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 2020_도로설계요령_제5권_장, 도로 안전 ․ 부대시설_12편 부대시설_3.체인탈착장
2021.01.19 15:32
2020
도 로 설 계 요 령
AN01145-000145-12
발 간 등 록 번 호
제5권 포장, 도로 안전 ● 부대시설 및 환경
포장, 도로 안전 ․ 부대시설
및 환경
제 10 편 포장
제 11 편 안전시설
제 12 편 부대시설
제 13 편 도로건설과 환경영향
제 14 편 방음시설
제 15 편 환경친화적 도로 건설
제 16 편 도로 경관
제5권
제 12 편 부대시설
제12편 부대시설
575
3.1 개요
체인탈착장이란 적설한랭지 등에서 주행하고 있는 차량이 도로 노면의 결빙에 따라 체인을
설치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공간이다.
3.2 종류
체인탈착장는 규모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1) 대규모 체인탈착장
도로를 이용하는 전 차량을 대상으로 의무적(규제)으로 체인을 설치․제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
에 적합하다.
(2) 소규모 체인탈착장
도로 이용자가 자유 의지에 따라 체인을 설치․제거할 목적으로 길어깨를 확폭하는 정도의 구
조를 말한다.
3.3 설계 기준
3.3.1 설치 장소
적설지에서 체인사용 상황은 지역에 따라 크게 다르므로 체인탈착장의 규모나 그 위치를 명확
히 표시하기는 어려우나, 설빙대책작업을 감안하여 아래에 기술한 위치에 체인을 탈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서비스(휴게소, 주차장) 지역을 체인탈착장으
로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본선을 확폭하여 이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체인탈착장
제5권 포장, 도로 안전 · 부대시설 및 환경
576
(1) 강설 조건이 급격히 변하는 곳 : 강설 조건이 급격히 변하는 곳으로서 적설지와 비적설지의
경계, 산악지로 들어가기 전 등에 설치하며, 선정 위치는 상향 경사가 4 % 이상인 급경사
구간의 전방에 설치한다.
(2) 장대터널 입구 부근 : 장대터널이나 터널 연속 구간의 반대편은 기온 및 강설 조건이 급변하
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들 구조물 전방 1 km 이상 지점에 체인탈착장을 설치하는 것이 좋으
며, 장대터널 및 터널 연속 구간에 교통운용상 체인 없이 주행시키는 경우는 터널의 양측에
체인탈착장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3) 출입시설 내 : 본선의 제설 수준과 접속도로의 제설 수준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 필요한 것으
로 제설 수준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계인 출입시설 내에 설치하는 탈착장을 말하며, 체인탈착
장의 설치 여부 및 위치에 대해서는 사전에 접속도로의 제설 상황(방송)과 도로관리청과의
충분한 협의 · 조정을 통해 결정해야 한다.
3.3.2 체인탈착장 시설의 규모에 따른 설치 기준
체인탈착장은 규모에 따라 대규모 체인탈착장과 소규모 체인탈착장이 있으며, 각각에 대한
설치조건은 다음과 같다.
(1) 대규모 체인탈착장
(가) 설치 위치
① 비적설지와 적설지의 경계 부근
비적설지에서 적설지를 경유해서 다시 비적설지에 이르는 것 같은 시종점을 가진 자
동차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 노선에는 비적설지와 적설지의 경계 부근에 대규모 체인
탈착장이 필요하다.
② 장대터널이나 터널 연속 구간에서 체인 없이 주행하는 거리가 약 10 km 이상 되는
구간의 앞과 뒤
③ 적설지에서 출입시설의 일반도로 접속 부근
(나) 설계 시 고려사항
① 계획교통량
체인의 사용 비율이 유동적이기 때문에 비교적 가까운 장래인 5년 후의 교통량을 이
용한다. 그러나 나중에 용지의 추가 매수나 도로 선형의 개량이 곤란하다고 생각되는
제12편 부대시설
577
경우에는 10년 후의 교통량을 사용한다.
