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터널공 ❙ 173

터널공

43

터널공

터널내 합분류 위험도지수 적용방안 시설처-1603

(2023.05.15.)

1 목 적

 터널내 변속차로 설치*에 따른 위험도지수** 평가기준의 『터널내

합류/분류』적용 명확화

* 터널 내 차로변경 연구결과 및 적용방안(기획조정실-1540, 2012.05)

** 터널 방재시설 설치를 위한 터널등급 산정방식으로 터널의 제반 위험인자를 고려함

 터널등급에 적합한 방재시설 설치로 안전한 도로터널 환경 구축

2 현 황

 방재시설 설치기준

o 방재시설 설치를 위한 터널등급은 연장등급과 방재등급으로 구분

구 분 연장등급 방재등급 (위험도지수(X) 기준)

1등급 3,000m 이상 X > 29

2등급 1,000m 이상 29 ≥ X >19

3등급 500m 이상 19 ≥ X >14

4등급 500m 미만 14≥ X

* 도로터널 방재·환기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국토부, 2021)

** 고속도로 방재시설 설치기준(시설처-1337, 2012.04)

o 위험도지수는 사고확률, 터널 특성, 대형차량, 정체정도, 통행방식에

대하여 13가지 세부평가항목의 점수의 합으로 산정

항 목 세부평가항목 항 목 세부평가항목

사고확률 주행거리계(교통량×연장)

대형차량

대형차혼입률(%)

터널특성

입·출구 표고차 (m) 대형차 주행거리계

진입부 경사도 (%) 감시시스템

터널높이(m) 유도시스템

터널곡선반경(m)

정체정도

서비스수준

통행방식

일방통행 터널내 합류/분류

대면통행 교차로/신호등/TG 등

174 ❙ 터널공

 터널내 변속차로 추진현황

o ’12년 이후 터널과 출입시설 간 최소 이격거리를 확보하지 못한 경우

불가피하게 터널내 변속차로 적용중

터널 출구에 걸쳐 감속차로 설치

o 변속차로 현황 : 안양터널 등 11개소 건설 및 운영 중

구 분 연장(m)

연장

등급

방재방급

변속차로 비고

도공 국토부

전 체 11개소

건설중 노선 9개소

안성구리 포곡2터널 2,151 2 1 2 가·감속

안성구리 방아다리터널 3,899 1 2 2 가·감속

세종안성 오송2터널 969 3 3 3 가·감속

화도이천 서종2터널 2,647 2 2 2 가·감속

화도이천 양서터널 3,432 1 2 2 가속

화도이천 신둔터널 1,364 2 2 2 가·감속

화도이천 곤지암3터널 1,489 2 2 2 가·감속

포항영덕 남정3터널 470 4 4 4 가속

함양합천 신원1터널 3,923 1 2 2 가·감속

공용중 노선 2개소

수도권제1순환 안양터널* 390 4 4 4 가·감속

부산외곽순환 한림2터널 460 4 4 4 가속

* 안양터널은 입구부에 연결되어있는 터널형 방음시설(방음터널)내에 가속차로 운영

터널공 ❙ 175

터널공

3 적용방안 검토

 『터널내 합류/분류』에 관한 검토

o 기존 위험도지수 산정시 관련기준*에 명확한 정의 부재

- 변이구간 및 변속차로 중 일부가 터널 내부에 존재할 경우 『터널내

합류/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적용중

* 도로터널 방재·환기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국토부, 2021)

o 합류/분류부는 연결로가 고속도로 본선에 접속된 구간으로서 변이

구간부터 노즈 사이의 구간을 지칭

*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국토부,2020), 도로용량편람(국토부,2013)

 검토결과

o 터널내 변속차로 등으로 인해 변이구간 발생시 『터널내 합류/분류』에

해당하는 것이 타당 * 국토부 질의회신(’23.03.20)

o 터널등급 조정결과 : 전체 11개소 중 3개소 등급 상향

- 방재등급 상향에 따른 방재시설 보완 필요

대 상

연장

(m)

당초 변경

보완대상 시설물 비 고

도공 국토부 도공 국토부

안성

구리

포곡2 2,151 1 2 1 1 물분무소화설비* 시설처

(설비)

