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부대공

424

7-3 기존 가드레일 성능향상 방안 도 로 처-977

(2011. 3. 10)

I 목 적

차량방호시설 안전도 기준이 강화됨에 따라 기존 가드레일의

개선을 통한 성능향상 방안을 수립코자 함.

 기존가드레일을 신규가드레일로 전면교체시 3,800억원 소요

⇒ 사업비 절감방안 강구필요

II 추진경위

o 2001. 7.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 건교부』개정

☞ 안전도기준 강화(가드레일 제원규정⇒충돌시험 의무화)

o 2006. 10. : 실물차량 충돌시험 검증 가드레일(SB3등급) 개발

※ 2001.~2007. 충돌시험장 공인 및 가드레일(SB1, 5등급) 추가개발

o 2007. 11. : 무안-광주 등 4개 신설노선 검증 가드레일(SB3등급) 설치

o 2010. 7. : 인천대교 추락사고(사망자13명) 발생

■ 언론보도 내용

- 공용중인 고속도로에 설치된 가드레일의

대부분이 현행기준에 미달됨.

☞ MBC시사매거진 2580 등 다수언론

o 2010. 10. : 기존 가드레일 전면교체 지시(국회, 감사원)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부대공

425

III 현행기준 및 관리여건

□ 안전도 기준강화

o 2001.부터 실물차량 충돌시험 의무화

o 방호성능과 탑승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안전등급 제시(1~7등급)

 

추 천 등 급

SB1

SB2

SB3

SB4

SB5

SB6

SB7

기 준 충 격 도(kJ)

60

90

130

160

230

420

600

저속구간(연결로, 60km/hr미만)

 

 

 

 

 

고속구간

(100km/hr이상)

- 기본등급

 

 

 

 

 

- 중앙분리대, 교량구간 및

고성토부(H15m이상)

 

 

 

 

 

- 타 도로와 교차구간 및 특수중차량이 많은구간

 

 

 

 

 

 

 

※ 국내 SB6등급이상 가드레일(노측용)은 국내 설치된 사례없음

□ 설치기준 상향

o 가드레일 보(2W→3W) 및 지주(SB3등급 간격 4→2m) 강도 상향

o 가드레일 구조(일반보형→블록아웃형) 개선으로 탑승자 보호성능 강화

구 분 구기준 현행기준

규 격 가드레일(2W), 지주간격(4m) 가드레일(3W), 지주간격(2m)

형 식 일반보형 블록아웃형

설 치 도

※ 외국 유사사례

․ 일본의 경우 1998년 실물차량 충돌시험 규정을 최초 도입

․ 구 기준에 의한 가드레일을 신형 가드레일로 전면교체

『예산 절감방안 없음, 일본 도로국 회신내용 첨부』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부대공

426

□ 관리여건

o 구기준에 의거 설치된 구형 가드레일 설치연장(L=2,777km) 과다

구 분

구 기준 현행기준

2001. 이전 2001. ~ 2007. 2007.이후

설치도면

제원

지주 O형 H형 O형

보 2W-Beam 2W-Beam 3W-Beam

수 량(km) 1,532 1,245 808

☞ 기존 가드레일 실물차량 충돌시험 결과 불합격

o 단순 전면 교체시 예산(3,800억원) 과다소요

등 급 수량(km) 단가(천원/m) 금액(억원) 비고

계 2,777 3,791

SB1 713 80 571

SB3 1,890 150 2,835

SB5 174 221 385

o 운전자 과실로 인한 가드레일 추락사고(연평균 29건) 지속발생

□ 고효율화 방향

고효율 공법개발

 

개량계획 체계화

 

예산의 효율적 집행

국내최초 보강공법

가드레일 전면교체 

기존가드레일 보강

위험도 큰 구간 선정

산발적 사업시행 

취약부위험구간 추진

투자 대비 효과 극대화

사업비사망자

가드레일 성능

 

 

저비용․고효율 성능향상 방안을 통한 안전한 고속도로 구현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부대공

427

IV 성능향상 방안

□ 실물차량 충돌시험 결과

o 일 시 : 2010. 11. ~ 12. (시험기관 : 도로교통연구원)

o 등 급 : SB1, 3, 5등급(형식 : O, H형) 4종

o 시험결과 : 강도성능 및 탑승자보호 기준 합격

※ SB1, 3등급(지주 : H형)은 2011. 충돌시험 실시예정

□ 기존 가드레일 보강방안

o 일반구간 보강방안

- 기존 일반보 형식에서 블록아웃형 구조로 개선

(시공방법 : 가드레일 보 해체→보강재 등 설치→가드레일 보 재조립)

구 분 SB1(나들목) SB3(본선) SB5(고성토부)

기 존

(일반보형)

보 강

(블럭아웃형)

