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비상엔지니어즈

제 5 장 도로비탈면의 유지관리

- 59 -

제 5 장 도로비탈면 녹화공사의 유지관리

5.1 일반사항

비탈면의 녹화는 주변에서의 식물천이를 유도하여 자연 상태의

환경을 조성하는 것으로써 관리는 점검, 유지관리 등의 과정이 적

절하게 수행되어야 한다.

[해설]

(1) 비탈면의 녹화는 주변에서의 식물천이를 통한 안정적인 식물환경의 조

성을 기본목표로 추구한다.

(2) 비탈면 녹화공법의 유지관리는 적절한 시기에 수행되어야 하며, 점검,

유지관리 등 일련의 작업과정이 적절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3) 비탈면녹화 시공지가 생태계 교란종에 의해 녹화식물이 피압되고 고사

되는 피해를 입지 않도록 유지관리를 시행한다. 녹화품질이 저해되거

나 식생기반재가 이탈되는 등의 경우에는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4) 비탈면 녹화공사는 복원목표가 달성하도록 비탈면의 환경특성, 지역,

기후특성 등을 고려하여 멀칭, 관수, 시비, 생태계 위해종(칡, 덩굴류

등) 제거 등의 유지관리 작업을 준공할 때까지 시행해야 한다.

제 5 장 도로비탈면의 유지관리

- 60 -

5.2 유지관리

5.2.1 점 검

시공자는 비탈면에 시공된 안정공법, 식생기반, 식생 등이 지속적으

로 유지되고 복원목표에 부합되도록 유지관리계획을 수립하여 주기적

으로 점검을 시행한다.

[해설]

(1) 비탈면 녹화공사는 시공 후에도 준공할 때까지 지속적인 점검을 수행

해야 한다.

(2) 점검목표는 식물군락을 양호하게 유지하는데 있으며 식생, 식생기반,

비탈면 안정공법 등이 적절하게 유지되는지 점검을 실시하고, 그 결과

를 적절하게 유지관리에 반영해야 한다.

(3) 비탈면 녹화공사는 평상시 일상점검, 이상시 이상점검, 정기점검 등을

시행한다.

1) 일상점검 시 다음 항목을 점검한다.

① 비탈면 아래로의 낙석 혹은 토사유출 흔적

② 식생기반재 균열 후 이탈한 현상

③ 성토부 상단의 균열, 침하

④ 식생기반 유실 흔적

⑤ 식생 쇠퇴, 고사, 변색, 이상 번성

⑥ 측구, 소단배수구, 종배수구에 토사, 낙엽, 마른 나뭇가지의 퇴적 및

배수구의 이상

⑦ 구조물과 비탈면 녹화공의 경계부 이상

⑧ 비탈면 주변의 변화 상태, 특히 비탈면 상부의 나무 쓰러짐

2) 이상점검 시 1)항을 유의하고, 다음 사항을 중점 점검한다.

① 비탈면 주변을 포함한 지표수, 용수 위치, 그 양과 탁도

제 5 장 도로비탈면의 유지관리

- 61 -

② 식생기반의 미끄러져 내림, 유실 발생위치, 규모, 상태 및 확대 예측

범위

③ 해충상황과 병충해 예측범위

④ 해수에 의한 염해상황

⑤ 예상외의 식물 이상 번성이나 동물에 의한 피해상황

⑥ 이상기상에 의한 식생기반 박리, 비산 등의 변화 상태나 식생 쇠퇴

상황

⑦ 붕괴장소에 대해서는 그 규모와 확대 유무, 하방으로 영향을 파악

3) 정기점검은 분기 또는 일정시기별로 시행하며, 정기점검에는 일반적으

로 비탈면 녹화식생의 평가와 식물의 추적조사를 하고, 식생의 상태를

파악하여 복원목표에 부합되도록 진행되는지 확인한다. 식생 생육에

대한 추적조사기간은 복원목표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주 구성종이 파

종식물 중에서 우점 할 때까지 조사하는 것이 원칙이며, 주변에서 자

연 천이가 진행되어 비탈면과 주변 자연 상태가 변화가 없을 때까지

점검한다.

5.2.2 유지관리 방법

비탈면 녹화의 유지관리방법은 도입식물의 식생 천이가 정상적으로

진행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미래에 녹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

록 관리한다.

[해설]

(1) 비탈면 녹화공사의 유지관리는 도입식물의 식생 천이가 정상적으로 진

행될 때까지 식물도입방법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시행한다.

(2) 유지관리계획은 미래에 성립되는 식물군락이 정상적으로 복원목표에

달성되도록 한다.

제 5 장 도로비탈면의 유지관리

- 62 -

(3) 유지관리는 식물군락의 특성을 이해하고, 녹화목표를 달성하도록 관수,

시비, 추파 등 적절한 노력을 말한다.

1) 시공 후 초기 유지관리

시공 후 초기 단계 유지관리는 도입식물의 확실한 정착에 유의한다.