함양

합천

신원1 3,923 2 2 1 2 물분무소화설비

시설처

(설비)

세종

안성

오송2 969 3 3 2 2

옥내소화전, 제연설비,

연결송수관설비

시설처

(설비)

자동화재탐지설비,

진입차단설비

시설처

(전기)

정보표지판 ITS처

비상주차대** 건설처

* 물분무소화설비 대상 : 도공 연장1등급으로서 방재1등급 및 국토부 방재1등급

** 비상주차대 : 터널 오른쪽 길어깨 2m이상 확보한 경우 제외 가능

176 ❙ 터널공

4 개 선 방 안

 시공여건

o 터널공사 진행상황 : 라이닝 공사 중 2개소, 굴착공사 전 1개소

터널명 방향 연장(m)

라이닝 공정

비 고

타설(m) 공정율(3.22)

포곡2

세종 2,137 1,776 83.1%

포천 2,151 1,068 49.7%

신원1

함양 3,928 451 11.5%

합천 3,922 705 17.9%

오송2

오송 969 - -

굴착전

연기 964 - -

o 물분무소화설비 시공여건 분석 (포곡2, 신원1터널)

- 터널내 공동구 : 공동구내 주배관 시공은 가능하나, 유지관리 공간이 협소

터널 단면 비교

(물분무 적용터널 VS 포곡2터널)

공동구 단면 비교

물분무 적용터널 포곡2터널

- 터널내 물분무함 설치 평면 : 함 설치구간 1,800mm 추가 할석 필요

물분무함 설치 평면 (3,330W x 1,330H) 소화전함 설치 평면 (1,530W x 1,330H)

터널공 ❙ 177

터널공

- 터널내 물분무함 설치 단면 : 250mm이상 돌출로 검사원 통로 확보 불가

물분무함 설치 단면 (1,330H x 500D) 소화전함 설치 단면 (1,330H x 250D)

 추가 사업비

o 터널별 약 120∼140억원 증가 예상 [단위 : 백만원]

공 종 당 초 변 경 증 감 주요 변경사항

포곡2

계 26,895 39,511 12,616

설비 5,591 16,264 10,673 - 물분무소화설비 설치

건축 2,289 3,750 1,461 - 사무실 및 기계실 증가 등

전기 19,015 19,497 482 - 전기용량 증가 등

신원1

계 52,382 66,319 13,931

설비 4,686 17,436 12,750 - 물분무소화설비 설치

건축 2,517 3,029 512 - 소화수조 및 기계실 증가

전기 45,185 45,854 669 - 전기용량 증가 등

오송2

계 7,350 19,580 12,230

토목 0 3,800 3,800 - 관리소부지, 터널단면 증가 등

설비 850 3,525 2,675 - 옥내소화전, 제연설비 등

건축 0 1,555 1,555 - 관리소(440㎡) 설치

전기 6,500 10,700 4,200 - 자탐설비, 진입차단막 등

 교통량

o 포곡2터널은 10만대로 교통량이 많은 반면, 나머지 터널은 2만대 수준

터널명 노선 연장(m) 교통량(AADT) 서비스수준 비고

포곡2 안성구리 2,151 104,277 D

신원1 함양합천 3,923 21,486 B

오송2 세종안성 969 21,529 A 오송지선

178 ❙ 터널공

 검토결과

o (포곡2터널) 안성∼구리구간은 왕복6차로의 많은 교통량(10만대/일, 서비스

수준 “D”)으로 정체가 예상되며, 화재발생시 대형피해가 우려됨.

