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부록 1

도로비탈면 파종 녹화용 주요 재료

 

부 록 1

- 66 -

1. 녹화용 식물의 일반적 특징

○ 비탈면에서 녹화식생들은 비탈면 안정과 침식조절 및 경관미의 복원

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비탈

면의 토양은 척박하기 때문에 녹화용 식생은 무엇보다도 척박지에서

견디는 수종이어야 하고, 조기녹화를 이룰 수 있어야만 한다.

① 초장이 너무 길지 않으며, 지표면을 빠르게 피복하면서 다년생이어야 한다.

② 종자의 대량 구입이 용이하고, 가격이 적당하여야 한다.

③ 종자파종적기의 폭이 넓어야 하고, 종자의 발아력이 우수하여야 한다.

④ 생육이 왕성하면서 근이 깊게 도달되고 토양과의 고착성이 좋아야 한다.

⑤ 열악한 토양에 견디는 힘이 강해야 한다.

(내건성, 내한성, 내산성, 내염성, 내침식성, 내척성 등).

⑥ 기초식재용(사료용), 비료용, 장기녹화용등 사용특성이 명확하여야 한다.

⑦ 가급적 향토종이어서 주변경관과의 조화를 쉽게 이룰 수 있어야 한다.

(1) 초본류

1) 비탈면녹화공사에 주로 이용되는 식물들은 외래초종(양잔디류)과 재래

초종, 재래목본, 야생화류 등이다. 이들 중 외래초종(양잔디류)은 생육

적온이 15~25℃인 한지형초종(cool-season turfgrass)과 생육적온이

25~35℃인 난지형초종(warm-season turfgrass)으로 구분된다. 한지

형초종들은 외래초종(양잔디류)이 대부분인데 우리나라의 기후에 대

한 적응성이 대체로 떨어져서 여러 가지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2) 외래초종(양잔디류) 중에서 비탈면 녹화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톨페스큐(tall fescue)이다. 톨페스큐(tall fescue)는 우리나라의 환경

에서 양호한 생육을 하는 내구성과 내 건조성이 강한 잔디로서 비교

적 피복율은 낮은 편이지만 어느 종류의 토양에서도 잘 견디며, 특히

내열성과 내 건조성이 한지형초종 중에서 가장 강하다. 그러나 엽 폭

이 너무 넓어서(5~10mm) 거친 느낌을 주어 경관미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으나 여러 종류의 개선된 품종이 현재 개발되어 유통되고

부 록 1

- 67 -

있다.

3) 톨페스큐(tall fescue) 보다 초기생육속도가 빠른 퍼레니얼라이그라

스(perennial ryegrass)도 비탈면 녹화공사에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여름철에 하고(夏枯) 현상이 심하여 황변하고, 파종당년에 상당수가

도태되는 경우가 많아서 의도적으로 1차식생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켄터기블루그라스(kentucky bluegrass)는 초기조성속도가 양잔디류

중에서는 느린 편이기 때문에 비탈면녹화에는 잘 사용되지 못하고 있

으나 일단 조성이 되면 비탈면 안정에 가장 효과적이다.

4) 크리핑레드페스큐(creeping redfescue)는 세엽이어서 부드러운 질감

을 나타내며, 조성 초기에는 위핑러브그라스와 유사하게 보인다. 초기

조성속도도 어느 정도 빠르며, 초장이 길면서 많은 분얼을 하는 톨페

스큐와 페레니얼라이그라스와 비교해 볼 때 시각적인 면에서 덜 거부

감을 주고 있다. 현재 북사면에서는 주 녹화용 초종으로 이용되고 있

는데 이 초종만 단파하면 역시 보기에 좋지 않다.

5) 난지형초종인 위핑러브그라스(weeping lovegrass)는 여름철에 왕성한

생육을 하고, 이 초종을 많이 파종하면 겨울철에 은빛 색을 띄면서 드

문드문 늘어진 모습을 보여 강한 거부감을 주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초겨울부터 이듬해 4월말 까지 지속되므로 이 초종의 과다 사용은 문

제가 되고 있다.

부 록 1

- 68 -

<표 1>비탈면녹화용 주요 초종

구 분 분 류 종 류

한지형

잔디

페스큐(Fescue)

▹광엽페스큐 - turf type tall fescue (개량종)

▹세엽 페스큐 - creeping redfescue

라이그라스(Ryegrass) ▹perennial ryegrass

블루그라스(Bluegrass)

▹kentucky bluegrass

▹annual bluegrass

오챠드그라스(Orchard grass) ▹orchard grass

난지형

잔디

한국잔디류(Zoysiagrass)

▹zoysia japonica (들잔디)

▹zoysia matrella (금잔디, 고려지)

▹zoysia tenuifolia (비로드잔디)

버뮤다그라스(Bermudagrass)

▹common burmudagrass (커먼버뮤다그라스 )

▹burmudagrass hybrid (개량버뮤다그라스)

6) 이상의 초종들을 종합해 볼 때 퍼레니얼라이그라스(perennial ryegrass)

계통의 식물들은 파종 후 1주일 이내에 95%이상의 피복율을 보이는 초

기조성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으나, 여름철 이후에는 세력이 급격히 약화

되면서 일부가 도태되는 성질이 있으므로 그 도태된 자리를 초기 조성

속도가 느린 우리나라 자생초종과 목본식물이 채울 수 있도록 배합설계

에 이용이 가능하다.

부 록 1

- 69 -

<표 2>비탈면녹화용 재래초종 및 야생화류의 사용상 특성

식물

분류

특 성 녹화 공사시 사용상 특성

1. 다년초, 비옥토에서 잘 자람

2. 지하경으로 번식하여 군집을 형성

1. 제초의 문제가 없는 곳에 사용가능함

2. 외래도입종과 동일한 피복속도를 가짐

3. 경관조성 필요성이 약한 곳이 적지임

4. 파종시기의 영향을 많이 받음

(안고초)

1. 척박토양에서 생육가능

2. 암이 많은 토양에서 자생적으로 생육

하는 최초 초종임

3. 외관이 조금 거침

4. 새류로써 억새, 참억새, 갈대, 솔새,

기름새 외에 수크령, 띠 등이 있으며

종자구입이 가능한 종을 구입하여

파종하면 주위경관과 조화되어 보기

좋은 비탈면 경관을 연출함.

1. 우리나라 토질과 기후에 가장 적응된 초종으로

장기적인 경사지 토양보전의 기본 초종임

2. 발아가 늦고 초기생육이 느리므로 양잔디류와

혼파하여 사용.

3. 양잔디와의 비율조정에 따라 고사할 수도 있으므로

양의 조정이 필요함

4. 종자의 발아율이 대체로 낮고 채종이 어려워 종자

획득이 곤란함

5. 파종시기의 영향을 많이 받음

비수리

1. 관목형 초본(두과)

2. 참싸리보다 키가 낮고 발아력이 좋음

1. 참싸리 대용 또는 일부 대체가능한 초종임

2. 발아가 빠름

3. 쑥과의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초종임

달맞이

1. 제방이나 길가, 빈터에서 자생함

2. 산야지에서도 생육이 가능

1. 발아율이 양호

2. 건조에도 강하여 노출된 절개지에서 양호한 생육을

3. 외래초종과 혼용시 초기조성속도가 느려 피압 될

우려가 높음

관상식물

(참나리,

원추리

등)

1. 내건성이 우수함

2. 꽃이 피기 때문에 관상적 가치가 높음

1. 종자파종이 가능함

2. 종자발아전처리를 필요로 함

3. 인공종자를 만들 수 있음

4. 단조로운 비탈면에 강한 시각적 효과를 연출시킴

야생화류

1. 꽃과 열매

2. 다양한 색채연출 효과

3. 기생초, 감국, 쑥부쟁이, 금계국,

끈끈이대나물, 수레국화, 벌노랑이,

벌개미취, 말타리, 도라지, 루드베키아,

구절초, 코스모스 등 국내 자생 및

도입야생화류는 비탈면의 경관효과를

연출하는데 효과적임

1. 국내산은 수급이 어려움. 중국산은 산지에 따라

국내산과 동일하게 취급

2. 외래종은 번식이 잘됨으로 파종량은 생태적인

면에서 절제가 요구됨

3. 자생종을 중심으로 하고, 외래종은 과다파종하지

않도록 조절이 필요함

부 록 1

- 70 -

7) 우리나라 향토 초본류는 이차식생의 조성 및 경관미의 조속한 회복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데 대체로 발아율이 높고 내건조성이 강한 것으

로는 쑥과 새(안고초), 비수리, 달맞이꽃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뿌리의 생육이 왕성하여 뿌리전단력이 높은 초본은 쑥과 비수리이고,

새는 암석비탈면에 많이 자생하는 토착미가 있고, 경관미가 좋은 자

생초종이다. 특히 새는 싸리와 더불어 늦가을부터 이듬해 5월까지 비

탈면의 주변경관과의 조화에 매우 효과적으로 긍정적인 면이 있다.

그러나 파종시기의 제약을 많이 받는 단점이 있다.

8) 비수리는 참싸리의 대용식물로 활용 가능하고 쑥과의 경쟁에서는 긴

초장으로 인해 유리하고 새(안고초) 보다 파종시기의 범위가 넓은 것

이 특징이다. 달맞이는 일찍 녹색을 유지하며 꽃이 피는 선구식물로

써 종자파종이 수월한 장점이 있으나 파종시기의 제약을 많이 받으

며 가을철에 망초류 처럼 긴 대가 올라옴으로써 보기 싫어질 우려가

있다. 목본류와 혼파하면 이런 문제점이 극복될 수 있다.

9) 이 외에도 야생화의 사용을 긍정적으로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현재

는 수입종이 대부분이나 이를 국내산으로 대체할 연구가 필요하며,

참나리와 원추리 등은 종자파종이 가능한 식물로써 앞으로 연구해

볼 가치가 높다.

