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침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7-3_기존 가드레일 성능향상 방안
2024.05.13 17:02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부대공
424
7-3 기존 가드레일 성능향상 방안 도 로 처-977
(2011. 3. 10)
I 목 적
차량방호시설 안전도 기준이 강화됨에 따라 기존 가드레일의
개선을 통한 성능향상 방안을 수립코자 함.
기존가드레일을 신규가드레일로 전면교체시 3,800억원 소요
⇒ 사업비 절감방안 강구필요
II 추진경위
o 2001. 7.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 건교부』개정
☞ 안전도기준 강화(가드레일 제원규정⇒충돌시험 의무화)
o 2006. 10. : 실물차량 충돌시험 검증 가드레일(SB3등급) 개발
※ 2001.~2007. 충돌시험장 공인 및 가드레일(SB1, 5등급) 추가개발
o 2007. 11. : 무안-광주 등 4개 신설노선 검증 가드레일(SB3등급) 설치
o 2010. 7. : 인천대교 추락사고(사망자13명) 발생
■ 언론보도 내용
- 공용중인 고속도로에 설치된 가드레일의
대부분이 현행기준에 미달됨.
☞ MBC시사매거진 2580 등 다수언론
o 2010. 10. : 기존 가드레일 전면교체 지시(국회, 감사원)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부대공
425
III 현행기준 및 관리여건
□ 안전도 기준강화
o 2001.부터 실물차량 충돌시험 의무화
o 방호성능과 탑승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안전등급 제시(1~7등급)
추 천 등 급 |
SB1 |
SB2 |
SB3 |
SB4 |
SB5 |
SB6 |
SB7 |
||
기 준 충 격 도(kJ) |
60 |
90 |
130 |
160 |
230 |
420 |
600 |
||
적 용 도 로 |
․저속구간(연결로, 60km/hr미만) |
◎ |
○ |
|
|
|
|
|
|
․고속구간 (100km/hr이상) |
- 기본등급 |
|
|
◎ |
|
○ |
|
|
|
- 중앙분리대, 교량구간 및 고성토부(H≥15m이상) 등 |
|
|
|
|
◎ |
○ |
|
||
- 타 도로와 교차구간 및 특수중차량이 많은구간 |
|
|
|
|
|
◎ |
○ |
※ 국내 SB6등급이상 가드레일(노측용)은 국내 설치된 사례없음
□ 설치기준 상향
o 가드레일 보(2W→3W) 및 지주(SB3등급 간격 4→2m) 강도 상향
o 가드레일 구조(일반보형→블록아웃형) 개선으로 탑승자 보호성능 강화
구 분 구기준 현행기준
규 격 가드레일(2W), 지주간격(4m) 가드레일(3W), 지주간격(2m)
형 식 일반보형 블록아웃형
설 치 도
※ 외국 유사사례
․ 일본의 경우 1998년 실물차량 충돌시험 규정을 최초 도입
․ 구 기준에 의한 가드레일을 신형 가드레일로 전면교체
『예산 절감방안 없음, 일본 도로국 회신내용 첨부』
➪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부대공
426
□ 관리여건
o 구기준에 의거 설치된 구형 가드레일 설치연장(L=2,777km) 과다
구 분
구 기준 현행기준
2001. 이전 2001. ~ 2007. 2007.이후
설치도면
제원
지주 O형 H형 O형
보 2W-Beam 2W-Beam 3W-Beam
수 량(km) 1,532 1,245 808
☞ 기존 가드레일 실물차량 충돌시험 결과 불합격
o 단순 전면 교체시 예산(3,800억원) 과다소요
등 급 수량(km) 단가(천원/m) 금액(억원) 비고
계 2,777 3,791
SB1 713 80 571
SB3 1,890 150 2,835
SB5 174 221 385
o 운전자 과실로 인한 가드레일 추락사고(연평균 29건) 지속발생
□ 고효율화 방향
고효율 공법개발 |
|
개량계획 체계화 |
|
예산의 효율적 집행 |
- 국내최초 보강공법 ․가드레일 전면교체 ⇒ 기존가드레일 보강 |