보강내용 블럭아웃 블록아웃, 지주보강재 블록아웃, 지주보강재

 고성토부 기준 변경(성토높이 20→15m) 적용 : A종 → SB5등급 개량

o 교량 접속부 보강방안

- SB3, SB5등급 강성변화 길이 12m 설치

- 교량난간 충돌 방지를 위하여 다이크(h=0.3m, L=1.5m) 설치

구 분 SB3(본선) SB5(위험구간)

정 면 도

지주간격 2m@2개+1m@6개+0.5m@4개 1m@10개+0.5m@4개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부대공

428

V 추진계획

□ 저비용․고효율 가드레일 보강

o 기존 가드레일 성능향상 및 비용절감이 가능한 보강방안 적용

 단순 전면교체 ➡ “기존 가드레일 보강“으로 공법개선

- 전면교체 대비 사업비 70%절감

(당초 3,800억원 ➡ 개선 1,200억원, 절감액 2,600억원)

□ 기존 가드레일 보강계획

o 교량 접속부(시점) 보강은 2011. 완료

o 고성토부 구간은 2012. ~ 2017.까지 보강 추진

 

1단계(2011.~2011.)

2단계(2012.~2017.)

3단계(2018.이후~)

교량 전이부 시점

(SB3, 5등급)

고성토부 구간

(H15.0m)

기타 본선구간

(H15.0m)

 

 

☞ 노선별 순위는 AHP분석(평가항목 : 교통사고, 도로여건 등)

o 고성토부(H≥15.0m) 추진계획

 

구 분

6개년 계획

비고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사업비(억원)

320.4

50.0

51.6

50.8

55.0

55.4

57.6

 

수량(km)

257.3

38.0

39.3

38.7

45.8

46.3

49.2

 

 

 

2011년도 설계실무자료집 - 부대공

429

붙 임

노선별 우선순위 검토(AHP분석)

□ 기존 가드레일 보강계획

o 교량 접속부(시점) 보강은 2011. 완료

o 고성토부 구간은 2012. ~ 2017.까지 보강 추진

 

1단계(2011.~2011.)

2단계(2012.~2017.)

3단계(2018.이후~)

교량 전이부 시점

(SB3, 5등급)

고성토부 구간

(H15.0m)

기타 본선구간

(H15.0m)

 

 

o 노선별 우선순위 산정

 

브레인 스토밍

평가항목 설정

(설문조사, 가중치 설정)

우선순위

(AHP 계량화)

 

 

※ 의견서 첨부

□ 평가항목 설정

 

 

 

 

 

다기준(AHP)분석

 

 

 

 

 

 

 

 

 

 

 

 

 

 

 

 

 

 

 

 

교통사고(56%)

 

도로여건(44%)

 

 

 

 

 

 

 

 

 

 

 

 

 

 

 

 

 

 

 

 

 

 

 

사상자 손실비용

 

교통사고율

 

교통량

 

지역구분

 

노후도

20%

 

36%

 

16%

 

8%

 

2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20310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2980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7641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7-3_기존 가드레일 성능향상 방안 file 효선 2024.05.13 809
121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7-4_차선제거공법 설계 적용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5.13 1169
121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7-5_하이패스차로 관련 안내시스템 개선 file 효선 2024.05.13 882
121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7-6_야간 주행안전성 향상을 위한 조명식 도로표지 설치기준 file 효선 2024.05.13 1268
121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7-7_고속도로 쉼터휴게소 설계기준(안) file 효선 2024.05.13 835
121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7-8_휴게소 안전시설 설치기준 수립 file 효선 2024.04.25 940
120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7-9_유지관리를 고려한 옹벽형 콘크리트 방음벽 확대시행 검토 file 효선 2024.04.24 854
120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7-10_가설방음벽 설치기준 개선(안) file 효선 2024.04.24 912
120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7-11_수질TMS 설치 유의사항 file 효선 2024.04.24 1088
120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8-1_건설현장 터널폐수처리시설 최종방류수 수질관리방안 file 효선 2024.04.24 955
120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8-2_예산절감을 위한 제트팬 설치간격 개선 file 효선 2024.04.24 1129
120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8-3_터널내 편경사 변화구간 배수 검토 file 효선 2024.04.24 916
120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8-4_터널용 강섬유 보강 숏크리트 강섬유 투입 설계 _기준 개선방안 file 효선 2024.04.24 1011
120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8-5_터널 등 물리탐사 측정자료 관리 및 활용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4.24 845
120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8-6_피난연결통로 지보패턴 적용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4.24 941
120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8-7_터널 갱구상단 자연환경 복원방안 file 효선 2024.04.24 938
119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8-8_터널 피난연결통로 시인성 개선 확대 시행 file 효선 2024.04.24 926
119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8-9_시공 및 유지관리 효율성 향상을 위한 터널내 배수체계 개선방안 file 효선 2024.04.24 977
119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8-10_터널구간 토질조사 개선방안 검토 file 효선 2024.04.24 1083
119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12년_9-1_운영노선 소음민원 방지를 위한 예방적 소음대책 기준' file 효선 2024.04.24 1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