(2) 목본류

1) 자연적으로나 인위적으로 삼림이 파괴된 후에 자연적인 식생천이에

의해 안정된 극성상 산림으로 복구되는데 수천년이 걸린다. 일반적인

황무지의 식생천이 과정은 일년생초본류→이년생초본류→다년생초본

류→관목류→개척양수→중성양수→극성상음수로 나타난다.

2) 비탈면에 목본류를 도입하는 것은 비탈면 안정, 영구적 자연조경미의

제공, 주위 산림생태계의 보호개념이다. 초본류와 목본류의 뿌리가

서로 엉겨 붙어서 토양을 안정시키며, 암반 절취면에서 자라는 수목

류는 “운전자에게 저 비탈면은 안정한 상태이다”라는 심리적 안정감

부 록 1

- 71 -

을 주며, 생태계로 복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최대한 줄이는 효과가

있다.

3) 특히 각종 병충해의 천적생물의 먹이를 제공하는 밀원식물의 식재는

우리나라에서 중요하다. 우리나라 밀원식물의 개화기를 볼 때 봄철에

서 초여름 까지는 여러 가지 화목류와 과수목, 아카시나무, 감나무,

밤나무, 오동나무, 싸리류로서 비교적 밀원식물이 풍부하지만, 7, 8

월 장마기간은 밀원이 부족한 수밀기이고, 9, 10 월경은 싸리류와 몇

몇 야생식물들이 밀원을 공급한다. 7, 8 월에 개화하는 수종으로는

피나무, 쉬나무, 층층나무, 두릅나무, 산초나무, 초피나무 등이 있다.

4) 따라서, 조경적 가치가 있으며, 기존 황폐지의 절개면에 자라고 있는

수목류 중에서 선발하여 종 다양성을 갖춘 식물배합으로 시공하여야

만 한다. 단일수종으로 비탈면을 녹화시키면 그 종의 천적, 즉 병충

해나 다른 잡초의 침입이 용이할 것으로 예상된다. 종 다양성이 낮은

생태계에서는 병충해 또는 그 잡초의 다른 천적이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부 록 1

- 72 -

<표 3> 비탈면 녹화공사에 사용 가능한 주요 목본류의 종류와 특성

식물분류 식 물 특 성 녹화공사시 사용상 특성

개옻나무

1. 낙엽활엽교목

2. 가을단풍이 아름다움

1. 산야에서 자라는 수종으로 붉나무와 유사

2. 가을종자 채취후 종피의 납성분을 제거하고

노천매장후에 파종함

3. 토양이 좋아야 함

담쟁이

1. 종자파종, 줄기파종

2. 점토함량이 낮은 척박한

토양에서 생장률이 낮음

1. 다른 수종과 지상부 생육공간에 대하여 최소

의 생육경쟁을 함

2. 파종당년에 길이 1.5m 너비 80㎝까지 자람

두릅나무

1. 척박한 양지에서 생육

2. 근맹아가 많이 나옴

3. 큰화서의 흰꽃, 자주색열매

1. 종자번식은 가능하나 발아율이 낮다. 근삽,

분주에 의하여 증식이 용이하다.

2. 뿌리생장속도가 빠르며, 암반 절취면에서의

활착력이 높다.

리기다소나무

, 오리나무,

조팝나무

척박지에서 생육이 비교적 강한 목본류

특수지역에 사용가능하나 종자획득이 곤란하고 고가이

어서 실용화단계는 아니다.

병꽃나무

1. 낙엽 활엽 관목

2. 환경 녹화면에서의 특징은 개나리와

비슷함

1. 도시조경에 이용할 수 있음.

2. 종자가 작고 채취하기가 어려우므로 주의해야함.

3. 비탈녹화용이나 각종 훼손지 녹화용 목본으로

이용가치가 높음

산초나무

1. 낙엽관목, 내한성이 강함

2. 여름철 흰꽃, 검은 열매

3. 열매는 야생조류의 먹이

1. 건조한 암석지에서 잘 견디는 내건성수종

2. 1월에 노천매장후 봄에 파종

소나무

1. 자연암반절개지에서 출현

하는 빈도가 가장 높음

2. 조경적 가치는 월등

3. 초기생장이 느림

1. 천연하종갱신이 잘 일어남

2. 소나무순림지역이 아니면 인위적인 파종을 요

구함(출현시기를 5-20년 단축시킴)

3. 기건저장한 종자 1개월 노천 매장후 파종

쉬나무

1. 종실유로 심어진 수종

2. 바닷가 절벽에서 잘 자람

3. 여름밀원식물, 생태계 보호수종임

1. 녹백색 꽃과 가을철 붉은색 열매송이

2. 건조한 입지에서는 내건성이 아주 강하지는

못하여 고사하지만 죽은 묘목 뿌리의 결속력

을 이용하여 토양을 안정시킬 수 있음

쪽동백

나무

1. 식생천이 후기의 극성상수종

2. 내음성 수종

3. 잎이 넓고 수피가 매끈

1. 사방시공지 식생천이 단계에서 참나무 다음임

2. 내건성이 비교적 강한 직근성 수종

3. 습기가 많고 토심이 깊은 입지에 적합

참나무류

1. 직근성, 내음성, 내건성

2. 식생천이 단계중 천연적

으로 나타나는 수종임

1. 토심이 깊은 곳에서 자라나 암반틈새에서는

관목형으로 자람

2. 직근성 뿌리를 암반틈새로 박으면 내건성이

매우 강함

3. 종자파종, 상당히 좋은 비옥토양이어야 함

층층나무

1. 낙엽교목

2. 내한성은 강하나 내건성이 약.

1. 내음성수종으로 습윤한 토양을 선호

2. 초기생장이 빠르고 가는 뿌리가 많다.

3. 북동편 사면의 토심이 깊은 곳이 유리

참싸리

1. 두과의 관목류임

2. 뿌리가 길게 뻗어 토양보전 능력이

높음

3. 키가 1m정도 자람

1. 척박지에서 생육이 가능하고 암이 많은 지역

에서도 생육이 가능

2. 초본과 혼용하여 자연상태의 경관으로 조기에

회복시키는데 이용됨

3. 밀원식물이고 향기가 남

4. 발아율이 낮으므로 박피 등의 종자처리를 하

여 발아력을 높여야 함

쪽제비싸리

1. 두과의 관목류임

2. 참싸리와 유사하나 수분이 많은

곳에서 생육이 왕성함

부 록 1

- 73 -

2 식생기반재(토양) 분석의 기초이론

(1) 식생기반재의 물리성

1) 토성

토양은 세토, 자갈, 뿌리 등이 있는 고체와 이 사이의 물과 공기로

구성되며 이것을 토양의 3상(相)이라 한다. 고상은 표토체적의 40%

를 차지하며, 형태와 크기가 다른 무기물 또는 유기물의 혼합체이다.

고상 중에서 광물입자의 직경분포에 따른 토양의 분류를 토성이라

하는데 토양학에서는 입경 2mm이상의 입자를 자갈, 2mm이하는 세

토로 구분한다. 세토는 다시 구성광물의 입경에 의하여 모래(粗砂,

細砂), 미사, 점토로 나뉜다.

2) 토양의 밀도

자연 상태의 토양의 밀도는 일정 용적의 건조토양의 무게를 부피로

나눈 값으로서 무기질 입자 및 부식 외에 토양수분의 무게를 합한

다.

3) 토양공극

토양에서 고체입자를 제외한 부분으로서 공기와 물이 채워져 있는

곳을 공극(孔隙: pore volume)이라 한다. 공기와 물의 구성비는 항

상 변하여 건조토양 내에서는 공기가 대부분이고 습한 토양에서는

물이 많다. 거친 입자의 토양은 공극이 크나 점토가 많은 토양보다

총 공극량이 적은데, 점토는 모래보다 공극량이 많아 가밀도가 낮으

므로 단위부피당 무게도 가볍기 때문이다.

4) 토양공기

표토의 약 50%가 토양공극으로서 일정하므로 토양공기는 토양수에

의하여 좌우된다. 통기성이 좋은 토양이란 토양 내 빈 곳이 많다는

뜻이 아니라 gas의 출입이 자유롭다는 것이다. 토양공기는 호기성 미

생물에게 산소원으로써 가장 중요하며, 특히 뿌리의 호흡에도 큰 역

할을 한다. 토양공기의 구성은 통기성이 좋은 토양이라도 항상 변하

부 록 1

- 74 -

는데 산소는 식물의 뿌리와 토양미생물에 이용되고 CO2는 토양유기

물의 분해와 뿌리호흡으로 증가한다.

5) 토양온도

토양온도는 위도와 고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며 대기온도와는 달리 급

격히 증가 또는 감소하지 않는다. 또한 광선을 받는 경사각이 수직에

가까울수록 단위면적당 수열량이 증가한다. 토양온도는 방위에 따라

달라져 남서향이 북동사면보다 높다.

6) 식생기반재의 경도

토양의 경도(hardness)란 외력에 대한 토양의 저항력을 말하며, 이것

은 토립사이의 응집력과 입자간의 마찰력에 의하여 생기는 것으로서

입경조성․공극량․용적비․토양수분 등이 종합되어 나타나는 현상

이다. 이것은 토층의 투수성․식물뿌리의 신장 및 생육에 영향을 주

는 중요한 성질의 하나이다.

경도는 토양의 퇴적양식, 임목의 생육조건의 양부를 판정하는 역할과

생물의 생육환경을 판단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녹화토양의 경우 뿜

어붙이기한 식생기반재가 적절한 토양경도를 나타내어야 재래 목본

및 초본 종자가 발아하고 생육하고 주변식생의 자연 침입에 의한 생

태복원이 가능해진다.