- 위험도 큰 구간 선정 ․산발적 사업시행 ⇒ 취약부, 위험구간 추진 |
- 투자 대비 효과 극대화 ․사업비↓, 사망자↓ 가드레일 성능↑ |
↓
저비용․고효율 성능향상 방안을 통한 안전한 고속도로 구현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부대공
427
IV 성능향상 방안
□ 실물차량 충돌시험 결과
o 일 시 : 2010. 11. ~ 12. (시험기관 : 도로교통연구원)
o 등 급 : SB1, 3, 5등급(형식 : O, H형) 4종
o 시험결과 : 강도성능 및 탑승자보호 기준 합격
※ SB1, 3등급(지주 : H형)은 2011. 충돌시험 실시예정
□ 기존 가드레일 보강방안
o 일반구간 보강방안
- 기존 일반보 형식에서 블록아웃형 구조로 개선
(시공방법 : 가드레일 보 해체→보강재 등 설치→가드레일 보 재조립)
구 분 SB1(나들목) SB3(본선) SB5(고성토부)
기 존
(일반보형)
보 강
(블럭아웃형)
보강내용 블럭아웃 블록아웃, 지주보강재 블록아웃, 지주보강재
고성토부 기준 변경(성토높이 20→15m) 적용 : A종 → SB5등급 개량
o 교량 접속부 보강방안
- SB3, SB5등급 강성변화 길이 12m 설치
- 교량난간 충돌 방지를 위하여 다이크(h=0.3m, L=1.5m) 설치
구 분 SB3(본선) SB5(위험구간)
정 면 도
지주간격 2m@2개+1m@6개+0.5m@4개 1m@10개+0.5m@4개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부대공
428
V 추진계획
□ 저비용․고효율 가드레일 보강
o 기존 가드레일 성능향상 및 비용절감이 가능한 보강방안 적용
단순 전면교체 ➡ “기존 가드레일 보강“으로 공법개선
- 전면교체 대비 사업비 70%절감
(당초 3,800억원 ➡ 개선 1,200억원, 절감액 2,600억원)
□ 기존 가드레일 보강계획
o 교량 접속부(시점) 보강은 2011. 완료
o 고성토부 구간은 2012. ~ 2017.까지 보강 추진
1단계(2011.~2011.) |
➩ |
2단계(2012.~2017.) |
➩ |
3단계(2018.이후~) |
교량 전이부 시점 (SB3, 5등급) |
고성토부 구간 (H≥15.0m) |
기타 본선구간 (H<15.0m) |
☞ 노선별 순위는 AHP분석(평가항목 : 교통사고, 도로여건 등)
o 고성토부(H≥15.0m) 추진계획
구 분 |
계 |
6개년 계획 |
비고 |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
사업비(억원) |
320.4 |
50.0 |
51.6 |
50.8 |
55.0 |
55.4 |
57.6 |
|
수량(km) |
257.3 |
38.0 |
39.3 |
38.7 |
45.8 |
46.3 |
49.2 |
|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부대공
429
붙 임
노선별 우선순위 검토(AHP분석)
□ 기존 가드레일 보강계획
o 교량 접속부(시점) 보강은 2011. 완료
o 고성토부 구간은 2012. ~ 2017.까지 보강 추진
1단계(2011.~2011.) |
➩ |
2단계(2012.~2017.) |
➩ |
3단계(2018.이후~) |
교량 전이부 시점 (SB3, 5등급) |
고성토부 구간 (H≥15.0m) |
기타 본선구간 (H<15.0m) |
o 노선별 우선순위 산정
브레인 스토밍 |
➩ |
평가항목 설정 (설문조사, 가중치 설정) |
➩ |
우선순위 (AHP 계량화) |
※ 의견서 첨부
□ 평가항목 설정
|
|
|
|
다기준(AHP)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교통사고(56%) |
|
도로여건(44%)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상자 손실비용 |
|
교통사고율 |
|
교통량 |
|
지역구분 |
|
노후도 |
||||||||||
20% |
|
36% |
|
16% |
|
8% |
|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