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8-9_시공 및 유지관리 효율성 향상을 위한 터널내 배수체계 개선방안
2024.04.24 14:15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595
8-9 시공 및 유지관리 효율성 향상을 위한 터널내 배수체계 개선방안 설 계 처-2912
(2011. 11. 30)
I 검토목적
터널내 복잡한 배수체계를 단순화하여 시공 및 유지관리 효
율성을 증진하고 경제적인 설계추진 도모
II 현행 배수체계
□ 고속도로 터널 배수체계
자연환기 기계환기
※ 배수흐름도
터널배면 침투수 터널하부 침투수 터널내 세정오수 터널외부 유입수
측방 배수관 공동구 유입
횡배수관
스파이럴씸덕트 유공관 노면배수구(Ditch)
지하수 처리 세척수 처리
□ 설계기준
▣터널표준시방서 ▣터널설계기준 ▣도로설계요령 ▣도로설계편람 등 |
⇒ |
ㅇ 주배수관(스파이럴씸덕트) : ㅇ 측방배수관 : ㅇ 횡배수관(간격10m) : ㅇ 유공관 : ㅇ 집수정 : 간격 50m 이하 |
596
□ 해외사례
Gotthard Tunnel 일본도로터널 Black Hill 터널
∙이탈리아 N2고속도로
∙측벽배수 →
터널하부 배수관
∙2차로 도로터널 단면
∙측벽하부집수재 →
하부중앙배수
∙홍콩구룡의 철도터널
∙측벽배수 →
터널하부 바닥배수판
III 배수체계 문제점
□ 공동구부 배수콘크리트 시공성 측면
o 시공계획(설계기준)
자연환기 기계환기
1
2
3
4
5
1
2
3
4 5
① 버림․배수콘트리트 하부 타설(인력)
② 종․횡 배수관설치
③④⑤ 배수․라이닝하부․
공동구 벽체 타설(기계)
① 버림․배수콘트리트 하부타설(인력)
② 종․횡 배수관설치
③ 배수콘크리트 타설(인력)
④ 라이닝하부 타설(인력)
⑤ 공동구 벽체 타설(기계)
* 포장층 하부 맹암거 유공관은 별도 시공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597
【기계환기 시공 순서】
①버림 ․배수콘크리트 하부 타설 ② 종․횡배수관 설치
③ 배수콘크리트 타설 ④ 라이닝하부
콘크리트 타설
⑤ 공동구 벽체
콘크리트 타설
☞ 배수콘크리트내 종․횡배수관 설치 및 인력타설 등 공정 복잡
□ 유지관리성 측면
o 맹암거 유공관이 포장층 하부에 위치하여 유지관리 곤란
o 집수정(간격 50m) 연결 횡배수관 T자형 연결관 적용
- 측방배수관 유지관리 측면 불리
o 내장재 세척수 등은 디치(Ditch) 및 집수처리시설을 통해 정화후 방류
- 개방형 집수정 덮개 적용, 세척수․노면오물 등 집수정 유입 문제
시공 ․ 유지관리 효율성 향상을 위한 배수체계 개선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598
IV 개선방안
□ 그간의 추진 현황
배수체계 개선안 마련 |
⇒ |
현장 감리, 시공자 설문 |
⇒ |
외부전문가 자문(설계처) |
⇒ |
설계심의 (설계심사처) |
o 2010. 5~9 : 배수체계 개선안(4개안) 검토
o 2010.10~11 : 개선방안 현장의견 설문조사
- 12개 터널현장, 총 77명(감리원 26명, 시공사 51명)
o 2011. 3 : 외부 터널전문가(5명) 자문 및 보완
o 2011. 10 : 설계심의(설계심사처 : 심의위원 6명) 및 보완
□ 배수시스템 개선방안
o 종배수관(스파이럴씸덕트) 삭제, 맹암거 유공관 통합 배수
o 배수체계 단순화 및 시공성 개선
구분 현 행 개 선
자연환기
기계환기
599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 개선 배수체계 시공순서
o 자연환기
① 버림 콘크리트 타설 ② 통합 유공관 및
횡배수관 등 설치
③ 배수콘크리트 타설
(기계)
④ 라이닝콘크리트
타설
⑤ 포장 콘크리트
타설
o 기계환기
① 버림 콘크리트 타설 ② 통합 유공관 및
횡배수관 등 설치
③ 배수콘크리트 타설
(1차, 기계)
④ 공동구 벽체 타설
(2차, 기계)
⑤ 라이닝콘크리트
타설
⑥ 포장 콘크리트
타설
600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 유지관리 등을 위한 개선
o 집수정(간격 50m) 연결 측방 횡배수관 형식 개선 : T형 → Y형
- 측방배수관 막힘 등 유지관리 필요시 청소장비 등 사용성 용이
현 행 개 선
400(500)X640
공 동 구
유지관리 집수정
측벽배수관(Ø100)
(Ø100)
T형 이음관
아연도유공관(Ø200)
스파이럴씸닥트(Ø300)
C.T.C 50m
o 집수정 덮개 개선 : 개방형 → 밀폐형
- 내장재 세척수 및 노면오물 집수정 유입 방지
- 터널 입출구부 집수정 결빙 예방 효과
현 행 개 선