(2) 식생기반재의 화학성

식생기반재의 화학성은 일반적으로 물리성보다 식물생장에 미치는 영향

은 작으나 최근 들어 주요 관심이 되고 있다. 토양의 화학성은 식물생장

과 유기적 관계가 있는 물리, 생물적 토양조건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춥고 습한 유기질 토양에서 임목생장이 빈약한 이유는 토양 내 양료 부

족 때문이 아니라 양료 순환이 느려서 이용도가 낮고 뿌리의 발달이 제

한되어 있기 때문이며 또한 풍화가 심한 토양이나 사토, 알칼리성 토양

에서 식물생장이 느린 것은 화학적 요인 때문이다.

부 록 1

- 75 -

1) 산도(pH)

토양의 pH는 계절에 따라 약간 변하여 겨울이 높고 여름이 낮으나

그 차는 1.0미만이다. 산림토양의 pH는 보통 4.0~6.0으로 산성이다.

토양산도는 미생물 활동과 양료 이용에 간접적으로 관여한다. 붕소,

구리, 망간, 철과 같은 미량원소는 pH가 낮을 때 이용도가 높으며,

pH가 급격히 높아지면 이용도가 감소한다.

2) 전기전도도

전기전도도(dS/m ; deci Siemens)는 단면적 1cm2인 전극이 1cm 떨

어져 있을 때 전극간의 전기저항의 역수를 말한다.

전기는 이온의 이동에 의해서 통하게 되는데 보통 +에서 -로 흐른

다. 토양중의 용액에 전기가 흐르면 물은 H와 OH로 분리되며, 소금

의 경우 Na와 Cl로 분리가 된다. 이와 같이 토양 내부에서 물이 분

해되고 염기가 분해되어 식물의 영양분으로 흡수가 되게 한다.

3) 염기치환용량

염기치환용량(CEC ; cation exchange capacity)은 양이온치환용량이

라고도 하며, 일정량의 토양이 보유하고 있는 치환성 이온의 총량을

당량으로 표시한 것이다. 즉 토양 100g 속에 있는 음전하의 수와 같

으며 mg당량(mille equivalent ; me)으로 표시한다. 1mg당량은 원자

량을 원자가로 나눈 값이다. Ca, Mg, K, Na를 말하며, 이것은 토양

내에서 흡수되어 식물의 양분역할을 해 준다.

4) 전질소량

전질소량(T-N)은 토양내의 질소는 낙엽의 분해와 축적이 계속되면

서 평형상태에 이르며, 기후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질소는 단백질원

으로 엽록소를 만들기 때문에 질소가 공급되면 식물생장이 촉진되고

녹색이 짙어진다.

5) 염분농도

염분의 측정은 초기에 채수병에 바닷물을 담아와서 실험실에서 분석

하는 Knudsen 적정법에 의한 염소이온농도 측정 방법으로 구하였으

부 록 1

- 76 -

나, 최근에는 바닷물 속에 녹아 있는 이온 양에 비례하는 전기전도도

의 성질을 이용한 CTD를 활용하여 현장에서 직접 수심에 따른 염분

도를 관측할 수 있게 되었다. 토양의 염분농도가 높으면 식물의 물

이동통로를 막아 식물이 고사할 수 있다.

부 록 2

- 77 -

부록 2

비탈면녹화용 식물도감

 

부 록 2

- 79 -

목 차

초본

구절초 ····················································································································· 81

도라지 ····················································································································· 82

끈끈이대나물 ··········································································································· 83

달맞이꽃 ·················································································································· 84

비수리 ····················································································································· 85

벌노랑이 ·················································································································· 86

산국 ························································································································· 87

샤스타데이지 ··········································································································· 88

수레국화 ·················································································································· 89

쑥 ····························································································································· 90

쑥부쟁이 ·················································································································· 91

새(안고초) ··············································································································· 92

자주개자리(알파파) ································································································· 93

참억새 ····················································································································· 94

춘차국(기생초) ········································································································ 95

큰금계국 ·················································································································· 96

목본

낭아초 ····················································································································· 97

병꽃나무 ·················································································································· 98

붉나무(오배자나무) ································································································· 99

싸리 ······················································································································· 100

소나무(적송) ·········································································································· 101

쉬땅나무(개쉬땅나무) ··························································································· 102

자귀나무 ················································································································ 103

족제비싸리 ············································································································ 104

참싸리 ···················································································································· 105

부 록 2

- 80 -

외래초종(양잔디류)

켄터키블루그라스(왕포아풀, kentucky bluegrass) ·········································· 106

크리핑레드페스큐(왕김의털, creeping red fescue) ·········································· 107

톨페스큐(큰김의털, tall fescue) ········································································· 108

퍼레니얼라이그라스(호밀풀, perennial ryegrass) ············································ 109

부 록 2

- 81 -

구절초

학명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ra

과명 국화과

자생지

한국ㆍ일본ㆍ중국

ㆍ시베리아의 산기

슭 풀밭

성상분류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생육적

특 징

화 색 홍색, 흰색 개화기간 7~9월

지상부

여러해살이풀로서 전체에 털이 있거나 없으며 줄기는 곧게 나

고, 단일하거나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잎과 밑동잎은 2회 깃털

모양으로 깊게 갈라진다.

내 성 내염성이 약하다.

종자의

특성 및 모양

11월에 열매가 성숙되며, 수과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2mm 정도

로서 5개의 줄이 있다. 립수(g당) : 1,900립

사용경험

기 록

국화과의 대표적 한국 야생화로 뿌리가 깊고 생명력이 강해 비탈

면 녹화, 도로화단 등에 적합하며 관상용, 약용으로 쓰인다.

일반적 특징

높이가 50cm 내외에 달하는 다년초로서 지하경이 옆으로 길게

벋으면서 번식하고 잎이 난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 절저 또는

심장저에 가까우며 윗부분의 것은 예저로도 되고 가장자리가 1

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측열편은 흔히 4개로서 장타원형이며

둔두이고 가장자리가 다소 갈라지거나 톱니가 있다. 두화는 보

다 크며 지름이 8cm에 달한다. 높은 지대의 능선에서 군락을

형성하여 자라지만 들에서도 흔히 자라고 꽃은 보통 백색이지

만 붉은빛이 도는 것도 있다.

부 록 2

- 82 -

도라지

학명 Platycodon grandiflorum A. DC.

과명 초롱꽃과

자생지 한국ㆍ일본ㆍ중국 성상분류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생육적

특 징

화 색 하늘색, 백색 개화기간 7~8월

지상부

다년생풀로 높이 1m 정도. 전체에 털이 없고 뿌리는 비대하며

줄기는 1개 나거나 모여 나며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거나 돌

려나며, 거의 잎자루가 없고 긴 알 모양 또는 타원 모양이다.

내 성

내한성 내건성이 강하며 생육적온은 20∼28℃ 범위로 개화

는 1∼5℃에 3주간 포기 저온처리가 필요하다.

종자의

특성 및 모양

삭과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고 위 끝은 5갈래로 벌어진

다. 립수(g당) : 1700립

사용경험

기 록

주로 식용이며, 꽃은 절화용으로 이용된다.

일반적 특징

다년초로 높이 40~100cm이고 뿌리가 굵으며 원줄기를 자르

면 흰 유액이 나온다. 잎은 윤생, 대생 또는 호생하고 장란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넓은 예저 또

는 원저이다. 표면은 녹색, 뒷면은 회청색이고 가장자리에 예

리한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하늘색 또는 백색이며

원줄기 끝에 1개 또는 여러 개가 위를 향해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꽃받침잎은 3각상 피침형이며 꽃부리는 끝이

퍼진 종모양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삭과는 도란형이고 꽃

받침잎이 달려 있으며 포간으로 갈라진다.

부 록 2

- 83 -

끈끈이대나물

학명 Silene armeria Linne

과명 석죽과

자생지 유럽 원산 성상분류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생육적

특 징

화 색 붉은색 개화기간 6~8월

지상부

1년초 또는 월년초이고. 키는 50cm. 전체가 분을 뒤집어쓴 것

같이 흰빛이 나고 털이 없으며 줄기 윗부분의 마디 밑에서 점

액을 분비한다.

내 성 내건성 및 내염성이 강하다.

종자의

특성 및 모양

열매는 삭과, 긴 타원형, 자루가 있으며 6개로 갈라짐.

사용경험

기 록

관상용으로 심고 있으며, 바닷가 건조한 곳에서 잘 자란다.

일반적 특징

유럽 원산으로 정원과 해변에 나는 1년초 또는 월년초. 키

50cm. 전체가 분을 뒤집어쓴 것같이 흰 빛이 나고 털이 없으

며 줄기 윗부분의 마디 밑에서 점액을 분비. 잎은 대생, 난형,

넓은 피침형, 길이 3~4.5cm 끝이 뾰족하고 잎자루는 없음. 꽃

은 줄기 끝이나 가지 끝에 모여서 달리고 홍색 또는 흰색 화관

의 지름 1cm. 꽃받침은 곤봉 모양, 길이 15㎜, 끝이 5갈래, 가

장자리가 흰색이고 막질. 꽃잎은 5장, 수평으로 퍼지고 부수체

가 있으며 끝이 갈라짐. 화관통 안쪽에 작은 비늘 조각이 있고

수술 10개, 암술대 3개이다.

부 록 2

- 84 -

달맞이꽃

학명 Oenothera stricta Ledeb.

과명 바늘꽃과

자생지

칠레 원산으로

전국 각지에 분포

성상분류

쌍떡잎식물 도금양목

바늘꽃과의 두해살이풀

생육적

특 징

화 색 노란색 개화기간 7~8월

지상부

다년초로 키가 50~90cm이고. 굵고 곧은 뿌리에서 여러 개의 대가

나와 곧게 자란다.