식물형성이 원활함이 기본이 되므로 식물구성에도 주의하면서 녹화

목표의 주체가 되는 주 구성종이 확실히 정착할 수 있도록 한다.

2) 전면 피복후의 유지관리

자연피복 후에는 생태계 교란종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

의한다. 녹화목표의 달성에 대한 판단은 주 구성종으로 도입된 식물

이 군락 우점종인 경우이나 그에 가까운 상태로 되었을 경우를 기준

으로 한다.

3) 식생기반의 유지관리

식생기반의 기능이 저하한 경우는, 다음의 ①~⑤에 표시된 대책에

따라 목표군락이 성립되도록 적절한 조치를 할 필요가 있다

① 뿜어붙이기에 의해 조성된 식생기반이나 식생자루 등이 강우, 동해,

용수에 의해 손상 또는 유실된 경우에는 그 부분을 보수한다.

② 철망이 뜨는 경우에는 앵커핀으로 철망을 고정한다. 단, 시공 후 시

간의 경과에 따라, 식물이 충분히 생육되어 전면적으로 비탈면을 피

복되고 뿌리가 고정되어 앵커핀의 필요성이 없어진 경우에는 그럴

필요는 없다

③ 비탈면에 균열, 함몰, 탈락, 붕괴 같은 이상이 보일 경우에는 그 원인

조사를 하여, 급속히 침식방지 대책이나 붕괴방지 대책을 시행한다.

④ 콘크리트틀 구조물에서 균열, 함몰 같은 이상 변형이 보일 경우에는,

그 원인 조사를 하여 조속히 콘크리트 틀의 부분 보수나 붕괴방지

대책을 시행한다.

⑤ 비탈면 종배수구 및 소단배수구에 퇴적된 토사나 낙엽, 마른 나뭇가

지가 보일 경우에는, 흘러넘친 물에 의해 비탈면 침식을 유발할 우려

제 5 장 도로비탈면의 유지관리

- 63 -

가 있으므로, 배수구 청소를 하여 제거한다. 배수구를 덮을 듯이 무

성해진 초본과 관목류도 배수기능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청소

시 깎기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벌목한 초본과 목본식물이

나 제거된 토사는 배수구로 유입되지 않도록 충분히 주의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국토교통부_기준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30322
공지 국토교통부_방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49597
공지 국토교통부_지침_자료목록 입니다 황대장 2021.05.18 34267
797 2025년_도로터널 방재·환기시설설치및관리지침개정판_2-4_환기시스템설치기준 file 효선 2025.04.02 3
796 2025년_도로터널 방재·환기시설설치및관리지침개정판_2-5_환경계측기 설치기준 file 효선 2025.04.02 2
795 2025년_도로터널 방재·환기시설설치및관리지침개정판_3-0_행정사항 file 효선 2025.04.02 2
794 202502_도로비탈면 녹화공사의 설계 및 시공지침 개정(안) 신구조문대비표 file 효선 2025.04.01 3
793 202502_도로비탈면_녹화공사의_설계_및_시공지침_제00장_표지및목차 file 효선 2025.03.31 50
792 202502_도로비탈면_녹화공사의_설계_및_시공지침_제01장_총칙 file 효선 2025.03.31 55
791 202502_도로비탈면_녹화공사의_설계_및_시공지침_제02장_도로비탈면녹화공사의설계 file 효선 2025.03.31 42
790 202502_도로비탈면_녹화공사의_설계_및_시공지침_제03장_도로비탈면녹화공사의 시험시공 file 효선 2025.03.28 136
789 202502_도로비탈면_녹화공사의_설계_및_시공지침_제04장_도로 비탈면 녹화 공사의 시공 file 효선 2025.03.28 142
» 202502_도로비탈면_녹화공사의_설계_및_시공지침_제05장_도로 비탈면 녹화공사의 유지관리 file 효선 2025.03.28 146
787 202502_도로비탈면_녹화공사의_설계_및_시공지침_제99장_참고자료 file 효선 2025.03.28 699
786 202008-도시지역도로 설계 지침 해설_2020_제0장_표지및목차 file 효선 2025.02.04 492
785 202008-도시지역도로 설계 지침 해설_2020_제1장총칙 file 효선 2025.02.04 495
784 202008-도시지역도로 설계 지침 해설_2020_제2장설계속도와 선형 file 효선 2025.02.04 488
783 202008-도시지역도로 설계 지침 해설_2020_제3장횡단구성 file 효선 2025.02.04 782
782 202008-도시지역도로 설계 지침 해설_2020_제4장평면교차 file 효선 2025.02.04 733
781 202008-도시지역도로 설계 지침 해설_2020_제5장교통정온화시설 효선 2025.02.04 1119
780 202008-도시지역도로 설계 지침 해설_2020_제6장안전시설 및 부대시설 file 효선 2025.02.04 620
779 2023_KDS 44 00 00 도로설계기준(`23.3) file 효선 2023.04.07 6678
778 2023_KDS 44 10 00 도로설계 일반사항 file 효선 2023.04.06 2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