시공여건이 다소 불리하고 추후 유지관리의 어려움이 예상되나, 국토부

기준 방재1등급 터널로 물분무소화설비는 관련법령* 및 지침에 따라

설치하는 것이 타당

*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16조

o (신원1터널) 함양∼합천구간은 적은 교통량(2만대/일, 서비스수준 “B”)이며,

국토부 방재2등급 터널이나 우리공사 기준 방재1등급 터널로서 설계

심의 결과에 따라 물분무소화설비 설치유무 판단

o (오송2터널) 세종∼안성구간의 오송지선은 적은 교통량(2만대/일, 서비스

수준 “A”)이나 굴착공사 전으로 시공여건이 양호하고, 국토부 기준 방재

2등급 터널로 관련법령 및 지침에 따라 방재시설을 구축하는 것이 타당

4 향후 추진계획

 터널 방재시설 재설계 및 총사업비 조정

o 공종별(토목,건축,설비,전기) 방재시설 관련 재설계 [시설처 및 건설사업단]

* 필요시 조달청 단가적정성 검토 요청

o 신원1터널 설계심의 시행

- 물분무소화설비 설치 타당성 검토 및 설치유무 판단

o 포곡2터널 및 오송2터널 총사업비 조정 협의 [기획처, 시설처]

* 재설계 관련 예산 사전배정

** 신원1터널은 설계심의 결과에 따라 총사업비 조정

 기타사항

o 향후 터널인근 출입시설 설치로 인한 터널내 합류/분류 설계시

시설처 사전 협의 필수 [설계처]

o 기술형입찰(턴키, 기술제안 등) 입찰안내서에 해당문구 반영 [시설처]

터널공 ❙ 179

터널공

붙 임 자 료

붙임 1 터널 등급별 방재시설 설치기준

붙임 2 위험도지수 평가기준

붙임 3 터널별 방재등급 조정결과(별첨)

붙임 4 국토부 질의답변(별첨)

붙임 5 물분무소화설비 현황(별첨)

180 ❙ 터널공

붙임 1 터널 등급별 방재시설 설치기준

터널등급

방재시설

한국도로공사(2012) 국토교통부(2021)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소화

설비

소화기구 ● ● ● ● ● ● ● ●

옥내소화전설비 ●◯ ●◯ ●◯ ●◯

물분무설비 ◯ ◯

경보

설비

비상경보설비 ● ● ● ● ● ●

자동화재탐지설비 ● ● ● ●

비상방송설비 ● ● ● ◯ ◯ ◯

긴급전화 ● ● ● ◯ ◯ ◯

CCTV ● ● ● ● ◯ ◯ ◯ △

자동사고감지설비 △ △ △ △ △ △ △

재방송설비 ● ● ● △ ◯ ◯ ◯ △

정보표지판 ●◯ ●◯ ◯ ◯

진입차단설비 ●◯ ●◯ ◯ ◯

피난

대피

설비

비상조명등 ● ● ● △ ● ● ● △

유도등 ● ● ● ◯ ◯ ◯ ◯

대피

시설

피난연결통로 ● ● ● ● ● ● ●

피난대피터널 ◯ △ ● △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터널

◯ △ △ ● ● ●

비상주차대 ●◯ ●◯ ◯ ◯

소화

활동

설비

제연설비 ●◯ ●◯ ◎ ◎ ◯ ◯ ◎ ◎

무선통신보조설비 ● ● ● △ ● ● ● △

연결송수관설비 ●◯ ●◯ ●◯ ●◯

(비상)콘센트설비 ● ● ● ● ● ●

비상

전원

설비

무정전전원설비 ● ● ● △ ● ● ● △

비상발전설비 ● ● ● ●◯ ●◯ △

비고

● 기본시설 : 연장기준등급에 의함

◯ 기본시설 : 위험도지수기준등급에 의함

△ 권장시설 : 설치의 필요성 검토에 의함

◎ 보강설비 : 운영중 연장3등급 및 연장4등급 중 250m 초과하고 대피시설이 미흡한 터널

터널공 ❙ 181

터널공

붙임 2 위험도지수 평가기준

□ 도공 및 국토부 평가기준

세부평가항목 범위 한국도로공사 국토교통부

사고

확률

주행거리계

(교통량×연장)

(Veh․km/tube․day)

8,000 미만 1.5 1.5

8,000 이상~16,000 미만 2.5 2.5

16,000 이상~32,000 미만 5.0 5.0

32,000 이상~64,000 미만 7.5 7.5

64,000 이상~128,000 미만 10.0 10.0

128,000 이상~256,000 미만 12.5 10.0

256,000 이상 15.0 10.0

터널

특성

표고차

경사도

입·출구

표고차(m)