내 성 생명력이 우수하고 생육이 빠르다

종자의

특성 및 모양

열매는 삭과로 긴 타원모양이고 길이가 2.5cm이며 4개로 갈라

지면서 종자가 나온다. 종자는 여러 개의 모서리각이 있으며 젖

으면 점액이 생긴다, 립수(g당) : 2,100립

사용경험

기 록

생명력이 좋고 생육이 빨라 토사유출 방지를 위한 비탈면 녹화

용으로 적합하며 또는 한방에서 뿌리를 월견초(月見草)라는 약재

로 쓰는데 감기로 열이 높고 인후염이 있을 때 물에 넣고 달여

서 복용하고 종자를 월견자(月見子)라고 하여 고지혈증에 사용한

다.

일반적 특징

남아메리카 칠레 원산으로, 국내 각처에 나는 다년초. 키

50~90cm. 굵고 곧은 뿌리에서 여러 개의 대가 나와 곧게 자람.

잎은 호생, 선상 피침형,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

가 있으며, 근생엽은 로제트형. 꽃은 노란색, 잎겨드랑이에 1송

이씩 붙고, 저녁때 피었다가 아침에는 조금 붉은 빛을 띠며 시

듦. 꽃받침은 4장, 2장씩 합쳐져 있고, 꽃이 피면 뒤로 젖혀짐.

꽃잎은 4장. 끝이 갈라짐. 수술은 8개, 암술머리는 4갈래, 자방

은 원추형, 털이 있다.

북미산으로 키는 약 1.5m이고, 잎이 타원상 피침형인 것을 큰

달맞이꽃이라 한다.

부 록 2

- 85 -

비수리

학명 Lespedeza cuneata G. Don

과명 콩과

자생지

한국ㆍ일본ㆍ타이

완ㆍ인도 및 오스

트레일리아

성상분류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반관목

생육적

특 징

화 색 백색 개화기간 8~9월

지상부

줄기는 곧게 서며 가지가 많다. 잎은 어긋나고 작은 잎이 3장

씩 나온 겹잎이며 뒷면에 털이 있다.

내 성 척박한 토양도 가리지 않는다.

종자의

특성 및 모양

열매는 넓은 타원형 또는 원형으로 표면에 털이 있고 10월에

암갈색으로 익는다. 립수(g당) : 700개

사용경험

기 록

싸리와 함께 사방녹화용으로 널리 쓰인다.

일반적 특징

산기슭 이하에 자라는 초본성으로 높이가 1m에 달하고 가늘며

짧은 가지는 능선과 더불어 털이 있다. 잎은 호생하고 소엽은

3개이고 좁은 도피침형으로 절두 또는 요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1~2c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에 잔털이 있고 잎자루는

길이 5~15mm이다. 꽃은 8~9월에 피며 백색이고 잎겨드랑이

에 모여 달리고 기판 중앙부에 자주색 줄이 있다. 꽃받침잎은

좁은 피침형이며 거의 밑부분까지 갈라지고 각 열편은 1맥과

명주실 같은 털이 있다. 열매는 난형이며 짙은 갈색으로 익고

잔털이 있으며 종자는 신장형에 가깝고 황록색 바탕에 적색 반

점이 있다.

부 록 2

- 86 -

벌노랑이

학명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Regel

과명 콩과

자생지

한국ㆍ일본ㆍ중국

ㆍ타이완ㆍ히말라

야산맥

성상분류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생육적

특 징

화 색 노란색 개화기간 6~8월

지상부

다년초이고, 키가 30cm이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밑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옆으로 눕거나 비스듬히 섬,

내 성 지피력이 뛰어나고 생명력이 강하며 내염성이 강하다.

종자의

특성 및 모양

협과는 길이 3cm이며 곧고 두 조각으로 갈라져서 많은 흑색종

자가 나온다.

사용경험

기 록

건조한 척박지에서 성장이 빠르고 뿌리가 깊어 토사유실방지

효과가 크며 콩과식물의 특성상 토양개량 효과가 뛰어나고,

지피력이 뛰어나고 생명력이 강하며 내염성이 강해 간척지 녹

화에 최적이며 대표적인 비탈면 녹화용 식물이다.

립수(g당) : 800립

일반적 특징

우리 나라 중부 이남 들의 풀밭이나 밭둑에 나는 다년초, 키

30cm, 전체에 털이 없고, 밑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옆

으로 눕거나 비스듬히 섬, 잎은 호생, 작은 잎은 5장, 밑의 2

장은 원줄기에 밀접하여 턱잎처럼 보이고, 도란형, 길이

7~15mm, 끝이 둔하게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턱잎

은 작거나 없음. 꽃은 노란색, 연한 주황색, 길이 6~7mm, 잎

겨드랑이에서 나온 긴 화축 끝에 1~4송이씩 산형화서로 달리

고, 나비 모양, 열매는 협과, 길이 3cm, 선형, 씨는 검은색이

다.

부 록 2

- 87 -

산국

학명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과명 국화과

자생지

한국ㆍ일본ㆍ중국

만주

성상분류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생육적

특 징

화 색 노란색 개화기간 9~10월

지상부

높이 60∼90㎝. 전체에 짧은 털이 있고 줄기는 곧게 서며 윗

부분에서 분지한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꼴이며 길이 5∼7

㎝, 나비 4∼6㎝로서 깃꼴로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은 크기가

거의 비슷하며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내 성 건조와 추위에 강하며, 적당히 관수 관리한다.

종자의

특성 및 모양

립수(g당) : 9000개, 여윈열매(수과)는 길이가 1mm이다.

사용경험

기 록

관상용, 공업용으로 쓰이고, 한방에서 전초와 꽃을 강심, 명

안, 거담제, 빈혈, 현기증, 습비 등에 약재로 쓴다.

일반적 특징

다년초로서 높이 1~1.5m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흰털이

많다. 잎은 호생하고 밑부분의 것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중앙

부의 것은 장타원상 난형이고 밑부분이 다소 심장저이거나 절

저이며 깃처럼 갈라지고 열편은 크기가 거의 비슷하며 장타원

형이고 둔두이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결각상의 톱니가 있다. 측

열편은 2쌍으로 열편 사이가 넓으며 표면에 털이 약간 있고 뒷

면에 중간에서 붙는 털이 있다. 꽃은 9~10월에 피며 가지 끝

과 원줄기 끝에 산형 비슷하게 달리고 총포는 길이 4mm, 지

름 8mm이며 포편은 3~4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선형 또는 장

타원형으로서 겉에 털이 있다. 내편은 장타원형이고 가장자리

가 얇다. 설상 꽃부리는 길이 5~7mm로 황색이며 통상 꽃부리

는 끝이 5개로 갈라진다.

부 록 2

- 88 -

샤스타데이지

학명 Chrysanthemum × burbankii Makino

과명 국화과

자생지 미국 성상분류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생육적

특 징

화 색 흰색 개화기간 5~7월

지상부

샤스타국화라고도 한다. 줄기는 밑에서 갈라져서 곧게 자라고

높이가 60∼90cm이며 털이 없다.

내 성 내한성 강하다.

종자의

특성 및 모양

종자는 수과이다.

사용경험

기 록

내한성이 매우 강하며, 배수가 양호하고 유기질이 풍부한 토

양이면 적응성이 넓어 관리가 어려운 도로변, 정원, 골프장 등

에 이용된다.

일반적 특징

잎은 어긋나고 넓은 바소꼴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

다. 꽃은 5∼7월에 피고 두상화(頭狀花:꽃대 끝에 꽃자루가 없

는 작은 꽃이 많이 모여 피어 머리 모양을 이룬 꽃)가 가지

끝과 줄기에 1개씩 달린다. 두상화는 지름이 8cm이고 가장자

리에 흰색의 설상화가 있으며 가운데에 노란 색의 관상화가

있다. 설상화는 보통 한 줄로 달리지만 여러 줄로 달리는 것

도 있다. 추위에 강하고, 볕이 잘 들고 배수가 잘 되는 곳이면

토양을 가리지 않고 잘 자란다. 번식은 종자를 심거나 포기나

누기로 한다. 종자를 9월에 심어 모종을 가꾸고 10월에 옮겨

심으면 다음해에 꽃이 피고 포기를 나눌 수 있다. 겨울에 꽃

이 피는 종류는 봄에 포기를 나누고, 여름에 꽃이 피는 종류

는 가을에 포기를 나눈다.

부 록 2

- 89 -

수레국화

학명 Centaurea cyanus L.

과명 국화과

자생지 유럽 동부와 남부 성상분류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생육적

특 징

화 색

청색, 백색,

자홍색, 홍색

개화기간 6~10월

지상부

높이 30∼90cm이고 가지가 다소 갈라지며 흰 솜털로 덮여 있

다. 잎은 어긋나고 밑부분의 것은 거꾸로 세운 듯한 바소꼴이며

깃처럼 깊게 갈라지지만 윗부분의 것은 줄 모양이며 가장자리

가 밋밋하다.

내 성 최저생육온도는 10℃이며 15~25℃에서 잘 생육한다.

종자의

특성 및 모양

수과이고, 립수(g당) : 200립

사용경험

기 록

절화와 화단용으로 가꾸어지며 발아가 좋고 성장이 대단히 빨

라 비탈면 녹화에 이용이 적합하다.

일반적 특징

꽃은 여름에서 가을까지 피지만 온실에서 가꾼 것은 봄에도 핀

다. 두화(頭花)는 가지와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많은 품종

이 있으며 색깔이 다양하다. 꽃 전체의 형태는 방사형으로 배열

되어 있고 모두 관상화이지만 가장자리의 것은 크기 때문에 설

상화같이 보인다. 총포조각은 4줄로 배열하며 날카롭고 긴 타

원형 또는 타원형 줄 모양으로 가장자리는 파란색을 띤다.