□ 설계․시공시 유의사항
o 설계시 연장․용수량 등을 감안한 유공관 관경 검토
o 통합 유공관 Ditch 굴착시 여굴제어 등 정밀시공
o 통합 유공관(SB-1) 설치부 지지력 확보를 위한 다짐 철저
o 토사구간(인버트 설치구간 등) 배수시스템 별도 검토 등
601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 기대효과
o 배수콘크리트 시공단계 축소 및 기계화 시공 등으로 시공성 개선
o 맹암거 유공관 등 유지관리성 향상
o 내장재 세척수․노면수를 완전 집수처리 가능, 환경성 향상
o m당/개소 22,758원 절감 경제성 향상
- 1km 양방향 터널 적용시, 약 91백만원 절감 예상
V 적용방안
□ 시험시공 추진
o 개선된 배수체계 현장 적용성 확인을 위한 시험시공(2012년)
- 상주안동건설사업단 제9공구 길안1터널(상주방향 379m, 영덕방향 424m)
- (사업단 협조) 현장 적용성 확인 시험시공이 조기에 완료 가능토록
터널 공정관리 및 시험시공 관리․분석 협조
□ 시행방안
o 배수체계 개선 : 시험시공 후 세부 시행방안 수립
o 집수정 연결 횡배수관 형식(T형⟶Y형) 및 집수정 덮개(개방형⟶밀폐형) 개선
☞ 시공 중 노선 : 사업시행부서 검토 적용, 설계 중 노선 : 적용
붙임 : 1. 터널 배수체계 개선에 따른 유공관 관경 검토
2. 배수콘트리트 하부 유공관 설치 부등침하 및 지지력 검토
3. 개선안 선정을 위한 현장 기술자(감리․시공사) 설문결과
4. 외부전문가 자문․설계심의 및 조치현황
5. 경제성 검토
6. 관련도면
602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터널 배수체계 개선에 따른 유공관 관경 검토
종방향 배수관(스파이럴씸덕트)을 삭제할 경우 모든 유입수가 통합
유공관에서 집수되므로 통합 유공관의 처리 용수량 검토 필요
□ 통합 유공관 규격 검토 조건
∙ 터널내 처리용수량
min
∙ 종단경사: 0.3%~2.0%
Qd A∙ n ∙ R ∙ I∙
여기서, A=배수로 단면적, D=관지름
I=동수경사, R = 동수반경
V=관내유속, n = 조도계수
□ 통합 유공관 규격 검토 결과
구 분 유공관 규격
터널연장
1km 미만
종단경사
1.0% 미만 250mm
종단경사
1.0% 이상 200mm
터널연장
1km 이상
-
별도
검토
□ 현행 및 개선안의 배수관 규격 비교(터널 연장 1km, 종단경사 0.3%일 경우)
구 분 |
배수체계(현재) |
배수체계(개선안) |
|
스파이럴씸 |
유공관 |
통합 유공관 |
|
관 경 |
|
|
|
총용수량( |
1.050 m3/min |
0.450 m3/min |
1.500 m3/min |
처리가능용량( |
3.106 m3/min |
1.054 m3/min |
3.106 m3/min |
비 율 |
33% |
43% |
49% |
☞ 통합 유공관 관경은 터널연장 등에 따른 수리검토 후 결정
붙 임 #1
603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배수콘크리트 하부 유공관 설치부 부등침하 검토
□ 검토개요
유공관 잡석채움이 배수 콘크리트 하부에 위치함에 따른 부등침하 검토
□ 검토방법
o 배수콘크리트에 작용하는 하중
- (공용중) 본선 라이닝 철근보강 구간에서 배수콘크리트에 전달되는 축력값 적용
- (시공중) 라이닝콘크리트 자중 + 배수콘크리트 자중
o 자연환기 및 기계환기 터널 단면별 배수콘크리트에 작용하는 하중 위
치가 상이하므로 각각 검토 수행
o 터널 단면별 암반구간 및 잡석구간을 분리하여 지반반력값을 산정하고
연직방향 탄성변위량을 검토 후 허용 각변위 검토
□ 검토결과
CASE 1(자연환기 터널) CASE 2(기계환기 터널) CASE 3(시공시)
암반구간 잡석구간
(B1=1.0m) (B2=0.6m)
V
CL
B=1.6m
e=0.2m
V=2,513kN
q(max)
q(min)
암반구간 잡석구간
(B1=1.4m) (B2=0.6m)
V=2,513kN
V
CL
B=2.0m
e=0.6m
x
암반구간 잡석구간
(B1=1.0m) (B2=0.6m)
P1
CL
B=1.6m
374kN
q(max)
q(min)
P2
P
L1 L L2
193kN
▣ 허용 부등침하 검토(구조물기초 설계기준, 2009)
: △S/L〈 1/500 ⇒ OK (△S : 탄성변위량, L : 밑변길이, 1/500 : 구조물균열 미발생 한계)
붙 임 #2
604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배수콘크리트 하부 지지력 검토
□ 검토개요
배수 콘크리트 하부지반의 연직 및 수평 지지력 검토
□ 검토방법
o 배수콘크리트 하부에 작용하는 하중
- 라이닝 콘크리트 시공시 하중(포장 콘크리트 타설전)