② 체인의 설치, 제거를 필요로 하는 자동차의 비율
③ 체인의 설치, 제거에 필요한 시간
④ 대형차 비율 : 지역과 노선에 따라 차이가 크므로 지역 실정을 충분히 조사하여 그
지역 고유의 수치를 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림 3.1> 대규모 체인탈착장의 설계 예
계획 일교통량 (ADT)
설계시간계수
시간교통량
(대/시/양방향)
계절보정계수
동계 연평균 시간교통량
(대/시/양방향)
중방향보정계수
중방향 시간교통량(DDHV)
비적설지에서의 차량유입률
비적설지에서의 시간교통량
체인설치 필요 차량의 비율
체인을 설치할 차량의 수
(대/시/양방향)
회전율(소요시간)
주차면 수
대형차 구성비
소형차 주차면 수 대형차 주차면 수
대당 필요 면적
소요 면적
<그림 3.2> 대규모 체인탈착장의 규모 산정 흐름도
제5권 포장, 도로 안전 · 부대시설 및 환경
578
(2) 소규모 체인탈착장
(가) 설치 위치
① 노선의 기상이 급변하는 지역을 통과하는 경우(대규모의 체인탈착장 보강)
눈이 없는 노면을 체인을 장착하여 긴 구간을 주행하면 체인이 끊어지거나 포장면이
손상된다. 강설은 표고에 따라 계절적으로 변하고, 지형의 영향에 의해 비교적 짧은
구간에서도 노면 결빙 현상의 변화가 많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경우 대규모 체인탈착장을 도로의 경사와 강설 조건 에 부합되는
곳마다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비용과 이용 빈도를 고려해서 겨울철의 대부분
동안 이용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설치를 계획해야 한다.
그러나 부득이하게 대규모 체인탈착장 설치 사이에서 기상 급변부가 있는 경우에는
적절하게 소규모 체인탈착장을 설치하여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② 대규모 체인탈착장의 위치를 특별히 정하기 어려운 경우
산악 적설지의 긴 구간을 통과하는 경우 대규모 체인탈착장의 위치를 특별히 정하기
가 어려운 때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당초부터 대규모의 체인탈착장을 설치하지 않
고, 소규모 체인탈착장을 요소요소에 배치해서 이용 상황을 살펴보면서 대책을 강구
하는 것도 필요하다.
③ 터널 길이가 2 km를 넘는 터널의 양쪽 입구에 설치
터널 길이가 약 2 km를 넘으면 체인이 끊어질 수 있으므로 터널의 양쪽 입구에 체인
탈착장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 설계 시 고려사항
소규모 체인탈착장의 설치는 원칙적으로 우측 길어깨를 확폭하여 설치하며, 평행식 주차
방식으로 한다. 폭은 5 m, 테이퍼 길이는 20 m 정도로 한다. 대형차 5대가 이용할 경우
체인탈착장의 설치 예는 그림 3.3과 같다.
터널 입구에 체인탈착장을 설치할 경우에 지형적인 제약으로 우측 길어깨의 확폭이 곤란
할 경우에는 중앙분리대의 공간을 확폭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때에는 본선 주행차가 유
출입 차량을 알아볼 수 있도록 시거의 확보, 표지 설치 등의 안전 대책에 충분히 유의해
야 한다.
제12편 부대시설
579
<그림 3.3> 소규모 체인탈착장(대형차 5대 이용 시)의 설계 예
3.3.3 설계 시 유의사항
체인탈착장의 설계 시에 유의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체인탈착장에는 조명설비를 설치한다.
② 주차면은 보통의 주차면보다 0.50 m 정도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③ 체인탈착장의 경사는 주차 차량의 종방향으로 2 %, 횡방향으로 3 % 이하로 하고, 배수에
충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④ 체인탈착장으로 사용되는 부분은 포장을 하고, 교통섬은 원칙적으로 설치하지 않는다.
⑤ 살수시설, 융설시설 등의 제설시설은 설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⑥ 대규모 체인탈착장에는 화장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규모 체인탈착장은 체인의 설치 또는 제거 시간의 개인 차이 및 휴게소를 이용하는
사람 등에 의해 혼잡이 예상되므로 화장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인탈착장이
겨울철에만 이용될 경우에는 유지관리측면을 고려해서 화장실은 정화시설을 설치하지
않는 간이형으로 하고, 간이휴게소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휴게소의 설치 기준에 따
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