부 록 2

- 90 -

학명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Hara

과명 국화과

자생지 한국ㆍ일본ㆍ중국 성상분류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생육적

특 징

화 색 연한 자주빛 개화기간 7~9월

지상부

잎은 어긋나며 잔 톱니가 있고 뒷면에 회백색의 부드러운 털이

빽빽이 나 있다. 가을에는 줄기 윗부분의 작은 가지에 황백색의

작은 두화(頭花)가 아래로 향해 많이 핀다.

내 성

추위에 견디는 힘이 대단히 강하여 겨울 재배시 약간의 시설로

도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지 않는 한 잘 자란다.

종자의

특성 및 모양

10월에 열매가 성숙되며, 수과는 길이 1.5mm, 지름 0.5mm로

서 털이 없다.

립수(g당) : 3,500립

사용경험

기 록

발아가 좋고 생육이 빨라 지피력이 뛰어나 급속녹화에 좋다.

척박한 토양에서도 생명력이 좋다.

일반적 특징

높이가 60~120cm에 달하는 다년초로서 원줄기에 세로줄이 있

으며 전체가 거미줄 같은 털로 덮여 있고 근경이 옆으로 벋으

면서 군데군데 싹이 나와 군생한다. 뿌리에서 돋은 잎과 밑부분

의 잎은 후에 쓰러지며줄기에 달린 잎은 헛턱잎이 있고 타원형

이다. 열편은 2~4쌍으로서 장타원상 피침형이고 둔두 또는 예

두이며 뒷면에 흰 털이 밀생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결각

상이며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작아지고 마침내 3개로 갈라진

다. 꽃은 7~9월에 피며 꽃자루가 거의 없고 원줄기 끝의 원추

화서에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린다. 총포는 장타원상 종형이며

거미줄 같은 털로 부분적으로 덮여 있다. 수과는 털이 없다.

부 록 2

- 91 -

쑥부쟁이

학명 Aster yomena Makino

과명 국화과

자생지

한국ㆍ일본ㆍ중국

ㆍ시베리아

성상분류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생육적

특 징

화 색 연한 보라색 개화기간 7~10월

지상부

뿌리줄기는 길게 땅 속으로 벋는다. 줄기의 높이는 40~150cm이

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내 성 건조와 추위에 강하다.

종자의

특성 및 모양

열매는 수과로서 달걀 모양이고 털이 나며 10∼11월에 익는다.

관모는 길이 약 0.5mm로서 붉은색이다. 번식은 종자나 포기나

누기로 한다.

립수(g당) : 1,700립

사용경험

기 록

생명력이 강하고 지피효과가 뛰어나며 관목류 및 기타 초본류

와의 혼용에 적합하다. 화기가 길며 꽃이 크고 화려해 관상가치

가 대단히 높아 도로변, 공원, 정원, 수변녹화, 골프장 등에 이

용된다. 대면적 조경에 적합하다. 어린 잎은 나물로 무쳐먹고

지상부는 진해, 거담, 천식에 유효하다.

일반적 특징

잎은 어긋나고 잎몸은 길이 8~10cm, 폭 2.5cm 정도로서 가장

자리에 굵은 톱니가 있고 잔털이 있다. 두상화는 지름

3~3.5cm로서 긴 자루가 있으며, 7~10월에 줄기나 가지 끝에

산방꽃차례를 이루어 핀다. 총포조각은 3줄로 배열한다. 혀꽃은

길이 약 1.8cm이며 자주색이고, 중앙부의 통꽃은 황색이고 꽃

부리는 5개로 갈라져 뒤로 심하게 젖혀지며, 암술대와 꽃밥이

길게 벋어 나있다.

부 록 2

- 92 -

새(안고초)

학명 Arundinella hirta Tanaka

과명 벼과

자생지

한국ㆍ일본ㆍ중국ㆍ우수리강

(江) 유역 등

성상분류

외떡잎식물 벼목

벼과의 여러해살이풀

생육적

특 징

화 색 녹색, 자주색 개화기간 8~9월

지상부

뿌리줄기는 비늘 조각이 덮이고 길게 옆으로 벋으며 번식한다. 줄기

는 곧게 서고 여러 개가 뭉쳐나며 높이가 30∼120cm이다. 잎은 길

이가 15∼40cm, 폭이 5∼15mm이고 털이 있다. 잎집은 마디 사이

의 길이보다 길고 위를 향한 털이 있으며, 잎혀는 짧고 긴 털이 있

다.

내 성 토양 결집력 우수, 생육이 우수.

종자의

특성 및 모양

영과로 10월에 열매가 성숙한다.

립수(g당) : 2,300립

사용경험

기 록

지하경이 뻗으면서 번식하고 뿌리가 매우 깊어 토양 결집력이 우수

하며, 척박지에서도 생육이 우수한 녹화용 초종으로 최근 환경친화

적인 건설공사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자생초종인 안고초의 역

할이 더욱 커지는 대표적인 사방공사, 비탈면 녹화용 초조이다.

일반적 특징

다년생초본이며, 지하경이 뻗으면서 번식한다. 잎과 줄기 사이에는

털이 있고 껄끄럽다. 꽃줄기는 높이 30~120cm로서 곧추서고 잎은

길이 15~40cm로서 퍼진 털이 다소 있다. 잎혀는 0.5mm 정도로서

긴 털이 줄로 돋으며 잎집은 마디사이보다 길고 때로는 털이 있다.

꽃은 8~9월에 피며 화수는 길이 8~30cm로 원추형이고 가지는 길

이가 불규칙하며 겨드랑이에 흔히 털이 있고 껄끄럽다. 소수는 흔히

2개씩 달리며 대가 있고 녹색, 자주색 또는 흰 다갈색이다. 포영은

길이가 다르며 첫째 포영은 길이 3~5mm로서 3맥이 있지만 1~2쌍

의 잔맥이 있는 것도 있고 둘째 포영은 가장 길며 5~7맥이 있고 2

개의 꽃이 들어 있으며 안쪽 것은 수꽃이다. 호영은 5맥이 있고 내

영은 2개의 능선이 있으며 밑부분에 흰털이 있다.

부 록 2

- 93 -

자주개자리

(알팔파)

학명 Medicago sativa L.

과명 콩과

자생지 지중해연안 성상분류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생육적

특 징

화 색 자주색 개화기간 7~8월

지상부

원줄기는 곧게 30∼90cm까지 자라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작은 잎이 3장씩 나온 잎이다. 작은 잎은 긴 타원형

또는 바소꼴이고 끝이 뭉툭하거나 움푹하게 들어가 있으며 가

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내 성 염기성에 강함

종자의

특성 및 모양

10월에 열매가 성숙되며 꼬투리는 나선상으로 2~3회 말리고 털

이 있으며 여러 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신장 모양이다.

립수(g당) : 500립

사용경험

기 록

뿌리가 깊고 염기성 토양이나 건조한 사질토양에서의 생육이 좋

아 목초로 이용되며, 비탈면 공사 및 인공 토양 공사 등에 이용

되나 우점하므로 사용량은 소량이어야 한다.

일반적 특징

다년초로서 목초로 재배하고 있으며 높이 30~90cm이고 곧추

자라며 털이 거의 없거나 속이 비어 있다. 잎은 호생하며 소엽

은 3개이고 장타원형 또는 도피침형이며 끝이 절두 또는 요두

이고 주맥의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예저이고 윗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턱잎은 피침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총

상화서는 액생하며 꽃자루가 있고 꽃은 7~8월에 피며 길이

7~8mm로서 연한 자주색이고 포는 침형이다. 꼬투리는 나선상

으로 2~3회 말리며 털이 있고 여러 개의 종자가 들어있다.

부 록 2

- 94 -

참억새

학명 Miscanthus sinensis Anderss.

과명 벼과

자생지 한국ㆍ일본ㆍ중국 성상분류

외떡잎식물 벼목

벼과의 여러해살이풀

생육적

특 징

화 색 흑자색 개화기간 9월

지상부

굵은 뿌리줄기가 옆으로 퍼지며 높이 1∼2m이다. 잎은 모여 나

고 밑부분이 원줄기를 완전히 감싼다. 또한 나비 1∼2cm로 줄

모양이며 표면은 녹색이고 가장자리에 딱딱한 잔 톱니가 있어

날카롭다. 잎의 주맥은 흰색으로 뚜렷하고 털이 있는 것도 있

다.

내 성 추위와 건조에 강하나, 내습성이 약하다.

종자의

특성 및 모양

작은 이삭은 각 마디에 자루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이 1쌍씩 달리

고 길이 7~12mm의 털이 다발로 나 있다.

사용경험

기 록

근경이 굵으며 옆으로 뻗고, 뿌리가 깊어서 토양침식 방지효과가

매우 뛰어난 초본으로 건조지 척박지에서의 생육이 양호하고 화

서가 아름다워 최근 환경 친화적인 건설공사 요구에 따라 사용빈

도가 높아지고 있는 우리정서에 알맞고 친근한 느낌을 주는 사방

공사용의 대표적인 초종이다. 원예용으로도 사용되며 최근 들어

골프장 건설에 있어서 파종 및 식재가 검토되고 시공되어지고 있

는 초종이다.

일반적 특징

다년초로 높이 1~2m이고 근경은 굵으며 옆으로 벋는다. 잎은

밑부분이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싸고 선형이며 가장자리의 잔톱

니가 딱딱하고 표면은 녹색이며 주맥은 백색이고 털이 있는 것

도 있다. 꽃은 9월에 피며 화수는 길이 20~30cm이고 중축은

꽃차례 분지 길이의 1/2 이하이다. 소수는 자주색으로 대가 있

는 것과 없는 것이 1마디에 1쌍씩 달리고 길이는 5~7mm이며

다발털은 길이 7~12mm이다. 포영은 약간 딱딱하고 끝이 뾰족

하며 가장자리와 끝이 얇고 내영은 끝이 2개로 갈라지며 길이

8~15mm 의 까락이 돋는다.

