

순천-완주 등 6개노선 : 타이닝 간격 22 ~ 25mm

◦장비 흔들림으로 인한 선형 불량

타이닝 간격이 일정하지 않고 지그재그식으로 선형이 불량

- 타이닝 홈 선형불량 및 간격이 큰 구간에서 횡방향 흔들림으로

주행 쾌적성 저해

⇒ 차량 흔들림으로 인한 주행 불안 민원 및 언론의 관심 증가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48

IV 종방향 타이닝 최적 시공안

1. 종방향 타이닝 시방기준 준수 철저

□ 종방향 타이닝 시방 기준

o 3 × 3 × 18mm

o 간격, 깊이, 홈 형상, 선형이 불량한 경우 차량 횡방향 흔들림 발생

□ 평탄성(PrI), 횡방향 처짐 관리 철저

o 평탄성(PrI) : 80mm/km이하, 횡방향 처짐 관리 기준 : 6mm이내

2. 현장 배합관리 철저

□ 적정 시공 슬럼프 유지 (40mm 이내)

o 적정 슬럼프 유지시 블리딩이 최소화 되어, 타이닝 홈 단면 형성

및 횡방향 처짐 방지

o Zero 슬럼프인 경우, 포장장비의 과도한 다짐 진동 (13,000rpm이상)

으로 포설하게 되어 타이닝 홈 깊이 부족 현상 발생

- 진동으로 인한 재료 분리 등으로 콘크리트 내구성 저하

□ 콘크리트 생산시 믹서시간 준수 : 90초 이상

o 균질한 콘크리트 생산 가능, 연행 공기 증대와 강도증대 (5∼10%)효과

□ 포장 배합 설계시 2성분계 결합재 사용「플라이애시(20%)+시멘트(80%)」

o 블리딩이 적어 타이닝 시공시 단면 형성 및 내구성 증진에 유리

ex) 결합재 총량 (350kg/㎥) : 플라이 애쉬 (70kg)+시멘트 (280kg)

□ 물-결합재비의 철저한 관리

o 세골재 표면수 관리 철저

o 디지털 공극량 및 단위수량 측정기 (W-checker) 적극 활용

o 과도한 결합수량은 콘크리트 양생 후 공극으로 잔류하게

되어 내구성에 불리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49

3. 타이닝 장비 개선

□ 타이닝 장비의 흔들림 방지를 위한 강결처리

o 문 제 점 : 포장장비 측면 (프레임)에만 1단고정하여 흔들림 발생

o 개 선 : 타이닝 장비를 Con'c포장 장비에 3단 고정 강결 처리하여

흔들림으로 인한 선형불량 방지

- 페이버 센서와 일체 거동하여 포장과 일치된 타이닝 선형 형성

기 존 개 선

포장장비 측면(프레임)에만 1단 고정 측면(프레임)과 상면(체인+ 턴버클) 3단 고정

□ 타이닝 강선에 간격유지 고정장치 부착

o 문 제 점 : 타이닝 강선 고정 장치가 없어 강선 간격이 벌어지고

강선의 흔들림으로 타이닝 간격 불일치

o 개 선 : 타이닝 강선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 부착

- 고정 장치는 실리콘 재질이며 상하 이동이 가능하여 강선의 탄성

조절 용이

기 존 개 선

이동 가능

타이닝 강선이 서로 분리됨 고정장치 부착(일정한 간격 확보)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50

□ 타이닝 장비 인상장치 부착

o 문 제 점 : 강선이 포장면에 오랫동안 방치되어 함몰로 인한 자국발생

o 개 선 : 타이닝 장비를 상 하로 조정할 수 있는 장치를 부착하여

포장 장비 정지시 포장면에서 타이닝 강선 분리 가능

기 존 개 선

타이닝 강선이 방치된 상태로 유지 타이닝 강선 인상장치 부착

□ 타이닝 최적 강선길이 및 시공각도 설정

o 문 제 점 : 타이닝 깊이 미확보와 골재긁힘 등 표면상태 불량

o 개 선 : 타이닝 강선길이 (30cm)와 시공각도 (30°이하)를 유지하여

타이닝 깊이 확보 (3mm 이상), 골재 긁힘 방지 가능

- 포설시 슬럼프에 맞춰 시공에 적합한 강선길이와 시공각도 조정

기 존 개 선

30° 이하

30cm

20cm

깊이 미확보 골재 긁힘 강선각도(30°이하) 강선길이 (30cm)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기 타

751

4. 포장장비 관리 철저

□ 포장장비 선정시 제원, 중량, 안정감을 고려, 타이닝 시공시

유리한 장비 선정 (SP1600, SF550 등)

□ 진동기 위치 확인 및 과다 다짐 방지

o 진동기 위치 : 포장면 하부 5cm, 진동수 : 7000∼9000 rpm

o 진동수가 과다할 경우 모르타르 상승 등 블리딩과 재료분리 발생

MouId

5㎝

진동기

진동기, 몰드 위치 상세

유효진동다짐영역

(

진행방향

7㎝

본선 포장

˚

(D=40cm)

진동기 적정위치 확인 표면 모르타르층 확인

□ 슬립폼 페이버의 진행이 정지되었을 때는 다짐장비도 같이 정지

o 콘크리트 포장면 횡·종방향 처짐 방지

□ 타이닝 시공관리 인부 1명 배치

V 추진계획

□ 종방향 타이닝 시공지침을 「표준자료실」에

등재하여 전직원 공유 및 전파

붙 임 : 콘크리트 포장 종방향 타이닝 시공 지침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311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81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649
119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2_Hi-Quality 건설현장 검측제도 개선 file 효선 2024.04.24 967
119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3_고속도로 건설현장 교량 하부 공간 효율적 관리 방안 file 효선 2024.04.24 1054
119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4_녹색 도로교통 기반조성을 위한 회전교차로 적용성 검토 결과 file 효선 2024.04.24 833
119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5_공용 중인 노선의 신축이음부 충격음 저감 대책 file 효선 2024.04.24 933
119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6_고속도로 공사장 교통관리기준 개정 file 효선 2024.04.24 1829
119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7_에너지 저소비형 절전형 항온항습기 도입 방안 file 효선 2024.04.24 979
118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8_휴게소 오수처리시설 설계기준 변경 file 효선 2024.04.24 1192
118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9_신재생에너지 투자대상의 기준 적용방안 file 효선 2024.04.22 808
118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0_오수처리시설 관리실 시설 기준 file 효선 2024.04.22 940
118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1_안전한 고속도로 구현을 위한 방음시설 유지관리 강화 대책 file 효선 2024.04.22 1294
118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2_건축 설계기준 개선 수립 file 효선 2024.04.22 1168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3_콘크리트 포장 종방향 타이닝 최적 시공 방안 file 효선 2024.04.22 913
118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4_효율적 에너지 절약을 위한 영업소 사무실 평면 개선계획 file 효선 2024.04.22 864
118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5_점멸식 속도제한표지 설치기준 file 효선 2024.04.22 999
118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6_톨게이트 점검사다리 개선 file 효선 2024.04.22 939
118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7_고속도로 건설구간 자생수목 및 비옥토 활용 관리방안 개선(안) file 효선 2024.04.22 1051
117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8_고속도로 특성을 고려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설치기준 수립 file 효선 2024.04.22 1865
117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9_터널 원격통합 관리시설 기반 터널 운영관리 개선방안 file 효선 2024.04.22 1075
117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20_장대터널 중앙감시반 모니터 형식 개선 file 효선 2024.04.22 1108
117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21_Hi-Green Building 실행계획 변경(안) 수립 file 효선 2024.04.22 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