10 미만 0.5 0.5

10 이상~20 미만 1.0 1.0

20 이상~30 미만 1.5 1.5

30 이상~40 미만 2.0 2.0

40 이상~50 미만 2.5 2.0

50 이상 3.0 2.0

진입부

경사도(%)

3.0 미만 0.5 0.5

3.0 이상 1.0 1.0

터널높이(m)

7.5 이상 1.0 1.0

5.0 이상~7.5 미만 2.0 2.0

5.0 미만 3.0 3.0

터널곡선반경(m)

1,800m 이상 0.5 0.5

1,800m 미만 1.0 1.0

대형

차량

위험물

수송

관련

대형차

혼입률

(%)

10 미만 0.5 0.5

10 이상~17.5 미만 1.0 1.0

17.5 이상~25 미만 1.5 1.5

25 이상~32.5 미만 2.0 2.0

32.5 이상~40 미만 2.5 2.0

40 이상~47.5 미만 3.0 2.0

47.5 이상~55 미만 3.5 2.0

55 이상 4.0 2.0

대형차

주행거리계

(대·km/tube·day)

500 미만 0.5 0.5

500 이상~1,000 미만 1 1

1,000 이상~2,500 미만 2 2

2,500 이상~5,000 미만 4 4

5,000 이상~7,500 미만 6 6

7,500 이상~10,000 미만 8 6

10,000 이상 10 6

감시시스템

있음 0 0

없음 1 1

유도시스템

있음 0 0

없음 1 1

182 ❙ 터널공

세부평가항목 범위 한국도로공사 국토교통부

정체

정도

서비스 수준

LOS A ~ LOS C 1 1

LOS D 2 2

LOS E ~ LOS F 3 3

대면통행 3 3

터널 내 합류/분류

없음 0 0

있음 2 2

교차로/신호등/TG 등

없음 0 0

있음 2 2

통행

방식

구분

시설

- -

길어깨 중분대

일방통행

○ - 1 1

× - 2 2

대면통행

○ ○ 3 5

× ○ 4 6

○ × 5 5

× × 6 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한국도로공사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8707
공지 한국도로공사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1508
공지 한국도로공사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16157
183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00_표지 및 목차 file 효선 2025.03.20 68
183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1_고속도로 건설 관련 부담금 공사부서 인계 방안 file 효선 2025.03.20 30
183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2_하이패스 나들목 설계업무 프로세스 file 효선 2025.03.19 34
183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3_안전관리비 현실화를 위한 설계원가 개선 file 효선 2025.03.19 35
183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4_현장중심의 특정공법 내실화 방안 마련 file 효선 2025.03.19 24
183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5_안전관리비 설계업무 가이드 마련 및 계상기준 보완 효선 2025.03.19 37
182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5_안전관리비 설계업무 가이드 마련 및 계상기준 보완 file 효선 2025.03.19 27
1828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6_드론 통합측량 확대방안 file 효선 2025.03.19 55
182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1-7_건설현장 환경보전비 운영개선(안) file 효선 2025.03.19 25
182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2-1_PSC거더 및 바닥판 연결부 개선방안 file 효선 2025.03.19 35
1825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2-2_이동식 크레인 안전성 향상방안 file 효선 2025.03.19 40
1824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2-3_GFRP 보강근을 활용한 교량 난간 방호벽 적용방안 file 효선 2025.03.19 27
1823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2-4_케이블교량 정착부 내구성 향상 방안 file 효선 2025.03.19 198
1822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2-5_교량용 난간방호벽 스트럽 상세 개선 file 효선 2025.03.19 27
1821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3-1_주행안전성, 쾌적성 향상 위한 배수성 포장 활성화 방안 file 효선 2025.03.19 27
1820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4-1_고속도로 터널 여굴 및 채움재 산출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3.19 29
1819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4-2_터널 폐수처리시설 및 수질 TMS 계상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3.17 36
»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4-3_터널내 합분류 위험도지수 적용방안 file 효선 2025.03.17 26
1817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5-1_휴게시설 부지면적 산출기준 개선 file 효선 2025.03.17 31
1816 한국도로공사_설계실무자료집_2024년_5-2_터널형 방음시설 설계표준(안) file 효선 2025.03.17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