부 록 2

- 95 -

춘차국(기생초)

학명 Coreopsis tinctoria Nutt.

과명 국화과

자생지 북아메리카 원산 성상분류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생육적

특 징

화 색 노란색과 적색 개화기간 7~10월

지상부

관상용으로 재배하나 흔히 야생하여 철도변이나 도시 주변의

냇가, 빈터에 무리를 이루기도 한다. 줄기는 가늘고 높이

60~120cm, 윗부분에서 여러 갈래로 가지가 갈라지며 털이 없

다.

내 성 햇볕이 잘 들고 배수가 잘되는 곳이 적당하다.

종자의

특성 및 모양

10월에 열매가 성숙되며, 종자는 긴 타원형으로서 안으로 굽고

날개가 없으며 종자는 검정색이다.

립수(g당) : 1,600립

사용경험

기 록

토양적응력과 번식력이 뛰어나 비탈면 녹화에 다른 식물과 혼합

해서 사용하며, 도로변 등에도 이용된다.

일반적 특징

북아메리카 원산의 1년초.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가 있다. 잎몸

은 2회 깃모양으로 갈라지며 선모양이다. 줄기나 가지 끝에 지

름 3~4cm의 머리 모양꽃이 1개씩 달리며, 6~7월에 위를 향해

핀다. 총포는 길이 6~7mm, 총포조각은 위는 황색, 아래는 적

자색, 통상 8개가 1줄로 배열한다. 대롱꽃은 자갈색이다. 열매

는 가는 긴 타원형, 갓털이 없다. 많은 원예 품종이 있다.

부 록 2

- 96 -

큰금계국

학명 Corepsis lanceolata L.

과명 국화과

자생지 북아메리카 성상분류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생육적

특 징

화 색 황색 개화기간 6~8월

지상부

줄기의 높이가 30~100cm에 이르는 다년초. 관상용으로 재배

하였으나, 일탈하여 야생화한 것이 많아 때로는 철도가, 강변,

산기슭 등에 대군락을 이루는 것을 볼 수 있다.

내 성 내한성과 내건성이 강하다.

종자의

특성 및 모양

9월에 열매가 성숙되며, 꼬투리는 가장자리가 두껍고 계란형이

다.

립수(g당) : 250개

사용경험

기 록

개화기간이 길고 뿌리가 깊어 척박한 토양에서도 생육이 가능

해 도로공사, 사방공사 등에 적합하다.

일반적 특징

잎은 마주나나 뿌리에서 나는 잎은 뭉쳐나며, 잎몸은 피침형

또는 선모양이나 때로는 3~5개의 작은 잎으로 갈라지는 것도

있다. 양면에 거친 털이 있어 껄끄럽다. 줄기 밑부분의 잎은 잎

자루가 있으나, 대부분은 잎몸 밑부분이 좁아지면서 줄기로 흐

른다. 꽃은 5~6월에 핀다. 줄기끝에 지름 5~7cm의 진황색의

머리모양 꽃차례가 1개씩 달린다. 8~10개의 진한 녹색의 총포

조각이 1렬로 배열한다. 혀꽃은 통상 8개, 꽃부리 끝이 4~5개

로 일정하지 않게 갈라진다. 대롱꽃, 혀꽃 모두 밑부분에 길이

5~8mm의 가늘고 긴 비늘조각이 있다. 수과는 편평하고 흑색,

가장자리는 반투명한 막질의 날개로 싸이고, 윗부분에 갓털이

변한 2개의 가시가 있다. 금계국은 큰금계국에 비해 전체적으

로 작고 잎이 난형, 대롱꽃이 자갈색이므로 식별하기 쉽다.

부 록 2

- 97 -

낭아초

학명 Indigofera pseudotinctoria MATSUMURA

과명 콩과

자생지

한국(경남 ·경북 ·전북)

ㆍ일본ㆍ중국

성상분류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장미목 콩과의

낙엽활엽 반관목

생육적

특 징

화 색 연한 분홍색 개화기간 7~8월

지상부

가지를 많이 쳐서 옆으로 자라며, 작은 가지에는 복모(伏毛)가 있

고 가늘다. 높이는 2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홀수1회 깃꼴 겹

잎이다. 작은 잎은 5∼11개이고 거꾸로 선 달걀 모양의 타원형·타

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6∼25mm, 나비 5∼10mm이고

잎자루는 1∼3cm이다.

내 성 내염성 강하고, 건조 척박지에서도 잘 자란다.

종자의

특성 및 모양

열매는 삭과(殼果)로 3cm 정도 되는 원기둥 모양이다.

사용경험

기 록

꽃은 화초로 심을 수 있고 뿌리는 약제로 쓴다.

일반적 특징

경상도 및 전북의 해안지대와 제주도에 자라는 낙엽 반관목으로

길이가 2m에 달하며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옆으로 자라고 잔가지

는 누운 털이 있으며 가늘다. 잎은 호생하고 홀수 1회 우상복엽이

며 소엽은 5~11개이고 타원상 도란형,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길이 6~25mm로 둔두 원저이지만 끝에 작은 돌기가 있고 양면에

누운 털이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 1~3cm이다. 총상화서는 액생하

고 길이 4~12cm로서 많은 꽃이 달리며 꽃은 7~8월에 피고 연한

홍색이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기판은 장타원상 도란형이다.

열매는 원주형이고 길이 3cm 정도로 잔털이 있거나 없다. 9월에

익고 5~6개의 종자가 들어있다.

부 록 2

- 98 -

병꽃나무

학명 Weigela subsessilis L.H. Bailey

과명 인동과

자생지 한국 성상분류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꼭두서니목 인동과의

낙엽관목

생육적

특 징

화 색 황록색→적색 개화기간 4~5월

지상부

주로 산지 숲 속에서 자란다. 높이 2~3m이다. 줄기는 연한 잿

빛이지만 얼룩무늬가 있다.

내 성 이식이 쉽고 공해에 강하며, 척박한 곳에서 잘 자란다.

종자의

특성 및 모양

열매는 삭과(殼果)로 잔털이 있고 길이 1~1.5cm로서 9월에 성

숙하여 2개로 갈라지고 종자에 날개가 있다. 붉은 병꽃나무는

씨에 날개가 없으나, 병꽃나무 씨는 날개가 있다.

사용경험

기 록

관상용(정원수)으로 주연부 식재나 악센트 식재에 좋다.

일반적 특징

전국 각 처의 산기슭이나 중턱 이하에서 자라는 한국 특산의 낙

엽 관목. 많은 가지가 갈라진다. 붉은 병꽃나무에 비해 잎몸이

작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나상 타원형 또는 넓은 난형, 길이

2~7cm, 폭 2~5cm, 잎자루는 거의 없다. 꽃은 황록색이나 점

차 자홍색으로 변하며, 꽃받침은 끝까지 갈라진다. 붉은 병꽃나

무는 씨에 날개가 없으나, 병꽃나무 씨는 날개가 있다.

부 록 2

- 99 -

붉나무(오배자나무)

학명 Rhus chinensis Miller

과명 옻나무과

자생지

한국ㆍ일본

ㆍ중국ㆍ인도

성상분류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

목 옻나무과의 낙엽관목

생육적

특 징

화 색 황백색 개화기간 7~9월

지상부

낙엽 소교목으로 높이가 7m에 달하고 굵은 가지가 드문드문 나

오며 소지는 황색이고 털이 없다.

내 성 내한성, 내건성

종자의

특성 및 모양

10월에 열매가 성숙되며, 종자는 원형이고 색깔은 황색이며, 황

갈색의 잔털로 덮혀 있고, 익으면 신맛과 짠맛이 나고 잎에 달

리는 벌레집을 오배자라 하고 약용에 쓰인다.

사용경험

기 록

뿌리가 깊고 생육이 좋아 내한성, 내건성 등 척박한 비탈면녹화

에 이용되며, 단풍이 아름다워 공원 조성용으로도 이용된다.

일반적 특징

국내 각처의 산기슭 및 산골짜기에 나는 낙엽 소교목. 키는

6-8m 잎은 호생, 깃꼴겹잎, 길이 40cm, 엽축에 날개가 있다.

작은 잎은 7~13장, 난형, 난상 긴 타원형, 끝이 뾰족하며, 길이

5~12cm, 양면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거친 톱니. 꽃은 암수

딴그루, 황백색, 줄기 끝에 원추화서, 화서의 길이는 15~30cm,

털이 밀생, 5수성. 암꽃은 퇴화된 수술 5개, 암술대는 3개, 자

방은 1실이다.

부 록 2

- 100 -

싸리

학명 Lespedeza bicolor Turcz

과명 콩과

자생지 한국ㆍ일본ㆍ중국 성상분류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낙엽관목

생육적

특 징

화 색 홍자색 개화기간 7~8월

지상부

높이 2 m 내외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삼출

엽(三出葉)이다. 작은 잎은 난형 또는 도란형이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에 눈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내 성 맹아력이 강하다.

종자의

특성 및 모양

종자는 신장형 비슷하고 갈색 바탕에 짙은 색깔의 반점이 있다.

사용경험

기 록

잎은 사료, 줄기에서 벗긴 껍질은 섬유자원으로 이용되기도 한

다. 새로 자란 줄기는 농촌에서 여러 가지 세공을 하는데 활용

하고 싸리비도 만든다.

