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 2020_도로설계요령_제5권_장, 도로 안전 ․ 부대시설_13편 도로건설과 환경영향_1.개요
2021.01.19 16:13
2020
도 로 설 계 요 령
AN01145-000145-12
발 간 등 록 번 호
제5권 포장, 도로 안전 ● 부대시설 및 환경
포장, 도로 안전 ․ 부대시설
및 환경
제 10 편 포장
제 11 편 안전시설
제 12 편 부대시설
제 13 편 도로건설과 환경영향
제 14 편 방음시설
제 15 편 환경친화적 도로 건설
제 16 편 도로 경관
제5권
제 13 편 도로건설과 환경영향
제13편 도로건설과 환경영향
621
환경친화적인 건설사업은 자연생태계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인간의 활동이 자연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자연생태계를 보전하면서 건설사업을 수행하는 것을 기본구상ㆍ타당성조사ㆍ
기본계획 및 설계ㆍ시공ㆍ유지관리 과정에서 환경친화적인 설계기법을 도입하여 도시와 지역 등
계획ㆍ설계의 단위공간을 생태적 유기체로 파악함으로써 그 속에 게재된 다양한 기능과 구조를 자
연 생태학적 견지에서 해석하고 생물이 안정된 환경 속에서 자급자족하며, 인간과 자연이 건강하
게 공존할 수 있는 환경을 창출하도록 도로ㆍ구조ㆍ토질ㆍ교통 분야 등과 함께 환경영향 평가대행
자 및 환경분야 전문가 등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다양한 분야의 의견수렴을 거쳐 개략적인 환경
분야 검토를 시행한다.
건설공사에 따른 환경피해를 최소화하고 건설공사가 환경과 조화되게 시행될 수 있도록 자연생태
계를 포함하는 환경관리를 위하여 단계별, 항목별, 기술ㆍ기법별로 기본방향을 설정하여 적용성과
실용성을 늘일 수 있도록 세부적인 공간계획기술을 중심으로 접근하되 생태설계기술, 환경평가기
술을 통합하여 입체적으로 고려한다.
공간계획기술
환경평가기술 생태설계기술
- 입지·노선 선정
- 선형·배치 등
- 전략환경영향평가
- 소규모환경영향평가
- 환경영향평가
- 식재설계기법
- 비탈면 녹화
- 그린네트워크
<그림 1.1> 환경과의 조화를 위한 입체적 고려
1. 개요