o 배수콘크리트 하부 지반을 암반등급Ⅴ로 가정하고 배수콘크리트 바닥
면에서의 연직 및 수평하중과 지지지반의 허용지지력을 비교 검토
□ 검토결과
o 작용하중
∘ P= {라이닝콘크리트 자중(8.712m2/m × 25kN/m3) + 배수콘크리트 자중(1.963m2/m ×25kN/m3)} × 1.4 = 374 kN ∘ Pv=361 kN / Ph=97 kN |
|
o 연직 지지력 검토
위 치 |
연직 지지력 |
허용 지지력 |
설계하중 |
판정 |
|
Terzaghi |
수정 Meyerhof |
||||
배수콘크리트 하부 |
857kN/m2 |
950kN/m2 |
857kN/m2 |
361kN/m2 |
O.K |
o 수평 지지력 검토
위 치 |
수평 지지력 |
설계하중 |
안전율 |
판정 |
|
연직하중 |
전단 저항력 |
||||
배수콘크리트 하부 |
361kN |
217kN |
97kN |
2.23 |
O.K(>1.5) |
※ 배수콘크리트 하부 지반이 토사 구간일 경우 추가 검토를 통해 안정성을 확인하여야 함.
605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개선안 선정을 위한 현장 기술자(감리․시공사) 설문결과
□ 설문개요
o 개선방안 : 4개안 마련 설문실시
o 설문기간 : 2010. 10 ~ 11
o 대 상 : 12개 터널현장, 총 77명(감리원 26명, 시공사 51명)
o 질 문 : 시공성 및 유지관리성, 개선의견 등 설문
□ 설문결과
가장 합리적인 개선안 유지관리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개선안
☞ 가장 합리적이고 시공성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우수 : 1안 (48%)
시공성 측면에서 가장 불량한 개선안 유지관리 측면에서 가장 불량한 개선안
☞ 시공성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가장 불량 : 3안 (60%~66%)
☞ 개선안중 시공성, 유지관리성 등의 측면에서 우수한 개선1안 선정
붙 임 #3
606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607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터널공
경제성 검토
(자연환기 터널 추월차로 1m기준, 2010년 상주영덕 단가 적용)
공 종 |
기존안 (원) |
개 선 안(원) |
비고 |
||||
1안 |
2안 |
3안 |
4안 |
||||
굴착 및 버력처리 |
73,988 |
72,419 |
72,443 |
71,998 |
72,419 |
|
|
숏크리트 |
44,566 |
41,910 |
41,910 |
41,910 |
41,910 |
|
|
라이닝 콘크리트 |
5,755 |
5,755 |
5,755 |
5,755 |
5,755 |
|
|
배수콘크리트 |
인력타설 |
10,871 |
1,236 |
1,223 |
1,989 |
1,236 |
|
기계타설 |
14,375 |
15,842 |
14,936 |
15,842 |
15,842 |
|
|
콘크리트 생산 및 운반 |
74,813 |
71,943 |
59,756 |
74,577 |
71,943 |
|
|
콘크리트 포장 |
19,959 |
19,959 |
28,740 |
19,959 |
19,959 |
|
|
시멘트안정처리 필터층 |
7,601 |
7,601 |
10,946 |
7,601 |
7,601 |
|
|
유공관 |
D150 |
22,868 |
- |
- |
- |
- |
|
D300 |
- |
37,018 |
37,018 |
37,018 |
37,018 |
|
|
스파이럴씸덕트관 |
15,513 |
- |
- |
- |
- |
|
|
측방배수관 |
5,510 |
5,510 |
5,510 |
5,510 |
- |
|
|
횡배수관(PVC Pipe) |
872 |
926 |
906 |
1,380 |
- |
|
|
집수정 뚜껑 |
1,960 |
2,276 |
2,276 |
2,276 |
2,276 |
|
|
바닥배수판 |
- |
- |
- |
- |
9,080 |
|
|
합 계 |
298,651 |
282,395 (▼16,256) |
281,419 (▼17,232) |
285,816 (▼12,835) |
285,038 (▼13,613) |
직공비 |
☞ 검토 1안 : 91백만원(km, 양방향) 절감 (기존안 대비 5.4% 절감)
* 16,256원×1000m×4(양방향, 주․추월선)×1.4(제잡비율)=91백만원
붙 임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