일반적 특징

낙엽 관목으로 잔가지는 능선이 있고 짙은 갈색이며 털이 있으

나 점차 없어지고 목재는 연한 녹색이며 골속은 희다. 잎은 삼

출엽이며 넓은 난형 또는 도란형이고 끝이 둥글거나 파지며 뾰

족하고 짧은 돌기가 있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에 누운

털이 있다. 총엽병은 길이 2.5~5cm로 털이 없거나 약간 있고

소엽병은 길이 5mm정도이다. 총상화서는 잎겨드랑이 또는 가

지 끝에 달리며 가지 끝에 원추화서를 형성하기도 하고 꽃은

7~8월에 피며 홍자색이다. 꽃받침통은 명주실 같은 털이 있으

며 얕게 4개로 갈라지고 뒤의 것이 다시 2개로 갈라진다. 꼬투

리는 넓은 타원형이며 끝이 부리처럼 길고 누운 털이 약간 있

다.

부 록 2

- 101 -

소나무(적송)

학명 Pinus densiflora S. et Z.

과명 소나무과

자생지

한국ㆍ중국북동부,

우수리ㆍ일본

성상분류

겉씨식물 구과목

소나무과의 상록침엽

교목

생육적

특 징

화 색 노란색 개화기간 5~6월

지상부

상록 교목으로 높이 30m, 지름 1.5m, 수피는 붉고 박편처럼 떨어진

다.

내 성 내한성이 강하다.

종자의

특성 및 모양

꽃이 핀 다음해 9월에 성숙되며, 솔방울은 난형이고 길이

4.5cm, 지름 3cm로 황갈색이며, 종자는 타원형이고 흑갈색이

며, 날개는 연한 갈색 바탕에 대개 흑갈색 줄이 있다.

립수(g당) : 30립

사용경험

기 록

내한성이 강하고 나무모양이 아름다워 관상수로 많이 쓰인다.

일반적 특징

상록 교목으로 높이 30m, 지름 1.5m, 수피는 붉고 박편처럼

떨어진다. 침엽은 2개씩 나오고 길이 6~12cm, 너비 1mm이며

엽초는 2년에 걸쳐 떨어진다. 수꽃 화서는 타원형으로 길이

1cm이며 20~30개가 새가지에 달리고, 암꽃 화서는 난형으로

길이 6mm이며 6월에 개화한다. 구과는 난상 원추형으로 길이

3~5.5cm, 너비 2.5~4.5cm이고 암갈색이며 실편은 70~100개

이다.

부 록 2

- 102 -

쉬땅나무(개쉬땅나무)

학명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

과명 장미과

자생지

한국과 동아시아

북동부의 산기슭,

계곡이나 습지에

서 자생

성상분류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활엽

관목

생육적

특 징

화 색 흰색 개화기간 6~7월

지상부

높이가 2m에 달하는 낙엽관목으로서 많은 줄기가 한군데에서

총생한다.

내 성 내공해성이 강하다.

종자의

특성 및 모양

열매는 5개의 골돌이고 길이 약 5㎜이며 털이 밀생한다.

립수(g당) : 5,000립

사용경험

기 록

정원용 관상수. 산울타리용으로 사용한다.

일반적 특징

중부 이북의 산골짜기의 습한 곳에 나는 낙엽 관목. 잎은 호생,

깃꼴겹잎, 작은 잎은 13~25장, 피침형,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

리에 겹톱니가 있고, 뒷면에 별 모양의 털이 있음. 꽃은 흰색,

지름 5~6㎜, 가지 끝에 붙는 겹총상화서, 5수성. 꽃잎은 5장,

수술은 화관보다 솟고, 암술은 5개이다.

부 록 2

- 103 -

자귀나무

학명 Albizzia julibrissin Duraz.

과명 콩과

자생지

한국(황해도 이남)

ㆍ일본ㆍ이란ㆍ남

아시아

성상분류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낙엽소교목

생육적

특 징

화 색

윗부분은 붉고

밑은 흰색

개화기간 6~7월

지상부

정원수로 심기도 한다. 수피는 회갈색이고 매끄러우며 가지는 털

이 없고 넓게 옆으로 퍼진다.

내 성

토심이 깊고 건조한 곳에서도 잘 자라며 공해에는 약하나 맹아력

이 크다.

종자의

특성 및 모양

열매는 10cm 가량, 협과.

사용경험

기 록

척박한 토양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도로변이나 토사유실방지용

에 적합한 식물이다. 내한성이 비교적 약하기 때문에 간혹 동해

를 받는 경우가 있으나, 꽃과 잎, 수형이 아름다워 관상수로 가

로수, 공원, 정원등에 적합하며 비탈면 녹화에도 사용이 적합한

가치가 뛰어난 목본이다.

일반적 특징

한라산과 황해도, 대관령 이남 산지의 볕이 잘 드는 기슭이나

중턱에서 자라는 높이 6~8m에 이르는 낙엽 소교목이나 흔히

3~4m이다. 정원수로 심기도 한다. 잎은 자루와 함께 길이

20~30cm인 2회 짝수우상복엽이고 우편은 7~12쌍이고 길이

5~15㎜, 폭2.5~4㎜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뒷면에 잔털이

있으며 분백색이다. 가지 끝에 10~20개의 꽃이 두상화서를 이

루어 총상으로 달린다. 화관은 길이 7~9㎜이며 끝이 5개로 갈

라지고 잔털이 있다. 수술은 20~30개이고 수술대는 담홍색이

며 길이 3~4cm로서 길게 화관 밖으로 뻗어있다. 꼬투리는 납

작하고 길이 10~13cm이며 10~15개의 갈색종자가 있다.

부 록 2

- 104 -

족제비싸리

학명 Amorpha fruticosa L.

과명 콩과

자생지 북아메리카 성상분류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낙엽관목

생육적

특 징

화 색

자주빛이 도는

하늘색

개화기간 5~6월

지상부

높이 3m 내외이다. 나무가지에 털이 있으나 점점 없어진다. 잎

은 어긋나고 1회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11∼25개씩이고 달

걀 모양 또는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내 성 내공해성이 강하다.

종자의

특성 및 모양

9월에 열매가 성숙되고, 꼬투리는 약간 굽으며 대개 1개의 종자

가 들어 있으며, 종자는 콩팥모양이다.

립수(g당) : 85립

사용경험

기 록

척박지에서도 생육이 좋고 공해에 강하기 때문에 토양안정을 위

한 피복용, 전국의 사방지나 황폐지의 복구목적으로 식재한다.

일반적 특징

낙엽관목으로 높이가 3m에 달하고 잔가지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잎은 호생하며 홀수 1회 우상복엽이고 소엽은

11~25개씩이며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지만 주맥 끝

은 뾰족하며 밑부분이 원저이고 길이 1.5~3cm로서 뒷면에 잔

털이 없거나 약간 있다. 수상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며 꽃이 배

게 달리고 5~6월에 피며 자줏빛이 도는 하늘색이고 향기가 강

하다. 꽃받침에 선점이 많으며 꽃받침잎은 뾰족하고 털이 없거

나 있으며 기판은 6mm로 난상 원형이고 익판과 용골판이 없

다. 열매는 약간 굽으며 9월에 익고 대개 1개의 종자가 들어있

다.

부 록 2

- 105 -

참싸리

학명 Lespedeza cytobotrya Miq.

과명 콩과

자생지 한국ㆍ일본ㆍ중국 성상분류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장미목 콩과의 낙엽

관목

생육적

특 징

화 색 홍자색 개화기간 7~8월

지상부

높이 2m 정도. 많은 가지가 갈라지는데, 작은 가지에는 능선과

털이 있으며 늙은 가지는 밑으로 처진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3

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삼출엽이고, 작은 잎은 원형 또는 도

란형으로 끝이 오목 파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내 성 맹아력이 매우 좋고 발아력이 뛰어나다.

종자의

특성 및 모양

열매는 협과(莢果)로서 길이 8㎜ 정도의 달걀꼴이며, 털이 있고

1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립수(g당) : 150개

사용경험

기 록

토양적응력이 좋고 생육이 뛰어나기 때문에 비수리와 함께 비탈

면 녹화 및 사방공사용으로 가장 많이 쓰이고 기타 야생화 종자

및 잔디 종자와 혼파해도 좋다.

일반적 특징

낙엽 관목으로 높이가 2m에 달하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원

형으로 되며 노목의 가지는 밑으로 처지고 잔가지에 능선과 더

불어 털이 있다. 잎은 삼출엽이며 원형,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

고 끝이 대개 요두이지만 원두도 있으며 밑부분이 원저이고 표

면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뒷면은 회록색으로 잔털이 있

고 잎자루는 짧으며 털이 있다. 꽃차례는 총상이지만 짧기 때문

에 둥글게 보이고 꽃대축에 털이 밀생하며 꽃은 7~8월에 피고

홍자색이다. 꽃받침은 중렬되고 털이 있으며 점첨두이고 기판은

원두 또는 요두이며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꼬투리는 난형이고

털이 있다.

부 록 2

- 106 -

캔터키블루그라스

Kentucky blue grass

(왕포아풀)

학명 Poa pratensis L.

과명 벼과

자생지

한국ㆍ중국ㆍ시베

리아ㆍ중앙아시아

ㆍ히말라야ㆍ카프

카스

성상분류

외떡잎식물 벼목

벼과의 여러해살이풀

생육적

특 징

화 색 연한 녹색 개화기간 6~7월

지상부

4∼6월 초에 곧은 줄기를 내고, 초장은 60∼90cm 정도로 초장

이 짧은 편이다. 잎은 부드럽고 진한 녹색의 하번초로서 45°각

도로 퍼지며, 끝이 뱃머리 모양으로 되어 있고 엽설은 짧고 끝

이 뾰족하다.

내 성 내한성과 지속성이 우수하고 고온과 가뭄에는 약하다.

종자의

특성 및 모양

종자량은 많고 종자 기부에는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립수(g당) : 3,000립, 순도 : 95%, 발아율 : 80%

사용경험

기 록

절개지, 사방공사, 골프장, 잔디밭 등에도 많이 이용한다.

일반적 특징

높이가 30~80cm에 달하는 다년초로 총생하고 근경이 옆으로

벋으면서 퍼진다. 잎은 편평하거나 다소 오그라들며 녹색이고

길이 7~20cm이며 털이 없으며 잎혀는 절두로서 길이 1~2mm

이다. 꽃은 6~7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길이 8~15cm로서 좁은

난형이며 곧추서고 가지가 2~5개씩 반윤생하며 작은 돌기가

있고 소수는 난형이며 3~5개의 꽃이 들어 있다. 포영은 끝이

뾰족하고 첫째 것은 길이 1.5~2mm로서 피침형이며 1맥이 있

고 둘째 것은 넓은 피침형으로서 길이 2~2.5mm이며 3맥이 있

다. 호영은 길이 3mm 정도로서 끝이 뾰족하고 주맥이 뚜렷하

며 능각과 측맥 밑부분에 누운 털이 있고 밑부분에 솜털이 있

다. 내영은 길이 3mm 정도로서 능각부에 작은 돌기가 있다.

부 록 2

- 107 -

크리핑레드페스큐

Creeping red

fescue

(왕김의털)

학명 Festuca rubra L.

과명 벼과

자생지

울릉도, 백두산

부근

성상분류

외떡잎식물 벼목

벼과의 여러해살이풀

생육적

특 징

화 색 연한 녹색 개화기간 4~5월

지상부

다년초로 높이가 30~60cm이며 근경이 짧고 총생한다. 새싹에

서 나오는 잎은 길이 10~20cm이고, 지름은 1~2mm정도이다.

내 성 내서성, 내음성이 강하다.

종자의

특성 및 모양

영과로서, 립수(g당) : 700립, 순도 : 95%, 발아율 : 85%

사용경험

기 록

단파용으로는 잘 쓰이지 않으며 일반종은 주로 톨페스큐와 페

레니얼라이그라스 등과 혼합하여 주로 도로공사 등 경사지 도

로변 등 척박지의 녹화에 주로 쓰인다.

일반적 특징

꽃은 8~9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길이 5~12cm이고 가지는 적

으며, 위로 향하며 소순은 장타원이며 길이 5~10mm이며 3~4

개의 소화가 들어있다. 잔디길이가 길고, 뿌리가 길게 내리며,

어떠한 조건에서도 적응력이 강하다. 잎이 가늘고 수평으로 성

장하며 섬세한 잔디밭 조성이 가능하다.

부 록 2

- 108 -

톨페스큐

Tall fescue

(큰김의털)

학명 Festuca arundinacea Schreb.

과명 벼과

자생지 유럽 성상분류

외떡잎식물 벼목

벼과의 여러해살이풀

생육적

특 징

화 색 녹색, 보라색 개화기간 6~8월

지상부

다년초로 높이 40~180cm까지 자라며, 잎은 길이 10~60cm,

폭은 3~10mm로 털이 없다. 엽초에 털이 있고 엽설은 1~2mm

이다.

내 성 내한성과 내건성이 강하다.

종자의

특성 및 모양

영과로서, 립수(g당) : 500립, 순도 : 95%, 발아율 : 85%

사용경험

기 록

비탈면 녹화에 널리 이용한다.

일반적 특징

줄기는 뭉쳐나며 높이 40~180cm로 곧게 자란다. 잎은 길이

10~80cm로 털이 없다. 엽초는 기부까지 길게 갈라지며 둥글고

피침형의 엽이가 줄기를 감으며 성긴 털이 줄지어 난다. 6~8월

에 꽃이 피며 원추화서는 곧게 서거나 조금 기울어졌다. 한 마

디에 2개의 가지가 있으며 하나는 길고 하나는 짧다. 소수는

1~1.5cm, 5~9개의 소화로 이루어지며 녹색 또는 보라색이다.

제 1포영은 길이 3.5~6mm로 1맥, 제 2포영은 5~7mm로 3맥

이 있다. 호영은 5맥이며 중앙맥 끝에 길이 1~3mm의 까락이

있거나 드물게는 없다. 내영은 호영과 같은 길이이며 끝쪽 능선

에 털이 줄지어 나서 거칠다.

부 록 2

- 109 -

페레니얼라이그라스

Perennial ryegrass

(호밀풀)

학명 Lolium perenne L.

과명 벼과

자생지 유럽 성상분류

외떡잎식물 벼목

벼과의 2년초 또는

다년초

생육적

특 징

화 색 담녹색 개화기간 6~9월

지상부 무더기로 나와서 30∼60 cm 자라고 전체에 털이 없다.

내 성

발아속도와 잔디조성률이 빠르며, 내한성은 비교적 강한 편이나

내서성이 약하며, 내답압성이 강하다. 초기 발아세와 생육속도

가 빨라 조기녹화에 유리하나 내습성이 떨어져 장마철에 매우

약한 단점이 있다.

종자의

특성 및 모양

영과로서, 립수(g당) : 500립, 순도 : 98%, 발아율 : 80%

사용경험

기 록

토양침식이 우려되는 사방공사 경사지 등의 녹화에 이용되며,

골프장, 경기장 등의 덧뿌리기용으로 이용된다

일반적 특징

잎은 나비 2∼6 mm이고 어릴 때는 접힌다. 꽃은 5월에 피고

꽃이삭은 길이 13∼25 cm로서 작은 이삭이 어긋나게 달린다.

작은 이삭은 길이 15∼18 mm이고, 10∼16개의 꽃이 들어 있

으며 밑에 달린 포영(苞穎)은 가시처럼 길게 자란다. 첫째 포영

은 끝에 달린 작은 이삭 이외는 없으며 둘째 포영은 길이 9.5

mm로 5맥이 있다. 호영에 5맥이 있고 수술은 3개이며 씨방에

털이 있다.

연 구 참 여 진

∎ 국토교통부

이 우 제(전 이용욱) 국토교통부 도로국장

오 수 영(전 양희관) 국토교통부 도로건설과장

신 종 욱(전 김갑중) 국토교통부 담당사무관

송 진 우(전 김로타) 국토교통부 담 당

∎ 연 구 진

김 남 춘 단국대학교 교수 연구책임자

이 태 옥 평화엔지니어링 부사장

김 은 범 단국대학교 초빙교수

이 용 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김 우 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위원

박 병 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윤 재 용 한국도로협회 연구위원

이 호 정 한국도로협회 차장

∎ 자문위원(가나다순)

강 태 복 ㈜국지건설 사장

김 준 수 수원국토관리사무소 과장

김 준 석 청운대학교 교수

손 원 표 길문화연구원 대표

이 종 열 예원개발 대표이사

전 기 성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수석연구원

전 우 정 원주지방국토관리청 도로계획과장

조 남 철 대화종묘 대표이사

최 준 성 인덕대학교 교수

도로비탈면 녹화공사의 설계 및 시공지침

■행정간행물 등록번호 /

■발행일 / 2025. 02.

■발행처 / 국토교통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국토교통부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30322
공지 국토교통부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49597
공지 국토교통부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34267
797 2025년_도로터널 방재·환기시설설치및관리지침개정판_2-4_환기시스템설치기준 file 효선 2025.04.02 3
796 2025년_도로터널 방재·환기시설설치및관리지침개정판_2-5_환경계측기 설치기준 file 효선 2025.04.02 2
795 2025년_도로터널 방재·환기시설설치및관리지침개정판_3-0_행정사항 file 효선 2025.04.02 2
794 202502_도로비탈면 녹화공사의 설계 및 시공지침 개정(안) 신구조문대비표 file 효선 2025.04.01 3
793 202502_도로비탈면_녹화공사의_설계_및_시공지침_제00장_표지및목차 file 효선 2025.03.31 50
792 202502_도로비탈면_녹화공사의_설계_및_시공지침_제01장_총칙 file 효선 2025.03.31 55
791 202502_도로비탈면_녹화공사의_설계_및_시공지침_제02장_도로비탈면녹화공사의설계 file 효선 2025.03.31 42
790 202502_도로비탈면_녹화공사의_설계_및_시공지침_제03장_도로비탈면녹화공사의 시험시공 file 효선 2025.03.28 136
789 202502_도로비탈면_녹화공사의_설계_및_시공지침_제04장_도로 비탈면 녹화 공사의 시공 file 효선 2025.03.28 142
788 202502_도로비탈면_녹화공사의_설계_및_시공지침_제05장_도로 비탈면 녹화공사의 유지관리 file 효선 2025.03.28 146
» 202502_도로비탈면_녹화공사의_설계_및_시공지침_제99장_참고자료 file 효선 2025.03.28 699
786 202008-도시지역도로 설계 지침 해설_2020_제0장_표지및목차 file 효선 2025.02.04 492
785 202008-도시지역도로 설계 지침 해설_2020_제1장총칙 file 효선 2025.02.04 495
784 202008-도시지역도로 설계 지침 해설_2020_제2장설계속도와 선형 file 효선 2025.02.04 488
783 202008-도시지역도로 설계 지침 해설_2020_제3장횡단구성 file 효선 2025.02.04 782
782 202008-도시지역도로 설계 지침 해설_2020_제4장평면교차 file 효선 2025.02.04 733
781 202008-도시지역도로 설계 지침 해설_2020_제5장교통정온화시설 효선 2025.02.04 1119
780 202008-도시지역도로 설계 지침 해설_2020_제6장안전시설 및 부대시설 file 효선 2025.02.04 620
779 2023_KDS 44 00 00 도로설계기준(`23.3) file 효선 2023.04.07 6678
778 2023_KDS 44 10 00 도로설계 일반사항 file 효선 2023.04.06 2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